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10.01.17 19:18

아이티

(*.184.77.151) 조회 수 4457 댓글 6
아이티란 나라가 이런 비극의 나라였군요.  
우리나라도 미국에 의해 주도되어온 정치역사상황에 있어선 크게 다르진 않는듯...
---------------------------------------------------------------------

미국 탐욕이 키운 ‘비운의 아이티’
한겨레 | 입력 2010.01.17 19:20

[한겨레] 군사개입·점령 반복, 빈곤 불러와

언론 "미, 구호 적극…새 기회 될 것"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UNOCHA)의 엘리자베스 비르 대변인은 16일 아이티 지진은 유엔이 겪은 최악의 지진이라고 말했다. 아이티의 빈민층 어린이들이 먹는 '진흙 쿠키'와 지진 발생 뒤 대통령이 이틀이나 모습을 감추었던 사건에서 보여지는 아이티의 빈곤과 정부 기능 마비 때문이다.

미주 대륙에서는 미국에 이어 두번째 공화국으로 1804년 독립한 아이티가 독립투쟁사와는 어울리지 않게 대표적으로 '실패한 국가'로 전락한 원인은 서구 열강의 탐욕스런 침탈, 특히 20세기 이후 군사개입과 점령을 반복하며 오락가락했던 미국의 정책 때문으로 지목된다. 독립 이후 34번의 쿠데타를 겪은 아이티는 최근에는 허리케인 피해까지 반복되는 환경재앙까지 겹쳐 정치·사회·경제 인프라는 사실상 붕괴했다.

흑인 노예들의 국가라는 이유로 국가 승인을 거부했던 미국은 19세기말부터 개입으로 정책을 바꿔 1888년 미 해병대가 군부 반란을 지원했다. 미국은 1915년 결국 아이티를 점령해, 1934년까지 통치했다. 2차대전 이후 아이티가 겪은 참상은 더욱 끔찍했다. 1957년부터 1971년까지 '파파 독'이라고 불린 프랑수아 두발리에 대통령 독재 치하에서 3만명이 살해됐다. 그의 사후에도 19살 아들인 '베이비 독' 장클로드 두발리에가 세습해, 아버지의 공포정치를 이어갔다. 아이티에 군사·경제적 지원을 하던 미국은 결국 1986년 레이건 행정부 시절 베이비 독에 압력을 넣어 하야시켰다.

1990년 대통령으로 선출된 장베르트랑 아리스티드는 취임 몇달만에 쿠데타로 망명에 올랐고, 이 와중에서 1500명이 살해됐다. 미국으로 보트를 타고 가는 대규모 망명사태가 벌어져, 미국 정부가 봉쇄령을 내리기도 했다. 결국 미국의 주도하에 다국적군이 파견돼 군사정부를 축출하고 아리스티드를 다시 복위시켰다. 1년만인 2004년 다시 군사쿠데타가 일어나, 수도로 진격하는데도, 미국은 아리스티드의 실각을 묵인했다. 빌 클린턴 시절 복위시켰던 아리스티드를 조지 부시 정권은 퇴짜를 놓은 것이다.

이런 정치혼란 속에 두 차례 허리케인이 강타해 각각 1600명, 3천명이 죽는 연속 대재앙에 시달렸다. 2008년에도 한달만에 4차례의 허리케인으로 아이티 국토 전역을 폐허로 변했다. 이는 산림의 98%가 남벌되고, 지표층이 쓸려나간 환경파괴로 더욱 악화됐다. 곡물가가 세계적으로 급등한 식량위기가 더해져, 아이티 주민들은 대통령궁으로 난입하는 격렬한 시위를 벌였다.

< 워싱턴포스트 > 는 "아이티에 대해서는 지속적이고 훌륭한 친선 정책의 역사가 없었다"는 폴 파머 주아이티 부대사를 인용하며, 미국이 구호에 손을 걷어붙이고 나서는 이번 지진이 아이티의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의길 기자 Egil@hani.co.kr
세상을 보는 정직한 눈 < 한겨레 > [ 한겨레신문 구독 | 한겨레21 구독 ]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Comment '6'
  • 쏠레아 2010.01.17 19:39 (*.35.249.30)
    우리나라 사람들이 그나마 똑똑해서 다행이지요.
    우리도 아이티와 똑같은 상황을 겪었을 지도 몰라요.

    우리나라 사람들이 똑똑하다는 말이 조금 이상한가요?
    지역적인 문제일 수도 있지요.
    아무래도 더운 열대 지역 사람들보다 사시사철이 있는 곳에 사는 사람들이 더 똑똑할 수 있지요.
    똑똑한게 아니라 부지런한 것인가???
  • 2010.01.17 19:53 (*.184.77.151)
    한국민이 똑똑해서라기 보다는 우리나라에선 자원적으론 가져갈게 없어서가 아니였을까요?
    그러니 정치적으로 교육적으로 지원하여 경제적으로 성장시켜
    아시아정치지배균형을 유지하고 경제력을 착취한 거지요.
    1950년대이전의 한국국민의 평균교육수준은 아이티보다 나은것도 없었거던요.
    아이티국민이 덜 똑똑해서 저렇게 되었다기보단 미국의 착취정책의 영향으로 보이네요.
    愚民정책을 통해 노동력과 자원을 착취하고 독재자를 지원하여 미국의 속국으로 한거지요.
    똑똑한 민족이 따로 있는게 아니고 교육을 많이 받으면 자연 똑똑해지는 겁니다.
  • 쏠레아 2010.01.17 21:14 (*.35.249.30)
    그래요.
    우리나라라고 뭐 다른가요.
    북한을 보면 딱 답이 나오지요.

    독재의 말로는 어느나라나 똑같습니다. 오로지 가난 뿐입니다.
    그래도 우리나라(남한)는 그 독재에 끊임없이 대항했었지요.
    벌갱이로 몰리면서까지 그토록 탄압을 받으면서도...
    그랬기에 바로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는 것입니다.

    남북분단 역시 미국, 소련과 같은 열강들의 작위적인 전력의 일환이었고...
    그 넘들이 우리 민족을 사람으로 생각이나 했을까요?
    그저 아프리카 식인종(?)보다야 조금 더 생각했을까요?

    그로 인한 이 극한의 분열... 참으로 가슴이 답답합니다.
    아직도 미국을 어버이의 나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아서...
    김일성, 김정일을 어버이로 생각하는 것과 도대체 무엇이 다른가요?
  • 오잉? 2010.01.17 21:58 (*.132.16.187)
    우리나라 아직도 정신적으로는 식민지나 마찬가지 아닌가요?

    의식있는 사람이 열에 한명정도도 안되는거 같던데....
    돈좀 벌어 요즘은 먹고는 살지만 정신적으로는 식민지국민으로 보이는데...
  • 금모래 2010.01.18 09:20 (*.152.70.244)
    사람이든 국가든 남에게 종속되면 제 구실을 못하기 마련이죠.
    종놈인지 동반자인지는 처한 여건과 의식 수준에 따라 달라질 듯.
  • 쾌girl조로 2010.01.24 04:16 (*.174.219.217)
    이건, 또...뭡니까 ????
    미국에선, 헤이디의 구명 운동에 정신이 없는디....고작...의견 내놓는것이,
    반미 운동 입니까 ?....빨갱이들이, 미국을 'imperialist Yankee bastards'로 항상 부르짓듯이...
    헤이디의 비극을 이용해서, 또...반미 정서를 불러일으키고 있군요....
    뭐...영국, 프랑스,스페인,러시아,중국...들은 남의 나라를 침범해서..식민지로 통치한 적이 없나요 ?

    님들이 똑똑하고 잘 나서, 한국이 헤이디 보다 잘 사는게아니라...
    일본 식민지하에 태어나서, 공산주의를 배척하고 비극의 6.25를겪고... 가난을 극복하기위해
    열심히 일하고...자녀들 교육에 헌신을 다 받친, 님들의 부모님 세대때문에 잘 살고 있는겁니당~Okey Dokey, dudes ?
    자~, 자...모두들 미국의비난 과 잘난척은 그만 하시고...헤이디를 어떻게 도와 줄수있는가 하는 의견이나 내어보세용...

    혹시...헌금으로 도와주시고 싶은 분들을 위해서....
    redcross.org (800-help-now), americares.org (800-486-4357), crs.org (877-help-crs)
    care.org (800-422-7385), doctorswithoutborders.org (888-392-0392), unicefusa.org (800-4unicef)
    이 단체들은 믿을수있는 legitimate 단체들이니깐....contact을 하셨어...헌금이나 좀 하시죵~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538 ☞:미야자키 하야오... 미래소년 코난 아시나요? 말괄량이 2000.06.04 6777
7537 주인장의 영화얘기 바톤을 이어..... 4 누구 2000.07.26 7435
7536 말이 안나오네.....보충!! 형서기 2000.07.28 6445
7535 朝깅! 午깅! 夜깅! ....조심! 조심! 泳瑞父 2001.01.02 6296
7534 朝깅! 午깅! 夜깅! ....조심! 조심! 泳瑞父 2001.01.02 6954
7533 朝깅! 午깅! 夜깅! ....조심! 조심! 泳瑞父 2001.01.02 4934
7532 스트레칭에 대해서........ 오모씨 2001.01.02 4980
7531 ☞ 또 스트레칭 오모씨 2001.01.02 4777
7530 ☞ 또 스트레칭 오모씨 2001.01.02 5054
7529 ☞ 또 스트레칭 오모씨 2001.01.02 5111
7528 오늘 -바람의 계곡 나우시카-를 봤는데요.. Clara 2001.01.05 4691
7527 눈길을 뛰다... 형서기 2001.01.20 5810
7526 나두 뛰고 싶어요 닌자 2001.01.23 4693
7525 또 질문 있습니다 닌자 2001.01.24 4570
7524 꼬/셨/다 화음 2001.02.01 4328
7523 헉. 조깅은 커녕.. ganesha 2001.02.01 5388
7522 저는 조깅매니아.. 2001.02.10 4871
7521 여의나루에 있는 여의도 공원!! 덜렁이 2001.02.14 4904
7520 ☞ 벽돌길 조깅하기^^ 화음 2001.02.18 4302
7519 ☞ 벽돌길 조깅하기^^ 화음 2001.02.18 3775
7518 ☞ 벽돌길 조깅하기^^ 화음 2001.02.18 7473
7517 ☞ 벽돌길 조깅하기^^ 화음 2001.02.18 4310
7516 간단한 참치 샌드위치 지우압바 2001.02.19 4073
7515 간단한 볶음밥 지우압바 2001.02.19 5063
7514 조깅은. 으랏차차 2001.02.19 4011
7513 식빵 yo 2001.02.20 6829
7512 라면..... yo 2001.02.20 6313
7511 Tea time... yo 2001.02.22 4019
7510 허걱...뛸 이유가 없어졌다!!! 형서기 2001.02.25 2906
7509 허걱...뛸 이유가 없어졌다!!! 형서기 2001.02.25 3215
7508 허걱...뛸 이유가 없어졌다!!! 형서기 2001.02.25 4915
7507 허걱...뛸 이유가 없어졌다!!! 형서기 2001.02.25 3874
7506 라면요리의 최고봉(?)..아직 안만들어 봤지만.. 지우압바 2001.02.26 4504
7505 저 이번에 마라톤 나갑니다. 김종표 2001.02.27 4329
7504 이번 마라톤 일자는요. 김종표 2001.02.27 4455
7503 조깅을 대신하여.. ganesha 2001.03.01 3953
7502 조깅하시는 분들을 위한글입니다. 김종표 2001.03.02 4895
7501 음식궁합 김종표. 2001.03.02 6477
7500 오늘 시작한 유도는.. ganesha 2001.03.02 6068
7499 "눈물없이 먹을 수 없는" 라이스 쎈드위치 변소반장 2001.03.05 4729
7498 서울 마라톤 후기 김종표 2001.03.05 5686
7497 내가 속해있는 맛집멋집 동호회 오모씨 2001.03.06 7017
7496 "라면" 그것이 알고싶다.....알고 묵읍시다! 반짱 2001.03.22 4734
7495 업그레이드 참치 샌드위치 지우압바 2001.03.27 4482
7494 갑자기 탕수육이 먹고 싶을때.. 3 고정욱 2001.04.18 3803
7493 테니스는 어떠세요? 4 셰인 2001.04.19 3653
7492 테니스는 어떠세요? 4 셰인 2001.04.19 3525
7491 테니스는 어떠세요? 3 셰인 2001.04.19 3509
7490 테니스는 어떠세요? 3 셰인 2001.04.19 6820
7489 라면..전자레인지에 끓이면?? 4 고정욱 2001.04.20 4807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