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142.238.37) 조회 수 5332 댓글 13
上善若水. 水善利萬物而不爭,
處衆人之所惡. 故幾於道.
居善地, 心善淵, 與善仁, 言善信, 正善治, 事善能, 動善時.
夫唯不爭, 故無尤.

노자 (도덕경 팔장)

최상의 선은 물과 같다. 물은 만물에게 혜택을 주지만 다투는 일이 없다.
사람들이 싫어하는 낮은 곳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도(無爲自然)의 모습과 가까운 것이다.
사는 곳으로는 땅 위가 좋고, 친구는 어진 사람이 좋고,
말은 진실 한 것이 좋고, 정치나 법률은 세상이 잘 다스려 지는 것이 좋고,
일은 처리하는 데에는 유능한 것이 좋고, 행동은 적당한 시기를 아는 것이 좋다.
물 또한 이러한 것들을 모두 갖추고 있다.
즉, 땅 위에 안정되어 있고, 깊이 괴어 못을 이루고,
만물에 혜택을 주어 사랑을 베푼다.
물의 위대함은 만물에 순응해 다투지 않음에 있다.
다투지 않음으로 실수도 잘못도 범하지 않게 되니
도를 체득한 성인의 모습들도 이 물과 같다.
Comment '13'
  • 2009.05.15 09:48 (*.184.77.156)
    동양사상은 자연의 형상에서 지혜를 구하는 경우가 많은데
    노자도 예외가 아닌것 같습니다.
    풀무 , 谷水 (여성기를 상징하겠지만..), 수레바퀴의 無의 유용성
    물의 비유 ..등등 모두 우주생성사멸순환의 설명이자 인간의 도리를
    논하는 거겠지요. 유교와 대척점에 있는 처세론이 많아 재야에 인기있는 사상..
    자연의 형상과 현상에서 인간 행동의 정당성을 구함이 타당성이 있느냐는
    논란은 늘 안고가야하는 동양학의 숙명이기도 합니다.

  • 정말 2009.05.15 09:57 (*.201.41.64)
    좋은 글귀라 생각합니다. 마자님 고마워요..... 그리고 훈님의 평도.....
  • 샤콘느1004 2009.05.15 10:16 (*.75.208.145)
    절대선은 있을수없습니다.... 물의 포악한 모습도있는데
    물의 좋은면만 부각시킨다고 물에대한 설명이 다 된것은 아닙니다.
    한쪽으로 치우친 설명이 진리는 아니고 진리라는 개념도 인간이 파악할수있는 개념도 아니고..
  • ... 2009.05.15 10:45 (*.6.1.81)
    물자체는 포악한면이 없읍니다.
    인간이 포악하다고 느낄뿐이죠.
  • 쏠레아 2009.05.15 10:57 (*.35.249.30)
    물 자체에 포악한 면이 없다면,
    인간 자체에도 역시 포악한 면이 없다고 해야합니다.
    왜냐하면 '포악'하다고 느끼는 것은 인간의 마음이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선과 악을 논할려면 누구의 입장에서 또는 무엇의 입장에서
    선과 악인지 확실히 해놓고 논해야 합니다.

    인간의 입장에서 선함을 논하면 물도 포악할 수 있으며,
    자연의 입장에서 선함을 논하면 인간도 포악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자연의 입장에서 볼 때 사자가 사슴을 잡아먹는 것은 전혀 포악한 것이 아니듯...
  • 샤콘느1004 2009.05.15 11:15 (*.75.208.145)
    善 과 水 에 대해 논하려면 한도끝도없습니다.
    水 하나만 가지고도 책 몇권이상은 나올수있는것이고.. 표리나 본말 체용이 같은것은 있을수없습니다.

  • 제이슨 2009.05.15 12:14 (*.30.30.20)
    공자의 사상은 인위(人爲)의 사상인데 비해 ....노자의 사상은 무위(無爲)의 사상이라서...
    워낙이 어렵는데...여기서 또 어렵고도 좋은 말씀을 듣네요.^^

    장자를 논하실때 스승인 노자도 논하실것 같았는데..하시네요.
    공자학파들은 노자학파를 무시했다죠...너무 구름잡는 소리를 한다고...ㅋㅋㅋ

    이 험난한 현세에 사는 저로선 근20여년만에 노자글을 대하니 감회가 새롭습니다.
    어릴땐 노자왈~하면서 남들 알아듣지도 못할것 알면서도 노자말씀 써먹던 기억이...ㅋㅋㅋ

    청량제 같은 좋은 말씀 잘마시고 갑니다.
  • 루팡 2009.05.15 12:24 (*.58.13.15)
    물을 빙자해서 마음 속에 있는 지혜를 설명하는 것이겠죠. 물 대신에 '허공' 소재로 택하면 부처가될 것이고
    '만물을 창조한 신'이란 이름을 빌리면 예수가 되지 않을까요? 물 대신에 노자를 보면 노자와 친교가 생길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 磨者 2009.05.15 13:00 (*.142.238.37)
    韓非子 解老에서는 물(水)을 이렇게 이야기 합니다.

    萬物得之以死, 得之以生.
    萬物得之以死敗, 得之以成.
    道譬諸若水.
    溺子多飮之卽死,
    渴者飮之卽生.

    한비자 - 해노

    만물이 도를 얻어 죽을 수도 있고, 또 살 수도 있다.
    만사가 도를 얻어 패망할 수도 있고, 또 성공 할 수도 있다.
    도를 비유 하건대 물과 같은 같은 것이다.
    물에 빠진자가 물을 너무 많이 마시게되면 곧 죽을 것이요,
    심히 목마른 자가 적시에 알맞게 물을 마시면 곧 살아날 것이다.





  • 제이슨 2009.05.15 13:17 (*.30.30.20)
    磨者님 언제 한번 제가 존경하는 중국미국인이신 현대 철학자(작가, 문학비평가) 임어당에 대해서도 한번 말씀을 부탁드립니다.
    장자와 노자를 이야기했던 그분....장자가 노자를 이야기하다...
    내용들이 ..기억이 가물가물 합니다.

    그분의 좋은 말씀 부탁드립니다.
  • 磨者 2009.05.15 13:42 (*.142.238.37)
    임어당(林語堂)에 관하여 저 또한 많이 접해보지는 않았지만
    덧글이 아닌 게시글을 빌어 임어당의 수필 중 한 가지 소개할까 합니다.

    “학자는 입으로 먹은 것을 토하여 새끼를 양육하는 큰 까마귀와 같은 사람이고,
    사상가는 뽕잎을 먹고 명주실을 토해 내는 누에와 같은 사람이다.“ -임어당-
  • 콩쥐 2009.05.15 15:39 (*.161.67.116)
    임어당 그런말을 했다면
    좋은책도 남겼을거 같아요.............

    마자요, 배울점만 취하면 되죠....비유란 그런목적이죠.

    하하하 오늘 한자 찾아보니 마자님이 맞군요...무슨한자인가 햇네요...
    마자님덕분에 한문 배우는 재미가 쏠쏠.....
  • 자판기생수 2009.05.16 16:27 (*.184.120.148)
    물은 물이로소이다....결국 제눈에 안경이죠..

    놀자가...내보다 잘날때도 있고....내가 잘날때도 있겠지...

    선한 진리와 올바른 배움과 그에 따른 행동이 일치되는...교육이 절실할때 입니다...

    깜도 안되는 시시비비를...지나치지도 않으면서...가리지도 못할 때는 ...

    배움과 인성과 취향의 안타까운 부조화 인가요.....너도 나도...what a shame~!!!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387 내 친구 박지열<2>(펌) 25 file 뽀로꾸기타 2004.09.11 8829
6386 오모씨님의 강력한 파워!!! 뿌웅~=3=3=3=3 3 용접맨 2004.09.12 4971
6385 혈액형 분석 13 내공 2004.09.13 4838
6384 울아들 1 file 용접맨 2004.09.14 4361
6383 꼬추보인......19세미만가~ 6 file 용접맨 2004.09.14 10171
6382 고사성어 5 내공 2004.09.15 4237
6381 유별난 입주자 . 12 file 오모씨 2004.09.15 5516
6380 별나게 담배를 끊은 경우.... 8 아이모레스 2004.09.17 5125
6379 거리의 기타리스트 2 file 1000식 2004.09.18 5464
6378 BWV 2 ZiO 2004.09.19 4260
6377 홍콩에서 올리는글... 4 2004.09.19 4353
6376 처음으로 설역에서 KTX 타면서.. 8 file 오모씨 2004.09.19 4773
6375 가을... (음악추가) 12 토토 2004.09.19 5451
6374 아 ~ 홍콩간다 3 file 2004.09.20 5409
6373 [re] 홍콩서 발견한 ****님 어릴때 사진. 11 file 2004.09.20 5582
6372 [re] 홍콩화가 그들도 바뻤다. 1 file 2004.09.20 3956
6371 [re] 홍콩도 경극을 즐기고 1 file 2004.09.20 5260
6370 [re] 이층버스 2 file 2004.09.20 4773
6369 합창대회 때문에... 41 꽃피는봄이오면 2004.09.20 10766
6368 [re] 홍콩서 만난 하까란다물방울 ? 1 file 2004.09.20 4332
6367 [re] 음악에 관한 작은책? 1 file 2004.09.20 5141
6366 글을 보아하니 당신은 딱 고등학생이군요, 맞죠? 7 file 으니 2004.09.20 4613
6365 [re] 홍콩의 야경 5 file 2004.09.20 3996
6364 제가 돌아왔습니다.. 5 꿈틀이. 2004.09.20 3857
6363 제 배너 어때요 ㅋ 25 file 한민이 2004.09.20 4783
6362 More than words 와.. 누노의 기타.. 14 file 한민이 2004.09.22 4454
6361 쌍화탕을 마시며.... 12 nenne 2004.09.22 5425
6360 나무늘보의 지혜... (줄 띄어쓰기 버전) 8 아이모레스 2004.09.22 5392
6359 울 이뿐 알바생이 내 카르카시기타교본 보고 하는 말이... 2 오모씨 2004.09.23 4324
6358 someday i 3 file 한민이 2004.09.24 4025
6357 개체거리 11 niceplace 2004.09.24 4061
6356 작년과 올해가 또 다른 가을 3 file 으니 2004.09.24 3912
6355 전국 미술대회 휩쓴 섬 초미니 학교 4 오모씨 2004.09.24 4818
6354 점심먹다가 인도인들의 춤과 음악도 듣고.... file 2004.09.25 4630
6353 고사성어 2 3 내공 2004.09.26 3892
6352 매냐님들 추석 잘 보내세요~~~ ^^// 7 오모씨 2004.09.26 4867
6351 limnz님을 위한 송편 8 file niceplace 2004.09.27 4198
6350 손가락을 브이자로 해주세요 28 으니 2004.09.27 4070
6349 지금 이시각 북경의 달모양이 어떤지 아세요? 7 file 차차 2004.09.28 4320
6348 기타를 배운다고? 5 file citara 2004.09.29 3935
6347 꼬마기타리스트 5 file gundal 2004.09.29 4092
6346 [re] 핫핫핫..같은짓. 4 file citara 2004.09.29 4409
6345 사랑할만한 사람 9 - 픽션 2 으니 2004.09.30 4235
6344 인식과 판단. 13 file 2004.09.30 5672
6343 무제. 6 ZIO 2004.10.01 4443
6342 빅뉴스. 1 2004.10.01 3954
6341 그래서 학교에 의존하지 말랬쟎아요? 26 file 2004.10.01 4406
6340 넨네님 으니님 보셔요.. 2 seneka 2004.10.01 3746
6339 웃음이 눈물보다 더 아름다워야만 하는 이유... 5 아이모레스 2004.10.01 4705
6338 사고결과_행복했던 이야기 5 nenne 2004.10.01 6546
Board Pagination ‹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