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09.01.29 13:39

저만 그런가요 2

np
(*.10.160.109) 조회 수 3266 댓글 6
튜닝기로 튜닝하고 나면 1번선이 항상 낮게 느껴지는데 ...

저만 그런가요?
Comment '6'
  • 복숭아boy 2009.01.29 13:55 (*.6.221.169)
    저도좀 그러네요 약간 올립니다 그래서
  • V.A 2009.01.29 15:32 (*.165.34.125)
    기계의귀 보다는 사람의귀 낫다고 생각하는데 저만 그런가요?...
  • 금모래 2009.01.29 17:26 (*.152.69.54)
    햐, 희한하다. 저도 그러는데...
  • gmland 2009.01.29 18:28 (*.165.66.74)
    기타는 평균율 악기이고, 음향물리학적 협화음정 주파수는 평균율과 다르지요. 이때 피타고리안에서 E음은 C음을 기저음으로 할 때 진동수 비율 5:4의 불완전 협화음정(408 cents)인데, 평균율 상의 E음은 그보다 미세하게 낮게 설정(400 cents)되어 있습니다.

    음악을 오래 하면 자연스럽게 음향물리학적 협화음정에 익숙하게 되고 평균율 상의 E음 조율은 좀 낮게 느껴집니다. 특히 클래식 기타음악처럼 협화음을 많이 다루게 되다 보면...

    오케스트라에 편성된 선율악기들은 그 조율에 있어서 아직도 피타고리안에 보다 가까운 순정률 계통을 많이 쓰며, 기준음 자체도 MIDI 협약 440 Hz보다 2~4 Hz 정도 높게 잡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는 평균율 악기인 기타가 오케스트라에 편성됨에 있어서 또 하나의 걸림돌로 작용하게 됩니다.
  • np 2009.01.30 00:32 (*.147.251.248)
    하 ... 저만 그런 것이 아니군요. 다행입니다.

    gmland님 ... 친절한 설명에 감사드립니다
  • gmland 2009.01.30 02:12 (*.165.66.74)
    별 말씀을...

    그래서 절대음감이란 개념도 참 애매한 것이 되고 마는데, 화음악기인 건반악기 및 지판악기는 대개 평균율로 조율하므로 ㅡ 기타는 프렛의 존재 때문에 평균율로 고정된 것이고 ㅡ 이때 절대음감이 피타고리안/순정률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냐, 평균율에 의한 것이냐 하는 점도 문제 되지요. 수치상으로는 미세하지만 음악을 오래 하면 모든 음에서 상당한 차이를 느끼게 되거든요. 이것 때문에 조율이 안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애매한 절대음감보다는 상대음감이 훨씬 더 절실하고 중요함을 깨닫게 되지요. 기타의 경우, 개방현-1을 피타고리안으로 조율해버리면 다른 프렛에 있는 음들이 틀어져버리고, 이현동음마저도 맞출 재간이 없게 되지요. 그래서 차라리 기계에 의존해버리는 게 낫습니다.

    게다가 미세한 제작 상의 오류 및 현 높이에 따른 pitch 변질 등이 가세해서 조율과 연주를 더욱 더 어렵게 만듭니다. 이때 지판으로부터 높은 현은, 발레 상태에서의 연속적 스케일링 및 장시간의 발레 코드 진행에 따른 쓸데없는 피로감을 가중시키는 점 이외에도, 프렛마다 다른 음고의 변질을 가져오므로 연주자를 더욱 더 짜증나게 만들지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37 하고싶은게 너무 많아서 큰일입니다 file 김장철 2006.02.17 3289
1036 요즘 가장 각광받는 작업곡입니다. 2 오모씨 2004.07.20 3289
1035 안타까운 영상 2 기사 2014.04.26 3288
1034 친구 2010.06.16 3288
1033 악기와 남녀 7 2009.09.28 3288
1032 Over the Rainbow..... 1 GuitarVet 2007.02.25 3286
1031 내가 운영자라면... 5 익명 2006.12.22 3286
1030 온 세상이 음악처럼~ 1 오모씨 2005.02.14 3286
1029 [re] 읽고서.. 5 무사시 2004.01.10 3286
1028 진짜와 가짜... ... 2008.10.28 3285
1027 박근혜 동영상(펌) 펌맨 2008.07.01 3284
1026 현상금 3 콩쥐 2007.05.12 3283
1025 오늘 차사고 났읍니다. 4 mugareat 2006.01.06 3283
1024 [re] 꽃미남 야마시타 2 2 file 희주 2006.07.10 3282
1023 남과 여... 그리고 사랑이란... 4 pepe 2004.01.03 3282
1022 여자의 비싼 몸값 2015.01.27 3280
1021 박쥐 5 쏠레아 2009.05.16 3280
1020 공통점 4 pepe 2003.10.07 3280
1019 간단한 유부초밥 새내기 2001.05.14 3280
1018 전등사 사찰음식 2015.10.01 3279
1017 지리산의 잠자리 file 콩쥐 2009.08.01 3279
1016 ㅎㅎㅎ 아래 홈페이지 삭제 됐네요. 7 *** 2009.05.27 3279
1015 동아리 홍보차 왔습니다.!!! 전북대학교고전기타반 2008.09.09 3279
1014 좌파 그리고 우파 12 np 2008.06.23 3278
1013 지얼님 이메일 주소가 어찌돼여? 7 2004.04.20 3278
1012 나무소리 5 np 2007.04.06 3277
1011 아름다운 두보르닉.. 5 file 방랑자 2006.10.16 3277
1010 네이버에 있길레.. 퍼왔어요.. 9 file 나그네.. 2005.09.29 3276
1009 [re] 매가 필요없는 이상사회를 위한 교육제도제안. 2 2004.04.12 3276
1008 문화원 vs 문화의 집 콩쥐 2009.09.25 3275
1007 눈 너무 왔어요.. =-= 3 토토 2008.01.03 3274
1006 대단한 영어공식(펌) 3 기타마니아 2006.07.19 3274
1005 지적소유권 17 2003.06.15 3274
1004 6일간 입을수있다는 팬티. 3 file 콩쥐 2006.04.16 3273
1003 마이크맨 김 씨... 1 버들데디 2009.10.23 3271
1002 [사진] 슬픔 3 file 차차 2004.05.31 3271
1001 Glenn Medeiros - Long and Lasting Love (Once in a Lifetime) 기사 2014.10.01 3270
1000 jess님 특별한 경험 2 콩쥐 2009.09.15 3270
999 따로국밥 18 청진기 2009.06.15 3269
998 11:0 1 file gil 2006.10.20 3269
997 클래식기타와 랩 힙합 2015.08.20 3268
996 1 2014.08.18 3268
995 [re] 청계산 방문하신 장대건님 부부3 1 file Ceo. 2005.11.10 3268
994 새싹~ 12 file 오모씨 2005.04.13 3268
993 남자는 키가 커야한다. 1 file rainbow eyes 2007.02.04 3267
» 저만 그런가요 2 6 np 2009.01.29 3266
991 새우축제 file 콩쥐 2014.10.06 3266
990 보사노바 (BOSANOVA) file cho kuk kon 2009.04.02 3265
989 여러나라 노래책 file cho kuk kon 2009.04.23 3264
988 [re] 장대건님 사진 file 콩쥐 2005.11.10 3264
Board Pagination ‹ Prev 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