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110.140.222) 조회 수 5440 댓글 14
피카소(1881년 10월 25일 (스페인) - 1973년 4월 8일) 의
초창기시대 (1900년이전) 청색시대(1901-04년)  장밋빛시대(1904-06년)의 그림들입니다.
다들 피카소의 청년기의 그림들이죠. 그의 희안한 추상화만 아시는분들이 많지만
그는 어릴때부터 그림의 천재였고 청년기의 이런 놀라운 구상화로 이미 경지에 들어서
있었던 그림 천재였습니다.  어느날 갑자기 피카소의 입체파추상화가 나온게 아니랍니다.

그림이 많아 링크만 시켰습니다.

http://blog.daum.net/wcm001/9775439

http://blog.naver.com/graynote?Redirect=Log&logNo=8171778

http://cafe.naver.com/kb4545.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166

http://blog.daum.net/fridry/11496604

Comment '14'
  • BACH2138 2008.05.10 11:09 (*.190.52.77)
    피카소의 예술을 보다보면 음악가들의 예술 경향과도 비슷하게 닮아 있다는 것을

    느끼곤 합니다. 젊을 때에는 직접화법을 투영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점차

    관조적이고 간접화법적인 어법을 투영하니 말이죠. 일례로 베토벤같은

    경우도 말기의 현악4중주나 피아노 소나타, 디아벨리 변주곡들은 굉장히

    추상적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바흐는 음악자체가 그렇다 치더라도 말이죠.

  • np 2008.05.10 13:26 (*.104.11.74)
    입체파는 추상적인 그림이 아니라 사물을 더 사실적으로 그리기 위한 (시간이란 차원을 추가해서...)

    시도입니다.
  • 2008.05.10 13:43 (*.110.140.222)
    np님은 그동안 글을 보면 단정적인 용어를 많이 쓰시더군요..
    님 댓글의 근거를 요구하고 싶지만 별로 그러고 싶지 않군요 ..
    (설마 옆모습 앞모습 등을 동시에 볼수있게 그린 그림등을 보고
    추상화가 아니라 시간을 추가해 사물을 더 사실적으로 묘사하기 위한
    시도라고 말씀한것은 아니겠지요? ^ ^)
    그림은 보고 그냥 즐기면 되는 거니까.. ^^
  • 허니 2008.05.10 13:48 (*.83.43.209)
    .-_-.
  • np 2008.05.10 14:27 (*.104.11.74)
    훈님 ... 괜히 딴지 건 것 처럼 느끼셨다면 죄송합니다.

    1905년 아인슈타인이 특수상대성이론을 발표하고

    피카소가 1907년 아비뇽의 처녀들이란 최초의 큐비즘 작품을 내놓는데 ...

    두가지 사건의 공통점은 시간이란 차원을 3차원 공간에 결합함으로서

    우주의 현상을 더욱 정확히 설명하고 표현하려고 한 것이라고 할 수 있죠.

    입체파는 사물을 더 사실에 가깝게 표현하고자 한 시도 쟎아요?

    하지만 입체파에 대한 설명을 듣지 않은 일반인들은 피카소의 그림들을

    추상적이라고 느끼죠.

  • BACH2138 2008.05.10 16:42 (*.190.52.77)
    훈님의 이야기는 피카소의 그림의 전반적인 흐름으로 파악하면 그다지

    거슬리지 않게 보이는데요.


    저도 그림은 잘은 모르지만, 입체파가 사물을 더욱 본성에

    가깝게 그려려는 시도라는 것을 그 개념징표로 인정하지만, 그런 개념징표가 그림이

    추상적이 아니라는 것을 이야기하지는 않아 보입니다. 사물을 원통이나 원추등으로 묘사하거나

    겹치게 그리는 등 이해하기 몹시도 난해한 이그림을 추상적인 그림이 아니라고 단정하신 부분은

    저 개인적으로는 납득이 가지 않습니다.


    과연 입체파그림에 대해 설명을 세세히 듣고도 그런 그림을 다른 사실화만큼 이해하리라 보이지는

    않아 보입니다. 대개들 이런 그림은 어렵다고 느끼죠.
  • 남부터미널 2008.05.10 16:43 (*.225.167.19)
    `입체파추상화`라는 명칭이 모호하네요.
    미술 전문가가 아닌 상식적 관점에서 볼 때
    사물의 내면을 잘 표현하기 위해 앞,옆모양을 이차원 평면에 그린 그림과
    몬드리안의 기하학적인 형체와 차이가 있잖아요.
    추상,추상 예술,추상화 뜻을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피카소의 그것(흔히 보는 일반적인 작품만 볼 때)과 차이가 있고요.
    자전거 핸들을 뽑아서 소뿔이라고 한 작품은 추상 예술이라 볼 수도 있지만요.

    비꼬는듯한 어투는 별로 좋지 않아보입니다.
  • 2008.05.10 16:54 (*.110.140.222)
    저는 그림을 잘모릅니다. 그냥 그림 감상하는걸 좋아하지요..
    그래서 피카소의 그림을 추상화라고 하는지..큐비즘이라고 하는지 입체파라고 하는지
    잘 모릅니다. 그냥 사람들이 입체파 내지 추상화라고 알고 있어니 그리 부른거구...

    비꼬긴요... 내가 언제...ㅎㅎㅎㅎ
    단정을 짓는데에 대해 근거를 요구할까 하다가.. 관둔거 밖엔...
    저는 어떤 개념에 단정지을것은 이세상에 하나도 없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거던요.
  • BACH2138 2008.05.10 17:08 (*.190.52.77)
    입체파는 분명히 추상화와는 달라 보이기에(사견) 저는 훈님의 표현을

    [입체파, 추상화] 요런 식으로 선해를 했답니다. 피카소 그림중에도 추상화로

    분류할 작품이 존재하리라는 가능성 때문에요.

    그리고 입체파미술에 대해서는 그들의 예술 의도에 불구하고 추상적이라는 평가는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사견일 수 있지만 말입니다.
  • 2008.05.10 18:23 (*.110.140.222)
    추상이란말이 사물을 규정할수 없다는 뜻이라면..
    음악은 전부 추상입니다. 비록 가사가 붙으면
    가사상으론 어떤 의미를 지니지만 가사가 제거되면
    그 음악자체론 청자가 무한대의 상상이 가능한 추상이 되겠지요.

    피카소의 입체파그림(용어가 모호하다고 하니 부를게 없어 이하 같이 부름)이
    어떤 일정형태 ..사람이나 사물을 가지고 있어서 추상이 아니다고
    한다면 우리는 그의 그림에서 그 사람과 그 사물만을 느껴야 하겠지만
    제 개인적으론 피카소의 그림에서 느껴지는 것은 그 사람이나 그 사물이 아니고
    그 선과 원 조합과 그 색감에서 느껴지는 모호하고 오묘한 환상입니다.
    그렇게 보면 제 개인적으론 피카소의 그림은 추상화가 될수도 있겠군요.

    저는 그림 보는 눈이 없어서인지 피카소의 입체파그림에서 사물을 더 사실에
    가깝게 묘사하기위한 구성으로는 느끼지 못하고 있습니다.
  • 무개념 2008.05.10 21:23 (*.51.137.251)
    추상화나 사실화라는 표현이 그렇게 깔끔한 개념정립이 안되어서 그런 혼돈이 오는거죠.
    그냥 쉽게 말해서 피카소의 그림들은 추상화가 아닙니다. 사실화도 아니죠. 그래서 생겨난게 반추상, 반사실화란 개념이죠. 기본적으로 사실화란 일반적인 견해로는 눈에 보이는대로 그리는걸 말합니다. 장미꽃이 장미꽃 처럼 보인다는 거죠. 그런데 그걸 장미꽃의 그 붉은 색의 기운만 뽑아내서 표현하고 싶다 해서 그린 그림은 추상화가 되는겁니다. 그러니까 간단히 말하면 추상화란 그 사물의 구체적인 본성에서 작가가 의도한 부분적인 성질이나 개성을 표현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큐비즘(입체주의)란 그 근본은 아프리카 미술의 영향에서 출발했는데요. 다 설명하자면 너무 어렵고 말그대로 입체적으로 그려보자는 건데요. 우리 눈에 보이는 사물은 네방향이 있는데 그림으로는 한방향의 평면밖에 그리지 못하니까 모든면들을 조각조각 쪼개서 붙여보자는 개념에서 나온거죠. 글쎄 저도 그 작자들의 심도깊은 생각이야 모르겠지만 그동안 지겹게 평면적인 그림은 많이 그렸으니까 좀 따른걸 해보자는 시도인거죠.
  • 무개념 2008.05.10 21:40 (*.51.137.251)
    지금의 일반사람들은 인상파 그림을 그저 낭만적인 그림으로 인식하고 있는데요. 사실 인상파란 좀 더 사실적으로 표현해보자는 시도입니다. 사실 미술도 그 시대의 과학적 성과와 완전 무관한게 아니라서 그당시 광학의 발달에 힘입어 화가들도 영향을 받은거죠. 사물의 색이 보이는건 바로 태양광이 물체에 반사되서 눈에 보여지는 거라는걸요.
    미술의 역사로 보면 어떻게 하면 사실을 정확히 잘 전달할까라는 고민들의 연속인데요. 그게 인상주의 이전까지는 엄청난 손재주의 숙련도와 시각적인 세세함으로 극도로 올라섰습니다. 원근법과 단축법(누워있는 인물을 옆이 아닌 머리나 발쪽에서 애매하고 어색하지 않게 표현하는 기술)등의 발달로 거의 실재 처럼 그릴수있는 노하우가 축적되었죠. 그러자 사진술이 나오면서 더이상 어렵고 힘들게 파고들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그냥 사진 한방 찍는게 더 확실한 사실성을 부여하니까요. 그래서 화가들이 이탈하게 된거죠. 개념쪽으로.
    그냥 손재주로는 더이상 사실적으로 그릴수가 없지요. 그려니까 태양광으로 변하는 빛을 잡는게 더 사실적이라는 주장이 나온거고 그것도 평명적이다 사물의 4방향을 다 표현해야 더 사실적이다라는게 바로 큐비즘이죠. 그러자 그것도 어짜피 평명아니냐 해서 시간도 그려보자 해서 나온게 미래파의 그림들이고 아에 글자로 설명서를 쓰기도 하고 설계도를 그리기도 하고 하면서 나온게 개념미술이죠. 그런건 전부 쓸데없다 하는게 초현실주의고요.
    사실주의에도 여러가지 경향이 있습니다. 그냥 일반적으로 치밀하게 그리는 그림도 사실화지만 아주 치밀하게 대놓고 사진처럼 그리는 포토리얼리즘도 있죠. 하지만 포토리얼리즘은 그냥 사실적으로 그린게 아니라 개념적인 사실화로 봐야하죠.
  • BACH2138 2008.05.10 21:54 (*.190.52.77)
    음악을 듣다보면 입체주의는 바흐의 다성음악과 비슷한 느낌을 받고

    추상화는 무조음악같은 느낌을 받곤 합니다. 순수한 제 느낌이지만요.
  • 콩쥐 2008.05.10 22:56 (*.155.159.137)
    무개념님 덕분에
    미술에 대해 조금 더 배우게 되어 좋네요....
    미술쪽도 엄청 고민하는군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38 요즘 방학이라 다들 떠났군요.... 5 file 콩쥐 2009.07.21 5503
1437 김제동 최근 강의 <사람이 사람에게> 1 스골 2009.10.17 5504
1436 도굴지도 콩쥐 2013.10.01 5506
1435 저녁 사진 5 file 콩쥐 2012.11.16 5507
1434 그림 9 1 file 2013.12.04 5509
1433 익명성이 사이트를 좀먹고있습니다. 17 익명 2011.11.23 5510
1432 장독대 1 file 콩쥐 2012.06.04 5511
1431 어느목사가 주는 조언 13 고민 2012.10.01 5511
1430 108배의 의미 1 파랑새야 2013.09.23 5512
1429 [공지] 로그인제의 방식에 대한 의견수렴 42 은모래 2011.11.25 5512
1428 장님의 그림. 3 file 콩쥐 2010.09.05 5514
1427 6.17 국회. GMO 추방 공동대책위원회 구성 및 식약처 시행령 긴급 대책 회의에 초대합니다. 1 마스티븐 2016.06.10 5514
1426 서울대 6 file 콩쥐 2010.04.03 5515
1425 쏠레아님만 보세요. 15 file chokukkon 2010.02.18 5516
1424 가곡 감상 3 아포얀도 2011.01.28 5516
1423 신의 수 콩쥐 2012.09.04 5517
1422 反나르시즘... 5 지얼 2004.03.19 5520
1421 45년전에 마약을 정기 복용한 경험 30 Esteban 2008.07.20 5520
1420 통계로 본 우리나라 좋은나라? 1 콩쥐 2014.02.11 5522
1419 박정권 역사공부 2015.06.26 5522
1418 물방울 file 땡땡이 2011.08.05 5523
1417 연대 교수 150여명 교수 시국선언 1 괴담아니네! 2008.06.12 5524
1416 나는 조선의 옻칠장이다 - 전용복 4 고정석 2009.03.28 5524
1415 老子 - 上善若水(道德經 八章) 13 磨者 2009.05.15 5524
1414 천하의 사기꾼을 풀어줘 금모래 2013.02.15 5524
1413 희귀한 과거 사진들 1 file 꽁생원 2014.07.18 5524
1412 동성애 2 file 금모래 2013.12.18 5525
1411 L.A. 먹을꺼.. 2 뽀짱 2002.10.04 5526
1410 정말 눈 속에서 올라 오지요... file SPAGHETTI 2011.07.14 5526
1409 .... 3 file 정훈 2011.11.16 5526
1408 운영자님 보세요... 11 file 2011.11.25 5526
1407 매번 반복되는일 2015.07.03 5526
1406 진격의 거인 1 콩쥐 2013.07.23 5526
1405 세종대왕의 '칭구' 2 피아꼴 2011.12.27 5527
1404 논문 검색하다... 1 file 김동현 2004.01.15 5528
1403 임재범, UC버클리서 열창…기립박수 받아 file 가요 2011.09.22 5529
1402 종북은 실제로 존재하는가 8 드뷔시 2012.05.25 5530
1401 친구 2012.02.27 5531
1400 바다와 노인.. 2 황유진 2004.04.23 5534
1399 생일상 7 file 콩쥐 2011.01.19 5535
1398 공포만화 5 file 이토 준지 2004.02.18 5537
1397 가을이 그리워지는............. file 콩쥐 2013.02.24 5538
1396 쇼팽의 푸른노트 보셨어요? 콩쥐 2014.02.07 5538
1395 성적 노리개가 된 메르켈 독일 총리 1 file 이상한 성나라 2017.01.25 5540
1394 아~~ 4 pepe 2004.02.29 5541
1393 일상의 사소한 행복 6 조씨 2004.08.01 5541
1392 정말 리얼한 그림들... 2 그놈참 2004.02.10 5542
1391 한국미술전시관들의 현실 1 2013.09.02 5542
1390 학습과 세월 1 한여름 2013.04.08 5544
1389 봄이 오는 소리 4 file 콩쥐 2012.03.26 5544
Board Pagination ‹ Prev 1 ...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