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일본도 그런 평가를 받는데...

양식 물고기는 항생제가 양식?

△ 강원도 강릉의 한 광어 양식장에서 지난 15일 사료를 주고 있다. 물고기 병이 돌 때만 항생제를 수조에 넣는 이 양식장과 달리 생사료에 항생제를 섞어 일상적으로 뿌리는 곳이 적지 않다. 강릉/임종진 기자 stepano@hani.co.kr
        
  관련기사

# ① 가공식품 - 가죽 폐기물이 식품첨가제로
# ② 잔류농약 - 일손부족·때깔욕심 농약 ‘무신경’ 살포
# ③ 식품첨가물 - 나도몰래 ‘꿀꺽’
# 양식물고기 절반서 항균제 나와
# 어패류 속 중금속·환경호르몬 부작용

2.먹거리의 뒤풍경
④ 항생제

지난 15일 강원 강릉의 한 넙치(광어) 양식장. 총 수면적이 750평에 이르는 34개의 수조에 사료를 뿌리자 넙치 떼가 먹이를 향해 시커멓게 몰려들었다.

이 양식장 최아무개(39) 사장은 “넙치들은 서로 공격하는 성향이 있어서 크기가 다른 것은 수조를 분리해 줘야 한다”며 “그 때마다 비늘이 손상을 입기 때문에 병균이 침투하지 않도록 항생제를 쓴다”고 말했다.

이 양식장의 넙치가 1㎏의 성어가 돼 출하되기 전까지 겪는 선별작업은 한해 5~6번이다. 최 사장은 “병든 넙치를 쉽게 버리지 못하고 출하량을 늘리는데 급급한 양식장은 선별작업을 더 많이 하게 된다”며 “그럴수록 넙치는 스트레스를 받아 빛깔이 검어지고, 항생제 투입량도 많아지기 마련”이라고 설명했다.

넙치 양식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사료는 옥시테트라사이클린으로 병이 발생했을 때 수조에 타는 게 원칙이지만, 대부분의 양식장은 연중 내내 사용하고 있다. 특히 바닷물이 드나드는 가두리 양식장은 죽은 물고기에 항생제를 섞어 ‘배합사료’를 직접 만드는 게 관행화돼 있다.

항생제가 남아있는 물고기를 먹으면 항생제를 섭취하는 것과 같고, 섭취하지 않더라도 세균 간의 전이현상으로 생태계 전체의 내성률을 높인다. 세균의 내성률이 늘어나면 기존의 항생제가 듣지 않아 병의 치료가 어렵게 된다.

일년내내 먹여…맹독물질도 '관행'
내성 생겨 사용량 늘리는 악순환
약 안 먹이는 기간 반드시 지켜야

일부 양식장은 항생제 뿐만 아니라 포르말린도 사용한다. 양식어의 최대 천적인 스쿠치카라는 기생충을 박멸하기 위해 관행적으로 써오던 것이 아직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부패방지용으로 쓰이는 포르말린은 맹독성 물질이다.

남해안 가두리 양식장 등에서 10년째 양식장 관리를 해온 이아무개(35)씨는 “가두리 양식장은 바닷물이 드나들기 때문에 포르말린 사용량이 더욱 많다”며 “양식장 밀집지역에 가면 포르말린 드럼통이 산더미처럼 쌓여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항생제나 포르말린을 사용하다보면 물고기에 내성이 생겨 나중에는 효과가 떨어지고 또다시 사용량을 늘리는 악순환이 이어진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지난 6월 경북 울진군이 조사한 바로는, 관내 양식장 15곳 가운데 2곳이 포르말린을 쓰고 있었다. 울진군 관계자는 “리터(ℓ)당 600원인 과산화수소에 비해 포르말린이 200원 싸다”며 “독성이 없는 과산화수소를 권장하고 있지만 양식어민들이 선뜻 이를 따르지 않는다”고 말했다.

국립수산과학원 관계자는 “1990년대 중반 조피볼락을 대상으로 포르말린의 안전성에 대해 연구했으나 어류 내 잔류물질은 24시간 안에 사라졌고, 해수에서도 빠른 시간 안에 희석됐다”며 “적정한 휴약기간과 농도를 지키면 안전성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포르말린 살포 기준량을 두어 규제하고 있고, 일본은 지난해 나가사키현의 양식 복어에서 포르말린이 검출돼 논쟁을 거친 끝에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를 걸러내는 장치가 빈약하기 짝이 없다. 포르말린 살포지침이나 잔류허용기준 조차 마련되지 않은 상태이다. 항생제도 잔류허용기준치가 마련된 항목은 옥시테트라사이클린과 옥소린산 두 가지 뿐이다. 지난해 수산물 안전성 조사 수는 2817건으로 각각 2만건과 5만건이 넘는 축산물 모니터링 검사와 농산물 잔류농약 검사에 비해서 턱없이 적다.

정우건 경상대 교수(양식학)는 “항생제는 휴약기간이 지침으로 돼 있지만, 이를 지키지 않으면 잔류량이 인체로 흡수될 수 있다”며 “내수용 안전성 검사의 횟수와 품목을 확대하고, 생산해역과 병력 등이 기록된 생산이력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수산물 관리 시스템이 생산자 중심이었던 게 사실”이라며 “검사항목 확대 등 소비자 중심의 종합적인 안전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별취재반 society@hani.co.kr
Comment '1'
  • np 2008.05.04 14:31 (*.104.11.72)
    소고기도 못 먹고 ... 회도 못먹고 ... 도무지 먹을 것이 없군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37 수영장 오프모임 9 np 2007.07.17 3616
1736 배장흠 기타연주회에서 베누스토 합주단 단원들 1 file 김기인 2005.07.19 3616
1735 립싱크? (19금!!) 8 file 옥모군 2004.05.24 3616
1734 <아고라펌> 대한문앞 분향소 강제철거중이랍니다... file 하울 2009.05.29 3615
1733 불이 날 경우 예술가도 예외없이 화재진화에 힘을 써야 합니다. 5 file 1000식 2004.09.03 3615
1732 뽀사시 스튜디오(사진, 오디오, 음색 전문)에서 안내말씀 드립니다. 5 오모씨 2004.05.01 3615
1731 "지구를지켜라"..........일요일밤12시 sbs텔레비젼에서도 한데여... 3 2004.03.13 3615
1730 산정상은..2. file 콩쥐 2008.06.26 3614
1729 대안학교학생들.... 4 file 콩쥐 2008.03.26 3614
1728 문경석탄박물관 4 file 콩쥐 2005.08.24 3614
1727 술 산 드 라 !!!! 3 뽀로꾸기타 2005.07.07 3614
1726 허구헌날 길거리연주 file 2004.12.19 3613
1725 하카란다가 장미목인가요? 2 초보자 2004.01.29 3613
1724 정지민님. 쏠레아 2010.01.29 3612
1723 질문요.. 1 file ozaki 2008.06.04 3612
1722 감사합니다. 22 ^^* 2007.02.02 3612
1721 [김대중 대통령] 하지 못한 추도사를 대신하여 1 file 하울 2009.07.06 3611
1720 눈이 가물가물~ 4 aaatm 2008.12.04 3611
1719 부자연스런 잠자리. file 쌩쥐 2005.08.06 3611
1718 제 악기가 부러졌어요.... 4 윤현종 2004.11.30 3611
1717 언딘 기사 2014.04.27 3610
1716 사랑의 종말 8 file 우둑허니 2008.10.29 3610
1715 매미가 운다! 13 금모래 2009.07.23 3609
1714 [re] 광주여행.....무등산 1 file 콩쥐 2005.11.09 3609
1713 암도보지마셈 4 오모씨 2004.05.31 3608
1712 "다음"에서 글읽다가 .. 2003.08.20 3608
1711 촬영 auto, iso 800, with flash file 콩쥐 2009.03.25 3606
1710 밀입북 민노당원, 주요인사 100여명 노렸다 1 대체로 2006.11.18 3606
1709 잭존슨:천사 4 Spaghetti 2008.09.27 3604
1708 강원도로 이사간 부산 사람의 일기 4 오모씨 2007.03.31 3604
1707 무력 진압…시민여성 손가락 잘리기도 3 휴``` 2008.06.26 3602
1706 [re] [펌] 웃기는 수수께끼 2...^^.... 2 각시탈 2004.04.11 3602
1705 두얼굴 2017.03.10 3601
1704 갑자기 어제부터 생각난 시.... 12 file 쑤니 2005.11.01 3601
1703 문화원 개설 안내문 3 Segovia Kim 2005.01.16 3601
1702 사진 두장을 한꺼번에 올리는... file 아이모레스 2006.11.08 3600
1701 바램. 7 zio~iz 2004.05.31 3600
1700 한국·중국 대기오염 최악 환경 2015.12.16 3599
1699 명작중의 명작 Rome 추천합니다. 앨리스 2009.09.05 3599
1698 박하향기님보다 먼저...김연아 8 콩쥐 2009.06.22 3599
1697 그림자 예술입니다... 1 seneka 2003.10.05 3599
1696 프로그래머의 주기도문 5 신동훈=eveNam 2003.08.06 3599
1695 GM대우 2 천지대야망 2003.07.31 3599
1694 [re] 토론.. 2 ........ 2003.07.31 3598
1693 자랑스러운 우리 대통령. 2 쏠레아 2010.03.17 3597
1692 살아있는 전설 허본좌님의 call me 9 앨리스 2009.08.17 3597
1691 독일 작곡가 kerll 작곡가이름 2008.12.02 3597
1690 감상적인 기분.... 10 뽀로꾸기타 2004.04.06 3597
1689 할머니.......우리 할머니... 3 간절한` 2003.06.26 3597
1688 기타타고 항해 1 file 콩쥐 2008.10.16 3596
Board Pagination ‹ Prev 1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