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바로쎌로나는
전세계에서 가장 여행객이 많은 도시이다보니,
소매치기들이 여러나라에서  성수기에 물밀듯 몰려온다네요.

10번정도 시내를 나갓다가 12번을 만났으니 정말  소매치기소굴..

첨엔 마드리드에서
메트로안에서 4명의 소매치기 일당에게 포위되어
거의 가방이 다 열릴뻔 했으니  , 하도 맘에 안들게 생겨서 요주의하다가
결국 그네들의 접근을 눈치채고 빠져나왔네요....

에스컬레이터 에서도  그들은 뒤에서 배낭가방을  여유있게 열고
가져갈만한걸 더듬었죠.

바로셀로나에서는  그네들의 생김새(주로 남미계열)와
옷차림(비닐봉지나 옷을 팔에 걸고다닌다)을 대충 파악해서
이젠 곁에만 다가오면 그네들인줄 알고  피했는데,
동양인들이 그네들의 표적인거 같아요...

7번은 당하다가 빠져나왔고,
5번은 미리 짐작하고 도망갔어요.
이미 알고 도망가는데도 계속 따라오는 꼴이라니..불상한 중생들...
지하철에서 문 닫힐때쯤 갑자기 뛰어 내리기도 하고..내참.....이 나이에 웬 첩보작전...

항상 가방이나 주머니에는  
휴지나 공책등 별 가치없어보이는것을 가득 담아놨기에
그들도 피곤했을거 같네요...그 안에서 별거없는 지갑을 찾기란....

길가다  털린거 늦게 알고 우는사람도 많이 봤어요.
한 7번 본거 같아요..몇일사이에....
그분들 집에 돌아가긴 틀린건가?..오 이런....집떠나면 고생이라니까...정말...

한국에서는 40년간 한번도 경험해 본적없는  소매치기를 한달만에 도데체.....

혹시라도 여행가시는분들 계시다면
미리 대비해야 귀국 못하는 어려운일은 안 당할거 같아요....



      
Comment '14'
  • 견이 2007.08.02 11:28 (*.5.221.105)
    12번 당할 뻔 한것도 놀랍지만 그걸 하나도 안당한 콩쥐님도 대단하세요
  • 콩쥐 2007.08.02 11:44 (*.80.25.184)
    제가 한번도 안당한것엔 그네들의 얼굴이 한 몫 했습니다.
    그 멋지고 행복해야할 거리에서
    불필요하게 긴장하여 ,초조하고 또 불안해 보이는 그 얼굴들이
    제게는 매우 특이하게 느껴졌었거든요...
    왜들 저리 눈치를 보며 불안한 얼굴일까...

    나중에는 멀리서도 소매치기를 훤히 알아보게 되었어요.
    다만 그들을 알아보고도 소리칠수없는 소심함이 저를 지배했었죠...부족한 어휘력...

    바로셀로나시민들은 여행객들이 원정 온 소매치기들에게 당한다는걸 알고
    미리 알려주려고 많이들 노력하더군요...
  • np 2007.08.02 12:43 (*.104.8.21)
    요즈음 ...유럽이 먹고 살기 힘든가 보죠? 예전에 우리나라도 소매치기가 참 많았는데 ...

    (오랜만에 불러보네요 ... 쓰리꾼...)
  • 그게 2007.08.02 13:12 (*.227.72.153)
    오래전에 유럽인들에게 당한 남미계열이거나
    사회에서 직장을 잡지못한 부족들이겟죠...

    문제는 제가 본 그들이 다른곳에서 원정온 소매치기들이지
    오리지널 유럽인이거나 바로쎌로나 주민은 아니예요......

    결국 소외된 자들은 그런식으로
    다른사람을 힘들게 하며 살아가는 지구촌......
  • XXX 2007.08.02 14:46 (*.226.159.61)
    스페인이 발전하고 잘산다는 소리가 나면서부터, 아프리카,남미,모로코쪽 사람들이 몰려오고 있죠. 근데 그들이 막상 스페인에 와보면, 일자리가 없어서 소매치기에 빠지기 일쑤라고 하네요.그 이유는 스페인이 관광으로 발전하는 나라이기에..(요즘은 경제붐이 일어나서 경제발전도 급성장하고 있지만)사실 스페인사람들은 소매치기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고 하네요. 스페인사람들도 그래서 아프라키,남미,모로코쪽 사람들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마드리드,바로셀로나 같은데에서는 특히 조심해야하는데, 여행객같은 행동은 하지 말것과 지갑을 바지 뒷주머니에 넣는것 등도 하지 말아야한다네요..특히 아시아인들은 지갑을 바지 뒷주머니에 넣고 다는다는 인식이 박혀 있다고 합니다.
  • np 2007.08.02 15:15 (*.104.8.21)
    그러면 스페인에서는 빈 지갑을 필히 바지 뒷 주머니에 넣고 다녀야 겠군요.

    쓰리에 성공한 꾼의 허탈함 ㅋㅋㅋ

    콩쥐님의 경우를 보면 지갑을 12개는 준비해야 한다는 ...
  • np 2007.08.02 15:17 (*.104.8.21)
    지갑안에는 메롱이란 쪽지도 넣고 ...
  • 민.. 2007.08.02 16:15 (*.40.224.132)
    허~ 대단한 도시군요.
    그쪽 경찰들은 뭘하는지... 흠.. 그런 위험한 곳을 용케 잘 다녀오셨네요.
    요즘... 아프간 인질사태를 보면서 위험한 곳은 근처도 가지 말자라는 생각이 자리잡혀서~ ^^;
    나중에 울반 아이들에게도 쇠뇌시킬려구요.. ㅋㅋ~
    바르셀로나도 더불어 이야기해야겠네요.~ ㅎ~
  • rainbow 2007.08.02 17:38 (*.14.182.98)
    저는 동유럽의 꽃이라 불리는 프라하에서 쓰리꾼에게 디카를 ....
    아직도 디카를 못사고 겔겔댄다는...-_-
  • 히히;; 2007.08.06 17:44 (*.117.21.242)
    지갑에 뿩휴 그려놓은 종이 많이 넣어넣고 뒷주머니에 넣으세효
  • 2007.08.06 18:54 (*.227.72.9)
    오늘 스페인에 유학생활하시다 오신분 이야기 들어보니,
    더 위험한 도둑들이 관광객을 노리고 많이 활동한다네요....
    그 도둑들은 스페인사람 당연히 아니고
    아랍에서 혹은 남미등지에서 관광객노리고 건너온 건달들....

    남미도둑들은 한적한 지하철이나 골목에서 에워싸고 끌고가서 돈뺏고
    아랍도둑들은 밤에 한적한곳에서 몇이서 뒤에서 목을 졸라 기절시키고 턴다네요...

    소매치기는 그나마 아주 약한놈들에 불과하데요....
  • 답답해요. 2007.08.07 00:52 (*.210.231.253)
    불법체류자들이 아프리카 등 에서 목숨걸고 조그만 뗏목 타고 바다를 건너 스페인에 도착하면, 어느 나라로 돌려보낼지 판별할 수가 없어서, 돌려보낼 길이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냥 빵과 생수한통 쥐어주고 광장에 내려놓는다네요. 그 친구들이 할 일은,, 소매치기는 양반이고,, 뒷골목을 배회하면서 범죄저지를 뿐이죠. 광장을 배회하는 이들 대부분이 그런 케이스라고 들었습니다.

    서구의 다문화사회... 이제 그 끝을 보이는 것 같습니다. 똘레랑스,, 다문화주의.. 좋은 단어지만,,, 현실적으로 그 갈등과 사회적비용을 무시할 수가 없는 것 같네요. 스페인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나라들도 (심지어 미국마저도) 불법체류문제에 단호해지는 추세같습니다.

    우리나라도 많이 심각해져가고 있습니다. 법치주의의 틀을 깨면 피해보는건 서민인데.. 전투적으로 인권운동하는 분들(이익이 걸린 분들도 있고) 덕에 유례없는 불법체류비율(공식통계 25%, 시민단체분들 얘기로는 거의 80%)을 보이고 있는데,, 언제까지 그들도 기피하는 한계영세기업 핑계로 무법천지를 방치해야할지..
    (피해본 불법체류자들 도와주는 것과 국경없는 노동권확보시켜주자는 주장은 전혀 다른 것인데 한국은 지금 후자가 대부분입니다. 듣기로는 내국인 건설일용직들이 불체자들의 담합에 밀려 일거리가 없고(불체자들이 공장으로 가질 않습니다. 그들도 서비스업종이나 건설일용직에서 월 300벌죠. 생계형 영세한계기업에는 극히 일부만 갑니다. ) 70%이상을 그들이 독점한다네요. 그 실상을 전혀 모르고,,, 오늘도.. 사장님 나빠요만 외치고 있고(그런 나쁜 이들 일부 있지만 대다수는 그렇지 않은데.. 전혀 해당이 없는 선량한 내국인들만 반성시키고)...

    중국도 이미 구조조정대상으로 삼은 영세한계기업은 이미 설비투자와 기술개발, 사업전환, 기업간 통합을 통한 우위확보시기를 놓치고, 외노들로 인한 싼임금 따먹기로 시간을 소진하고 이제 생계형으로 목을 매면서 사람이 부족하다가 징징대기만 합니다. 물론, 안전장치미비나 공해물질, 외노로 인한 사회적갈등 등... 사회적비용과 사적비용의 차이만큼을 내국인들에 떠넘기고 있고요. (외노들 생산성이 내국인의 70%이하라고 하더군요. 중기들 말 들어보니)

    이제 과감히 사양산업은 발라내고, 구조조정해서, 중기간 통합과 기술개발로 생산성높은 내국인들이 청년실업잗들이 갈만한 직장을 많이 만들어내야합니다. 그 쪽으로 자금과 인력을 끌어들여야하는데. 우리는 무슨 인권논쟁만 하다가,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불법체류 국가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우리가 무슨 미국처럼 포용할 힘이 있는 것도 아니고.

    이대로 가면 스페인 꼴 나는 것 멀지 않았습니다. 호주의 경우 20년 후엔 60%가 이슬람이 차지하게 된다더군요.
    언제부터 민족이라는 개념이 덜떨어진 개념이 되고, 누구를 감히 순혈주의라고 매도하게 되었는지..
    (남에게 순혈주의 극우주의의 딱지를 붙여버리고 우월한 입장에 서려는 반칙적 토론법이죠.)
    내국인이 가지 않는 3D에 가니까 경제적으로 선이다라는 시각이 있는가하면 , '빈곤의 수입'의 문제일 뿐이라는 시각이 있죠. 전 요즘들어 후자로 확신하고 있습니다.

    국기에 대한 맹세를... 불법체류자(이주노동자라고 부르는)들을 차별하는 문구라고 없애자고 외노단체들이 로비하는... 이상한 현상들.. 국기에 대한 맹세를 폐지하라는 (그 주장자체는 일리가 있음) 단체들을 보니 불체자 지원단체에서 주도했더라고요. 유럽은 안그런다고.. 유럽? 프랑스 라 마르셰예즈 가사보면.. 엄청난 민족주의 .. 피 같은 단어들이 넘쳐나는걸 모르고..

    신문방송만 보면, 매일같이 외노는 여러분의 친구, 내국인들이 그들을 받아들이지 않아서 그들이 방황하고 있어.. 이런 세뇌작업만 계속되는데.. 실제로 안산 원곡동 3만 중 2만이 불체자라고 하더군요.(매경기사) 이런 형국인데,, 내국인의 고용보험금에서 수백억을 전용해 불체자지원센터를 국가에서 설립시켜주는 나라.

    불법에 차별이 따르지 않으면 어느 누가 법을 지키고, 국경이 어떻게 유지되겠는가 하는.. 기초적인 국가의 존립근거문제.. 하여튼 너무 답답합니다.
    서구의 어설픈 똘레랑스를 이익단체들이 외워대다보니,, 한국이 국제적 봉이된 것은 아닌지..

    기타얘기 들으러 왔다가 그냥 몇마디 써봅니다.
  • 저는 2007.08.07 13:44 (*.59.12.138)
    누가 뭐라고 해도 그들은 사회적인 약자 입니다. 그 70%의 외국인 노동자들이 전부 300씩 버는건 아니잖습니까? 그사람들도 이땅에 와서 일을 하는 이상 인간답게 일할 수 있는 권리는 법적으로 보장해 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히틀러나 일본놈들같은 순혈주의 망상에 젖어 있지 않은 이상은 말이지요.

    그들을 어떻게든 제도권 테두리 안에 끌어 들여서 보호하고, 또 똑같은 맥락에서 그들이 범죄를 저지르면 합법적으로 처벌할 수 있는 열린 사회를 만드는게 합리적인지, 아니면 무조건 "외노"딱지 붙여서 인간 취급 안하고 쇄국정책 펼쳐서 국제화 시대에 왕따가 되는게 합리적인지 한번 생각해 볼 문제인것 같습니다.

    국경, 국적, 민족으로 묶여진 nation state의 개념은 세계화 시대인 지금 점점 모호해 지고 있습니다. 국제화 되어가는 노동시장에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하면 거시경제적으로도 우리나라에게 좋을건 하나도 없습니다. 한시바삐 우리나라의 민족주의적, 국수주의적, 인종차별적 마인드를 버리고 피부색에 상관 없이 모두 평등한 법적 권리를 누리는 열린 사회를 만들어야 할 것입니다.

  • 먹구 2007.08.07 14:25 (*.84.141.240)
    살게 없으면
    도둑질을 하게 되니까
    다들 먹구사는문제로 힘들지 않은 사회를 만들어야 할거 같아요...

    유럽본토사람들이 도둑질 안하는건 사회보장이 잘 돼있기 때문....

    우리나라도 경제가 전보다 나아지면서 최근 좀 도둑은 거의 사라졌쟈나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38 일본녀의 놀라운 흡입력 1 그모씨 2007.07.28 4197
5037 전생체험 동영상?? 2 궁금이ㅋ 2007.07.29 4859
5036 휴가댕겨와써용~ 8 file 오모씨 2007.08.01 4862
5035 아르헨티나 토기 인형... 6 file 아이모레스 2007.08.01 5527
5034 우리나라 최초의 기타?? 2 file 엘마라비노 2007.08.02 4163
» 열흘간 소매치기 12번 경험. 14 file 콩쥐 2007.08.02 4540
5032 연주회장 전용 신발. 8 file 콩쥐 2007.08.03 4525
5031 영화 "디워"에 대한 논쟁중 장원. 11 디워 2007.08.04 4183
5030 (펌글) 스티브잡스의 스탠포드대학 졸업식 연설문 3 np 2007.08.07 4241
5029 홍병장님의 기타 7 차차 2007.08.07 3664
5028 텔레비젼에서 본 다단계판매, 피라미드. 5 file 콩깍쥐 2007.08.09 4128
5027 장마철에 새된 기타. 3 file 콩쥐 2007.08.10 3400
5026 잘난 음악가들에 대한 해꼬지 9 쏠레아 2007.08.10 4545
5025 음 악 과 理 氣 론 5 np 2007.08.11 3964
5024 화려한휴가 file 콩쥐 2007.08.12 3075
5023 2007 대선 예언 20 콕토 2007.08.12 6064
5022 축구공 물컹한거... 8 file 2007.08.18 4759
5021 펀글-불의를 보면 용감히 나설수있는 남자가 몇이나 될까요 10 =-= 2007.08.18 4048
5020 저 개학합니다ㅋㅋ 3 nenne 2007.08.19 3780
5019 [가요]장혜진-꿈의대화 2 채소칸 2007.08.20 4178
5018 콩쥐님! 7 file 지초이 2007.08.21 4155
5017 가방끈 2 np 2007.08.22 3401
5016 블루베리 크레페 6 file 콩쥐 2007.08.22 4475
5015 신나게 일하고 있는데 기타가 넘어지는 소리가... 봉봉 2007.08.23 3794
5014 비니루물 마시지 마세요. 2 콩쥐 2007.08.25 4740
5013 테니스 입문 3 nenne 2007.08.28 4142
5012 [re] 삼겹살 익은것 ㅋㅋ file 복숭아boy 2007.08.30 3927
5011 삼겹살 먹으러가서 ㅋㅋ file 복숭아boy 2007.08.30 3785
5010 기타수영장에 놀러 오세요. 6 file 쥐언니 2007.08.30 3518
5009 연애상담도 해주시나요... 25 의심남 2007.08.31 5129
5008 훈련을 마치고. 14 차차 2007.08.31 4992
5007 애엄마 2 file 콩쥐 2007.09.02 3150
5006 매칭 2 np 2007.09.02 4345
5005 목포서 술마신 고교생들이 행인 집단폭행 목포는항구 2007.09.03 3395
5004 바하에 관한 책한권 소개. 1 콩쥐 2007.09.03 3960
5003 손가락 기호 바꼈나요? 5 한민이 2007.09.04 4372
5002 영화 일루셔니스트 보셨나요? 3 file 최병욱 2007.09.04 3792
5001 거침없이 해피킥 4 으니 2007.09.06 3718
5000 파바로티 옹께서 돌아가셨군요... 17 꿈틀 2007.09.06 4264
4999 기타바보님 성묘 다녀 오시면... 2007.09.08 2632
4998 기타바보님.....칭구네집->변소반장님 링크 삭제 요망 3 찬찬 2007.09.07 3193
4997 강아쥐 그리기.... 29 콩쥐 2007.09.12 3659
4996 가을풍경 5 file np 2007.09.14 3859
4995 오늘 강아쥐 데려왓어요. 19 file 콩쥐 2007.09.14 4041
4994 [RE] 호정님~ 여기~ 1 file 66777 2007.09.18 3621
4993 [re] 티비 시청하시는 강쥐 file =_= 2007.09.15 2791
4992 과다업무로 마루에 지대 쓰러져 1 file 콩쥐 2007.09.15 3360
4991 이탈리안 콘체르토. 3 콩쥐 2007.09.15 3551
4990 [re] 비기 정면 2 file 셀러브리티 2007.09.15 4165
4989 비기 3 file 셀러브리티 2007.09.15 3769
Board Pagination ‹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