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파이낸셜 타임스, '도올 기사 원고료 쇄도' 큰 관심


기사전송   기사프린트  민경진(jean) 기자    



오마이뉴스의 '좋은 기사 원고료 주기' 모델이 인터넷 뉴스업계의 상식을 뒤엎고 새로운 수익모델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유력 경제일간지 <파이낸셜 타임스>가 보도했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6일자 1면에 게재된 기사에서 헌법재판소의 행정수도이전 위헌판결을 강력 비판한 도올 김용옥 교수의 기고문이 단 이틀 만에 한국노동자의 평균 연봉에 육박하는 2만2천달러가 넘는 원고료를 독자들로부터 받은 사실을 소개하며 이같이 보도했다.

신문은 인터넷 뉴스업체들이 배너광고에 의존하는 대신 유료구독자 확보로 수익모델의 돌파구를 찾으려는 움직임이 있음을 지적하고, 인터넷 콘텐츠로 돈을 벌고 싶다면 유료구독자 모델 대신 콘텐츠를 먼저 제공하고 이후 자발적인 원고료를 낼 것을 요청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파이낸셜 타임스는 <시사저널>이 매년 실시하는 '한국의 영향력 있는 언론' 조사결과를 소개하며 2000년 1.5%에 불과했던 오마이뉴스의 영향력이 올해 조사에서는 유력일간지인 중앙일보를 위협하는 18% 선에 육박한 반면, KBS와 조선일보 같은 기존매체의 영향력은 점차 하락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오마이뉴스가 보수적인 한국의 언론지형을 뒤흔들고 있다고 보도했다.

아래는 파이낸셜 타임스 기사 전문 번역.

"로그온 하세요. 팁을 남기는 것도 잊지마시고"

-11월6일, 아나 파이필드 기자




<파이낸셜 타임스> 6일자 2면에 실린 오마이뉴스 기사. 오연호 대표가 오마이뉴스 신입 수습기자 교육 중 사진촬영을 위해 포즈를 취했다.
ⓒ2004 FT

온라인 매체들이 미미한 광고매출을 만회하기 위해 유료회원제로의 전환을 서두르는 와중에 한국의 혁신적인 인터넷 매체인 오마이뉴스는 인터넷 업계의 통념을 거꾸로 뒤집고 있다.

오마이뉴스는 3만5천명의 시민기자들이 올리는 기사로 운영되고 있다. 이들 시민기자들은 톱 기사로 오를 경우 약 20달러 정도의 원고료를 받을 뿐이지만 뉴스와 의견 기사를 올리고 있다. 지난 달 오마이뉴스는 일종의 팁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 서비스로 인해 독자들은 기사가 마음에 들 경우 마치 웨이터나 미용사에게 팁을 주듯 기자에게 돈을 줄 수 있게 됐다. 결과는 놀라웠다. 철학 교수인 김용옥 교수는 불과 이틀 만에 한국 노동자의 평균연봉에 육박하는 2,260만원, 약 2만2천 달러에 달하는 원고료를 벌어들였다.

김용옥 교수는 헌법재판소의 행정수도이전 위헌판결을 비판하는 글을 실어 이 돈을 벌 수 있었다. 총 4천5백 명에 달하는 독자들이 최고 1만원에 달하는 돈을 김 교수에게 주었다.

선거로 뽑히지 않은 헌법재판소 재판관들의 판결이 민주적이지 못하다는 김용옥교수의 주장은 오마이뉴스의 기사를 매일 읽는 50만에 이르는 젊은 독자들의 가슴을 뒤흔들어 놓은 것이 분명했다.

오마이뉴스는 닷컴 거품이 막 꺼지기 직전에 오연호 씨에 의해 창간됐다. 학생운동권 지도자였던 오연호 대표는 1980년대 후반에 북한을 찬양했다는 죄목으로 1년간 투옥되기도 했다. 오연호 대표의 아이디어는 분명 혁명적이고 혁신적인 것이었다.

'모든 시민은 기자다'는 슬로건을 내세운 오마이뉴스는 한국의 보수적인 신문들에 대해 대안 언론으로 부상하고 있다.

2000년에 <시사저널>이 실시한 한국의 영향력 있는 매체 조사에서 KBS와 조선일보가 각각 66%와 61%의 지지를 얻은 것에 반해 오마이뉴스는 겨우 1.5%를 얻었다.

하지만 지난 달 발표된 시사저널 조사에서 오마이뉴스는 중앙일보에 약간 못 미치는 약 18%에 이르는 영향력을 확보한 반면, KBS와 조선일보는 58%와 54%로 그 영향력이 줄어들었다.

지금 오마이뉴스는 전통적인 인터넷 매체들이 그 동안 고민해 왔던 문제에 도전하고 있다. 바로 수익을 올리는 것이다.

인터넷 기업가들은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닷컴 사업에서 수익을 올리는 비결은 고객들에게 먼저 돈을 낼 것을 요구하지 말고, 콘텐츠를 제공한 이후에 요청하는 것이다.


한국의 시민기자들이 기성 미디어에 도전장을 내밀다

오연호씨는 1980년대 후반, 진보적 월간지인 '말'지에서 일할 때 속물적인 보수 언론 기자들로부터 외면당했으며 기자실에도 들어가지 못했다.

하지만 어느 날 "모든 시민이 기자가 될 수 있다"고 작정했을 때 그의 고통은 사라졌다. 그의 이 결심은 선구적 뉴스 서비스에 근거를 두고 있다.

지금 오연호 대표는 승자의 미소를 짓고 있다. 지금 그의 오마이뉴스는 한국 언론계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다. 전통적인 미디어와 정면 대결을 벌이기도 하고 정치에 젊은 사람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그때부터 난 한국 언론이 너무 보수적이라는 생각이 들어 여론시장에 균형을 잡고자 했다. 주요 매체들이 그들의 목소리를 무시했기 때문에 우리 독자들은 오마이뉴스에 큰 열정을 보이고 있다." 시내의 허름한 사무실에서 오 대표는 이렇게 말했다.

오마이뉴스는 기사뿐만 아니라 여론, 영화 평론, 여행 정보까지 다룬다. 40명의 기자와 편집 전문가들이 사실확인을 하고 편집을 하지만 기사의 80%는 '시민기자'들이 보내온다. 이들은 자신들의 관심사를 기사화하는 보통 시민들이다.

오마이뉴스는 4년 전 700여명의 시민기자들로 시작했으나 지금은 3만5천명이 기사를 쓴다. 4분의 3은 남성이고 20대와 30대가 또 4분의 3을 차지한다.

"기자라고 해서 별난 종자가 아니고 뉴스를 가지고 있고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모든 사람들"이라고 오 대표는 말한다.

정치는 이 사이트의 주요 테마이다. 매 선거 후마다 시민기자들이 늘었다. 그리고 웹사이트도 지난 대통령 선거 이후 기록적인 성장을 거두었다. 선거 당시 오마이뉴스는 비주류인 노무현 후보를 적극 지지했고 당선 후 노 대통령은 오마이뉴스와 제일 먼저 인터뷰를 가졌다.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의 윤영철 교수는 "오마이뉴스가 한국 언론계에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고 말한다. "오마이뉴스는 일반여론의 기득권층에 대한 반감을 불러일으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고 이는 노무현 후보가 당선되는데 분명히 기여를 했다."

좋은 기사 원고료주기 서비스를 최근 도입했지만 시민기자들은 톱 뉴스 1건 당 2만원을 받는다. 하지만 돈은 이들이 기사를 쓰는 동기가 아니다. 블로그에서 보는 것과 유사한 댓 글과 조회수를 보장해 주는 것이 시민기자들이 기사를 올리는 진짜 이유다. "우리 시민들은 자기가 쓴 기사의 조회수에 매우 큰 관심을 보인다. 또 참여를 통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뿌듯함 역시 느낄 수 있다." 오마이뉴스 국제사업팀장 민경진씨의 말이다.

경기도의 한 반도체 회사 엔지니어인 이봉렬씨는 4년 전에 오마이뉴스에 기사를 올리기 시작했다. "오마이뉴스의 독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많은 사람들과 내 생각을 나눌 수 있다는 것을 즐기기 시작했다. 내 의견이 사회를 바꾸는데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기사를 쓰는 또 하나의 동기가 됐다."고 이봉렬씨는 설명한다.

조회수는 시민기자들의 자존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광고주의 관심 또한 끈다. 수입의 70%는 광고에서 생긴다. 광고주에는 전통적으로 보수적인 재벌기업인 삼성, LG도 포함되어 있다. 나머지 20%의 수입은 네이버나 야후 코리아 같은 포털 사이트에 기사를 팔아서 나온다.

"우리는 지난 주 좋은 기사 원고료 주기 서비스를 통해 수입을 대폭 늘릴 수 있는 가능성을 보았다"고 민경진 팀장은 말한다. 오 대표와 친구들이 모은 자본금 1억 원으로 시작한 회사는 겨우 2억 원이지만 작년에 이익을 냈다. 금년에는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 많은 뉴스사이트와 블로그가 홍수처럼 넘치는 한국에서 오마이뉴스의 성공 비결은 무엇일까.

한국적 요인과 많은 관계가 있다. 보수 신문들이 압도적으로 여론시장을 지배하는 것도 있지만 한국 가정의 4분의 3은 초고속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한국은 동질적인 1극 사회이기 때문에 한 이슈가 하루 며칠 만에 사회 전체를 휩쓸 수 있다.

이 아이디어에 대한 세계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지난 달 오연호 대표는 오슬로 편집인 포럼에서 연설했으며 다음 달 하버드에 초청도 받았다. 런던 정경대와도 1월 초청 건을 진행 중이다. 이 비즈니스 모델과 소프트웨어의 수출을 통해 더 많은 수익을 거둘 수도 있다.

그러나 지극히 한국적인 이 모델이 해외에서도 성공할지는 미지수이다. 일본의 '잔잔'이라는 웹사이트가 이런 서비스를 개시했으나 아직 크게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몇 년 간 한국에서 벌어진 특이한 현상은 집권세력, 시민운동그룹, 친 정부 매체 간의 3각 동맹이었다"고 윤영철 교수는 말한다. "이것이 인터넷이 발달된 다른 나라에서 이런 사이트를 볼 수 없는 하나의 이유다."  

2004/11/08 오후 2:56
ⓒ 2004 OhmyNews  
?

Board Pagination ‹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