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by 내공 posted Sep 15, 200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 1.옛날 중국 원나라때의 일이다...어떤 마을에한 어부가 살았는데...그는 > 너무나도 착하고 어질어서 정말 법 없이도 살 수 있는 정도였다... > > 그래서 항상 그는 마을 사람들로부터 신망이 두터웠고...그를 따르는 사람들이 > 끊이지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그 마을에 새로운 원님이 부임하게 > 되었는데...그는 아주 포악한 성격의 소유자였다...그 원님은 부임한 뒤 그 > 마을에 한 착한 어부가 > 덕망이 높고 마을 사람들의 신임을 얻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괴로워하기 > 시작했다...어터케 하면 저 어부를 제거 할 수 있을까? 생각하다가...원님은 > 묘안을 하나 짜 내게 되었다...그 어부의 집앞에 몰래 귀한 물건을 가져다 > 놓고 그 어부가 그 물건을 가져 가면 누명을 씌워 그 > 어부를 죽일 계획을 세운것이다... > 첫번째로 그는 그 어부의 집 앞에 쌀 한 가마니를 가져다 놓았다...하지만 그 > 어부는 하루가 지 > 나고, 이틀이 지나도 그 쌀 가마니를 거들떠 보지도 > 않는 것이었다... > > 그래서 원님은 두번째로 최고급 비단을 어부의 집앞에 가져다 놓았다...그러나 > 결과는 마찬가지 > 였다...몸이 달을때로 달은 원님은 최후의 수단으로 > 커다란 금송아지 한 마리를 집앞에 가져다 놓았다...그러나 어부에게는... > > 금송아지 마저 소용이 없었다...어부가 손끝 하나 대지 않은 것이다.... > > 그러한 어부의 행동에 화가난 원님은 그 자리에서 이렇게 탄식을 했다... > > `선어부비취`(善漁夫非取)...착한 어부는 아무것도 가지지 않는구나....그 > 뒤로 어부에게 감명 > 받은 원님은 그 어부를 자신의 옆에 등용해 덕으로써 > 마을을 다스렸다고 전해진다... > > > > (1)善漁夫非取....자신이 뜻한대로 일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때 약간 화가 난 > 어조로 강하게발음한다... > > (2)이 고사성어는 그 때 당시 중국 전역에 퍼졌고, 급기야는 실크로드를 타고 > 서역으로 까지 전 > 해졌으며...오늘날에는 미국,영국 등지에서 자주 > 쓰이고 있다고 한다... > > >


> 2.옛날 한나라 때의 일이다...어느 연못에 예쁜 잉어가 한마리 살고 > 있었다...그러던 어느날... > 어디서 들어 왓는지 그 연못에 큰 메기 한 마리가...침입하게 된 것이다...그 > 메기는 그 예쁜 > 잉어를 보자마자...잡아 먹으려고 햇다...잉어는 연못의 > 이곳 저곳으로 메기를 피해 헤엄을 쳤다...하지만 역부족이었다...굶주린 > 메기의 추격을 피하기에는... > 피하다 피하다 못한 잉어는 초어적(?)인 힘을 발휘하게 된다... > > 잉어는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뭍에 오르게 되고...잉어는 뭍에 오르자 > 마자...꼬리를 다리삼아... 냅다 뛰기 시작했다...메기가 못쫓아 오는걸 알게 > 될 때까지 잉어가 뛰어간 거리는 약 구리 정도...였을까...암튼 십리가 좀 안 > 되는 거리였다... > > 그때 잉어가 뛰는 걸 보기 시작한 한 농부가 잉어의 뒤를 쫏았다...잉어가 > 멈추었을때 그 농부는 이렇게 외쳤다... > > `어주구리(漁走九里)`...고기가 구리를 달려왔다...그리고는 힘들어 지친 그 > 잉어를 잡아 집으로 돌아가 식구들과 함께 맛있게 먹었다는 얘기이다... > > > (1)어주구리(漁走九里)....능력도 안 되는 이가 센척하거나 능력밖의 일을 > 하려고 할때...주위의 사람들이 쓰는 말이다... > > (2)이 고사성어는 말 할 때 약간 비꼬는 듯한 말투로 약간 톤을 높여 말하면 > 아주 효과적이다... > > >


> 3.옛날부터 중국 고사에는 삼황오제의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 중 복희씨는 > 주역의 만들었을 뿐 아니라, 길흉화복을 점치는법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이 > 이야기는 그 복희씨 시대의 이야기이다. > > 복희씨가 중국을 다스리고 있던 어느 날, 태백산의 한 산마을에 돌림병이 나서 > 많은 사람이 죽어가고 있다는 전갈을 들었다. 그리하여 복희씨는 그 마을로 > 향하게 되었는데, 그 마을은 황하의 물이 시작되는 곳이라 하여, 시발(始發) > 현(縣)이라 불리고 있었다. > > 그 마을에 도착한 복희씨는 돌림병을 잠재우기 위해 3일 낮 3일 밤을 기도 > 하였는데, 3일째 되는 밤 기도 도중 홀연 일진광풍이 불면서 왠 성난 노인이 > 나타나 > > ’나는 태백산의 자연신이다. 이 마을사람들은 몇 년째 곡식을 거두고도 > 자연에게 제사를 지내지 않으니, 이를 괘씸히 여겨 벌을 주는 것이다. 내 > 집집마다 피를 보기 전에는 돌아가지 않으리. ’ > > 하였다. > > 복희씨는 자연신이 화가 난 것을 위로하기 위해 방책을 세우고 마을 사람들을 > 불러모아 말하였다. > > ’ 자연신의 해를 피하기 위해선 집집마다 깃발에 동물의 피를 붉게 묻혀 > 걸어두어야 하오! ’ > > 그런데, 그 마을사람 중에 시발(始發)현(縣)의 관노(官奴)가 하나 있었으니, > > ’ 귀신은 본디 깨끗함을 싫어하니, 나는 피를 묻히지 않고 걸 것이다. ’ > > 하여 붉은 피를 묻히지 않은 깃발을 걸었다. > > 그날 밤 복희씨가 기도를 하는데, 자연신이 나타나 노여워하며 말하길 > > ’ 이 마을사람들이 모두 정성을 보여 내 물러가려 하였거늘, 한 놈이 날 > 놀리려 하니 몹시 불경스럽도다. 내 역병을 물리지 않으리라. ’ 하였다. > > 그리하여 다음날부터 전염병이 더욱 돌아 마을 사람들이 더욱 고통스럽고 많은 > 이가 죽었으니, 이는 우리 마을(시발현)의 한 노비가 색깔 없는 깃발을 걸었기 > 때문이라 (始發奴無色旗) 하였다. 그리하여, 그 다음부터 혼자 행동하여 다른 > 사람에게 피해를 입히는 사람이나, 제대로 알지도 못하면서 마구 행동하는 > 사람을 보면, ’ 始發奴無色旗(시발노무색기) ’ 라고 하게 되었다. > > < 오늘 익혀야 할 한자 > > > 始 (시작할 시) 發 (발할 발) 奴 (노예 노) 無 (없을 무) > > 色 (색 색) 旗 (깃발 기) > > > >


> 4.고대 중국의 당나라 때 일이다. > 한 나그네가 어느 더운 여름 날 길을 가다 이상한 장면을 목격하였다. > 한 농부가 밭에서 허벌나게 열심히 일하는 말의 뒤에 서서 자꾸만 가혹하게 > 채찍질을 가하는 광경을 본 것이다. > > 계속해서 지켜보던 나그네는 말에게 안쓰러운 마음이 들어 농부에게 > > \"열심히 일하는 말에게 왜 자꾸만 채찍질을 하는가?\" > > 하고 물었다. > > 그러자 그 농부는 자고로 말이란 쉬임없이 부려야 다른 생각을 하지 않고 일만 > 열심히 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남의 말을 놓고 가타부타 언급할 수가 없어 > 이내 자리를 뜬 나그네는 열심히 일하는 말이 불쌍하여 가던 길을 멈추고 뒤를 > 돌아보며 긴 탄식과 한숨을 내쉬며 한마디를 내뱉었다 한다. > > \"아! 施 罰 勞 馬 (시벌로마)\" > > 훗날 이 말은 후세 사람들에게 이어져 주마가편(走馬加鞭)과 뉘앙스는 약간 > 다르지만 상당히 유사한 의미로 쓰였다 한다. > > * 施罰勞馬(시벌로마) : > > 열심히 일하는 부하직원을 못잡아 먹어 안달인 직장상사 들에게 흔히 하는 말 > > * 한자공부 : > > 施:행할 시 罰:죄 벌 勞:일할 로 馬:말 마 > > / 走:달릴 주 馬:말 마 加:더할 가 鞭:채찍 편 > > * 용법 : 아랫사람이 노는 꼴을 눈뜨고 보지 못하는 일부 몰상식한 상사의 > 뒤에 서서 들릴락 말락 하게 읊어주면 효과적일 것이다. 단, 이 말을 들은 > 상사의 반응에 대해서는 책임 질 수 없다. 왜냐하면 아직 국내의 현실에 > 비추어 이 고사성어의 심오함을 깨달을 상사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