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04.08.20 03:04

먼지에게

(*.153.191.182) 조회 수 3522 댓글 6
기형도, 내가 그렇게나 좋아하던 시인이었는데. 잊었다는 사실조차 느끼지 못하는 시간이 너무나 오래 흘러버렸다. 손을 뻗어 시집을 꺼내어 언제나처럼 책의 윗 등에 살짝 앉은 먼지를 불어내고, 먼지를 먹지 않으려 훅 불자마자 얼굴을 돌리고, 시집을 뒤적거리기 시작했다. 나는 찬밥처럼 방에 담겨/ 아무리 천천히 숙제를 해도/ 엄마 안 오시네.. 여공들의 얼굴은 희고 아름다우며/ 아이들은 무럭무럭 자라 모두들 공장으로 간다.. 잘 있거라, 더 이상 내 것이 아닌 열망들아.. 소리에도 뼈가 있다는 것이다..

그 모든 시를 처음 만났을 때의 기억, 놀라움, 오싹함, 끄떡임이 한꺼번에 내게 몰려와서 나는 잠시 흥분했지만 이내 피곤해져버렸다. 하지만 시집을 손에서 놓은 것은 아니었다. 눈이 저릿저릿한 것이 풀리면 좋겠단 생각을 하며 시집을 이리저리 보았다. 먼지! 아까 다 불어낸 것이 아니었다. 몇안남은 제끼리끼리 엉켜 책 등에 다닥다닥한 먼지를 보니 눈에서 저리던 것이 온 몸으로 말릴 새 없이 번져나갔다.

어느 날은 그 어깨에 앉은 먼지가 되고 싶다.
사랑은 하찮은 것을.. 그리고 그 다음이 뭐였더라.

우린 곧잘 인생이 무상함을 이야기할 때 먼지에 비유한다. 먼지는 그렇게 아무데나 떠다니고, 아무곳에나 앉았다가, 불면 날아가버린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책에 앉은 먼지, 하필이면 왜 여기에 눌러 앉았는지. 왜 훅 부는 입김에 날아가지도 않고 붙어있는지. 아니 그 보다 더 먼저, 그 가벼운 먼지가 어찌 이리 오래도록 한 곳에 앉아있을만큼 무게를 획득했는지.. 결코 먼지는 가볍지 않다. 하찮은 것을.. 견디게 한다였던가, 하찮은 것도 기쁘게 한다였던가, 그 뒤는 기억나지 않지만.. 쉽게 날아갈 수 있는 먼지가 어딘가에 내려앉을 때는 충분히 이유가 있지 않을까..

다시금 작은 것에 애착이 생겨난다.
마른 시선이 다시 한 점 한 점에 머무르기 시작한다.
가벼운 몸을 있는 힘을 다해 내리누르고 버티는 먼지처럼
지금 이렇게 사력을 다해 나 견디고 싶다.


  
Comment '6'
  • 아이모레스 2004.08.20 04:03 (*.158.12.59)
    수천억개의 은하들... 그리고... 수천억개의 별들이 모여있는 은하... 것두 중심이 아니라 비스듬히 눈에 별로 띄지않는 곳에 머물러 있는 태양계... 의 세번째 혹성... 다섯개의 거대한(이미 거대함이란 말이 어울리지 않는...) 그래서 대륙이라고 불리워지는 더섯개의 땅... 그 중에 한 귀퉁이 것두 반이 잘려나가버린 것 중에 더 작은 부분... 거기서 수많이 잘라내어 낸 것 중에.......... 으니님 방... 책... 책에 쌓인 먼지... 먼지를 구성하고 있는 분자... 원자... 그리고....... 더 이상 배운 바가 없어서리... ^^

    진짜 그렇네요?? 먼지를 결코 가볍지 여기면 안되겠어요... 그리고 보니... 먼지보다 작고 하잖은(?) 것으로부터 커다란 것이 만들어지는걸... 요즘... 우린... 여러번 목격했었죠??^^
  • 2004.08.20 07:12 (*.80.23.174)
    허걱....으니님 감동적인 글이여요...
  • seneka 2004.08.20 10:01 (*.226.223.178)
    기형도를 생각하면 꼭 유재하를 떠올립니다....
    유재하는 저에게 음악과 아쉬움을 남겨주었지만.....기형도는 충격과 희망을 강요하는 듯한 어둠을 남겨주었죠.
    위선에 찬 요즘 세상 특히 <소리의 뼈>와 <우리동네 목사님>을 다시 읽어 보았습니다..

    <소리의 뼈>

    김교수님이 새로운 학설을 발표했다.
    소리에도 뼈가 있다는 것이었다.
    모두 그 말을 웃어넘겼다, 몇몇 학자들은
    잠시 즐거운 시간을 제공한 김교수의 유머에 감사했다.
    학장의 강력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교수님은 일 학기 강의를 개설했다.
    호기심 많은 학생들이 장난삼아 신청했다.
    한 학기 내내 그는
    모든 수업 시간마다 침묵하는
    무서운 고집을 보여주었다.
    참지 못한 학생들이, 소리의 뼈란 무엇일까
    각자 일가견을 피력했다.
    이군은 그것이 침묵일 거라고 말했다.
    박군은 그것을 숨은 의미라 보았다.
    또 누군가는 그것의 개념은 중요하지 않다고 했다.
    모든 고정관념에 대한 비판에 접근하기 위하여 채택된
    방법론적 비유라는 것이었다.
    그의 견해는 너무 난해하여 곧 묵살되었다.
    그러나 어쨌든
    그 다음 학기부터 우리들의 귀는
    모든 소리들을 훨씬 더 잘 듣게 되었다.

  • 2004.08.20 10:53 (*.137.82.216)
    정말 감동이에여~
  • 2004.08.20 13:21 (*.80.23.174)
    난 첨에 시인은
    시적(은율을 타고)으로 시쓰는사람이라고 알고있었는데
    기형도님 시 읽다보면
    그거보단 시각이 남다른사람을 말하는거 같아여.
  • 마루맨 2004.08.21 02:04 (*.168.132.98)
    에세이적인 시, 시적인 에세이군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37 촛불얼짱 ㅡㅡ;;;;;; 11 오모씨 2004.03.22 4499
6636 촛불시위의 원조 27 file 쏠레아 2009.06.12 4445
6635 촛불시위가 정당성을 잃고 있는가? 3 pluto 2008.06.29 4055
6634 촛불시위 나가기 전에. 2 오늘은 2008.06.06 3447
6633 촛농의 쓰임새 5 file 로케트 2004.11.26 4573
6632 초코파이 맛있게 먹는 방법!!! 1 그놈참 2003.10.15 4183
6631 초청강연 1 강연 2014.06.30 3400
6630 초창기 LAGQ 8 file 희주 2006.07.10 4234
6629 초보님... 3 오모씨 2004.01.13 3901
6628 초딩들의 신종놀이...ㅋㅋ 3 배모씨 2005.06.27 5277
6627 초등학생들의 캐논.. 쌤은 일렉 ;;; 8 Saakko 2006.10.15 3653
6626 초등학생들의 답안지 3 영서부 2003.10.24 4887
6625 초등학생도 못 그릴 그림 10 file 콩쥐 2013.08.30 5897
6624 초등학생, 기합받다 5명 죽다!!!! 7 기타사랑 2003.06.25 3908
6623 초등학교 시험문제 1 file 콩쥐 2015.01.08 4153
6622 초견연주 5 file 쥐며느리 2007.05.24 9456
6621 초간단요리-감자 전 1 seami 2008.06.20 3654
6620 초간단 옷개기~ -_-!!! 7 옥모군 2004.05.09 4100
6619 초간단 기타 발명 5 쏠레아 2006.10.19 3888
6618 체질진단표 1 file niceplace 2004.04.01 3724
6617 체벌에 대한 견해 조사 36 그놈참 2004.04.14 4154
6616 체벌.. 9 nenne 2006.12.21 4535
6615 청춘 1 호빵맨(김동현) 2003.03.22 6212
6614 청와대식당에서 어느나라 쇠고기 쓸까요~? 6 어이상실 2009.01.13 4296
6613 청소년의 쉼터 file 콩쥐 2009.09.08 3953
6612 청소년을 위한 운동장 file 콩쥐 2009.09.08 4024
6611 청소년은 후문 1 enigma 2004.03.09 4890
6610 청소년기에 꼭 읽어야했던 책 5권. 독자 2010.11.01 4745
6609 청사 [History of Qing, 清史] 에 관하여 7 file 묘향씨 2012.09.19 5481
6608 청바지를 자주 입는분들에게 나타날수 있는 증상 청바지 2013.10.31 4614
6607 청바지랑 기타가 닮은 점들... 7 아이모레스 2004.02.11 4301
6606 청바지 발암물질 청바지 2013.10.29 4773
6605 청계천을 걸으면서 66 file 파랑새야 2009.06.24 4703
6604 청계천에서 7 금모래 2010.08.14 4536
6603 청계산 벚꽃 3 file 콩순 2007.04.19 4542
6602 청계산 방문하신 장대건님 부부4 6 file abrazame 2005.11.10 4293
6601 청계산 고드름4 3 file 콩순이 2005.12.05 5523
6600 청계산 고드름3 file 콩순이 2005.12.05 3351
6599 청계산 고드름2 file 콩순이 2005.12.05 3082
6598 청계산 고드름1 file 콩순이 2005.12.05 3537
6597 청개구리 애니매이션 언니 2015.02.12 3214
6596 첫눈왔어요 1 file 콩쥐 2015.11.25 2922
6595 첫국가부도~오랫만에신문보니 재밌는게많네요 2 spaghetti 2008.10.08 3374
6594 첫공연 5 file ganesha 2010.03.11 3679
6593 첫 금메달~♡ 3 file nenne 2004.08.17 3331
6592 첨엔 다 그런것이여~~ 2 file 나무 2009.07.17 4104
6591 첨 먹어본 일본라면 9 file 복숭아 boy 2007.04.13 4423
6590 철학자들이 연구한 여자.... 30 철학연구 2011.08.01 5934
6589 철봉 3 file 나는냐조철봉 2008.11.21 4723
6588 천하의 사기꾼을 풀어줘 금모래 2013.02.15 5372
Board Pagination ‹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