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04.04.19 02:39

비몽사몽간.

(*.237.118.225) 조회 수 4559 댓글 8
  비가오니
창문너머 어렴풋이 옛 생각이 나는구나...

몇달전 얘기다.
아침에 부시시 일어난 나는
방광을 비우고 나서  먼저 일어난 마눌님에게
아침 식사를 거르겠다고 얘기 하였더니
하늘같으신 마눌님이 이유를 묻는다.
아침에는 입이 텁텁해서 카레는 먹고 싶지 않다고 얘기 하였더니
날 이상하게 쳐다보며 자기는 카레같은건 만들지도 않았다고 하였다.

무슨 소리야...아까 잠결에 카레 만드는 거 봤는데....라고 얘기했더니
마눌님이 기가 막히다는 듯 웃어버린다.
글타....
꿈이었던 거다.
참 이상하다.
성진이의 팔선녀 꿈만큼 생생하였거늘.

지금은 덜하지만
예전엔 현실이 꿈처럼 몽롱해서
개가 내꿈을 꾸는건지 내가 개꿈을 꾸는건지  
구분이 안될 때가 꽤 자주 있었다.
이를테면 현실감(여기서는 '세상을 살아가는 감각'이라는 의미 보다는 말 그대로 현실을 현실처럼 인지하는 감각)이 나지 않았다는 얘기인데
이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의견들이 있더라.
비염이 악화 되면 이러저러한 이유 때문에 현실감이 없어진다,
낮과 밤이 바뀐 생활을 지속적으로 하게 되면 현실감이 없어진다,
자신과 현실 세계와의 괴리를 많이 느끼면 현실감이 없어진다...등,

어쨌거나....

가장 황당했던 비몽사몽 스토리.
대략 10년전 일이다.

만남과 설레임과 퇴짜와 자괴감이 늘 같은 공식으로 되풀이 되었던, 아직 총각이었던 시절에
칭구인지 앤인지 경계가 늘상 모호한 관계인 어떤 뇨자가 있었더랬는데(그뇨 입장에서는 물론 명확하였다)
그뇨와 나는 그렇게 모호한 관계인 채로 대략 7년을 끌다가
결국 회자정리의 세상 이치대로 지들 갈길을 갔단다...

다시 과거로 돌아가서...

한번은 생일 선물로 귀걸이를 사준적이 있었는데
며칠 후 그뇨에게 전화가 왔다.
그 귀걸이의 한 귀퉁이가 떨어져 나갔으니
다른 걸로 교환하거나 아니면 수리라도 해달라는 내용이었는데
맘이 밴댕이 속 같았던 나는
애써 서운함을 감추며 알겠다고 대답하곤 전화를 끊었다.
그리고 그 후로 두달 동안 일체의 연락을 끊었다....라기 보다는 몇번이나 연락을 하고픈 충동을 억눌렀다.
전화기를 들고 번호를 눌렀다가 신호음만 몇번인가 듣고 그대로 끊어버리기를 수차례...
독한女ㄴ.
내가 연락 안한다고 지도 나랑 똑같이 구냐...니기미...
뭐, 대충 이런 심정이었던 것 같다.
그러다가 더이상 자존심이 망설임을 더이상 제압하지 못할 무렵
그뇨로부터 왠일로 전화가 왔다...

내가 먼저 짐짓 시치미를 떼고 얘기를 시작했다.
어....잘 있었냐...그동안 전화 못해서 미안하다. 내가 좀 바빴다...
그뇨도 말문을 열었다.
아...오랫만이구나...그동안 미안했다.. 연락도 못하구. 실은 내가 많이 바빴거든.
내가 대답했다...사실 이,삼일전에 너네 집으로 전화를 몇번인가 했었는데(점점 궁색한 처지가 되어간다ㅡ ㅡ;;) 하필 그 때마다 받지를 않더라...이러쿵 저러쿵...
그러자 그뇨가 대답했다.
아...그랬구나...근데 어차피 나랑 통화 하기는 힘들었을 거야...왜냐면...나, 이제 더이상 집에 없거든.
내가 물었다.
왜? 가출했냐?
................
아님, 출가했냐?
................
그럼, 쫓겨났냐?
................
우쒸, 그럼 모야~~
한참 있다 그뇨가 입을 열었다.
너 참, 디게 눈치 없다.
뭐?
여자가 집 나가면 뻔한거 아냐?
무슨 소리야?
지금 여기 어딘지 알아?
알게뭐냐.
바다소리 안들려?
안들려.
....여기 제주도야.
거긴 모하러 갔는데?
...............
직장 때려쳤냐?
..............
거기로 이사갔냐?
너도 참...답답하다...여자가 제주도 오면 짐작가는거 없냐?
그새 결혼이라도 했냐?
......그래. 이제야 알았냐?
(당황하며)뭐, 뭐야....말한마디 없이...
미안하다. 너한테는 얘기하기 좀 뭐하더라...

위의 대화는 일체의 픽션이 들어가지 않은, 있는 그대로의 대화다. 여기까지는 명확히 기억이 나는데 그 이후로는 뭐라 얘기 했는지 정확히는 기억이 없다. 아마 침통의, 마지막 고백 모드로 들어 갔을거다...말은 안했지만 그동안 널 사.....뭐 대충 이런 멘트. 우씨...닭살시러워라.....

(비통함을 애써 감추며)그..래, 잘 알겠다....
.........................
.........................
.........................

쑥쓰런 침묵을 깨는 소리가 있었으니...

히히히히~~
엥?
너도 무쟈게 순진하구나...
......?
너 바보냐? 내가 모하러 신혼여행까지 와서 너한테 전화를 하겠냐?

그건 그렇다....
순진했던 나는 순도 100%의 쌩구라에 당한거다.
무서운 女ㄴ...어쩜 그렇게 깜쪽같이...
그날 난 완존히 찐따가 되었고
나름대로 무쟈게 쪽팔렸던 나는 그 이후로 또 한달간을 전화하지 않았더랬다...라기 보다는 또다시 전화기 앞에서  망설임으로 대신하고 있었다.
에라이~쪼잔한 넘...

결국엔 졸업식을 마지막으로 두번 다시는 만나지 못했다.
불확실한 관계의 무의미한 연장에 불과할 뿐인 만남에 많이 지쳤기 때문에.,..라고 말하고 싶은데
사실은 그뇨에게 정리해고 당한거나 다름없었다....ㅠㅠ
정리해고 사유는
동성동본 이었기 때문....이라기 보다는
그뇨에게 난 앞날없는 무명의 서투른 베짱이에 불과했으므로.
전화기앞의 망설임은 그후로도 오랫동안 계속되고.

그 후로 3년이 더 흐른 어느날
다음과 같은 꿈을 꾸었다.

...나는 주변에 먼지가 자욱한 어느 사무실 안에 있었다.
주변에는 아무도 없었고 한개의 책상위에 전화기가  한대 놓여져 있었다.
어찌된 영문인지 모르겠지만 내손에는 그뇨의 전화 번호가 적힌 쪽지가 있었다(당시에 그뇨는 실제로 출가외인의 몸이었으므로 연락이 완전히 두절된 상태였다).
나는 급한 마음에 수화기를 들어 전화를 하려고 했다.
그러나 전화기 속에서 그뇨 아닌 다른 사람의 목소리가 들린다.
옆 사무실의 전화와 브릿지가 되어 있는 상태여서 옆 사무실의 누군가가 통화를 계속하는 한, 나로서는 통화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던 거다.
조금 기다린 후에 다시 수화기를 들어 보았으니 마찬가지다.
그러기를 몇번 반복했다. 애간장이 탔다.

그리고는 비몽사몽간에 꿈에서 깼다...
나는 침대위에 눕혀진 채로, 전화 해야 한다는 생각에 사로 잡혀 있었다.
문득 내방에 있는 전화기에 눈이 향해진 순간
'아, 그래. 저걸로 전화하면 되는구나...'
라는 생각에 몸이 일으켜졌다.
두 다리가 방바닥에 닿는 순간
비몽사몽의 장막이 걷혀지고
나는 비로소 현실을 직시했다...
아, 참. 꿈이었구나...
나도 모르게 웃음이 나왔다.
아주 잠시, 꿈과 현실을 혼동해 버린거다...
속에서는 전화번호를 알고 있었으나 전화를 사용할 수가 없었고
현실에서는 전화기는 사용할 수 있었으나 전화 번호를 알지 못했던 거다.

만취한 밤에 잠자리에 들게 되면
그날은 대개 냉장고 문을 열어 시원한 음료수를 마시는 꿈을 꾸게 된다.
이른바 꿈의 '원망충족'기능이라나 뭐라나...
그러나 그뇨에 관한 꿈에 대해서는, 이 기능은 별반 효력이 없더라....

한번은 그뇨에게 전화하는 꿈을 또 꾸었는데
그 때는 왠지 자꾸 손가락의 조준이 빗나가서 자꾸 다른 번호만 눌러대는 것이 아닌가...
꿈속이지만 미치고 환장할 노릇.

프로이트님이 무슨 잘못이 있겠냐만...
대체 왜 안되는 걸까?
어차피 꿈일 뿐인데  되면 좀 어때서...ㅡ ㅡ;;
꿈해몽의 권위자들은 이유를 알까.




마눌님이 이 글 보면
난 주거따....











































      
Comment '8'
  • 2004.04.19 09:56 (*.105.92.6)
    이글 복사해 뒀다가
    부탁할일있으면 좀 흔들어 드릴게여....ㅎㅎㅎㅎ

    장자나 **이나 꿈 잘꾸는 명수들이로고...
    나비잡으로 가야쥐...
    오늘 나 소풍간다여...
    동네꼬마가 소풍가기로 했는데
    비와서 그냥 학교로 공부하러 가나봐여...
    그래서 대신 소풍가려고요..
    깁밥 아깝쟈나여..
    비도오는데....
    난 썰지않은 긴 김밥이 좋더라...
  • 2004.04.19 09:59 (*.105.92.6)
    꿈을 통해서
    큰일을 많이 하는데
    이유는
    절실하면 꿈속에서까지 진행되고
    무의식의 도움으로
    그 해결책까지 알게 되는데
    꿈깨서도 기억할수만 있다면야
    대박이죠.

    꿈에서 쓴 작곡,
    꿈에서 쓴 소설,
    꿈에서 본 안무,
    꿈에서 본 힌트,
    꿈에서 그린 그림,
    꿈소겡서 지은집,
    결국 다 시대를 넘어선 명작으로 남쟈나여...
  • 저녁하늘 2004.04.19 10:51 (*.243.216.139)
    넘 원망하지 마세여~^^
    전... 제가 좋아한다고 해서 그 사람이 반드시 나를 좋아하리라는 생각은 잘못이다...
    라고 생각하고 보니 극복이 좀 되데여...
    더해서 그 사람은 나랑 있는 거보다 xx랑 이뤄지는 게 더 행복해질거야...
    하고 생각하니 한결 맘이 편해졌구여...
    지금 이렇게 괴롭지만 지나고 보면 모든 건 다 제자리로 돌아간 걸거다... 그는 그의 길로 나는 나의 길로...
    라고 생각하면 잊혀지기 시작하죠.
    내가 누군가를 잊어야 할 때 언제나 쓰는 방법^^ 그런다고 슬프지 아니한 것은 아니지만.
  • ziO~iz 2004.04.19 11:49 (*.227.109.89)
    맞아요...화학에서 벤젠의 발견도 꿈(뱀이 꼬리를 물고 둥글게 있는 모습)을 통해서 얻어진 거라 하더라고요...

    전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다는 막연한 말로 위안을...
    그리고 그 때의 끝이 있었으므로
    지금 마눌과의 새로운 시작이 있었다는...--..--;;;
  • jazzman 2004.04.19 12:13 (*.241.146.2)
    엉뚱한 얘기가 되겠습니다만, 옛날에 실연당하고 양자역학에 대해 해설한 대중 과학서를 읽은 적이 있습니다. (저는 실연의 상처를 좀 괴상한 방법으로 달래곤 합니다. 그저 그러려니 해주시길... ^^;;;)

    거기에 이런 말이 나오더군요. 체념은 아름다운 것이다. 포기와는 다르다.

    양자역학에 불확정성의 원리라는 것이 있잖습니까. 그, 왜 전자의 위치는 어느 오차 한계 이상으로 정확히 알 수 없다 뭐 그런... 알 수 없는 것, 이루어질 수 없는 일에 집착하는 것은 용기가 아니며, 그 집착을 버리고 다른 갈 수 있는 길을 찾는 것이 진정한 용기다. 그래서 체념은 아름다운 것이고 체념할 수 있는 자만이 진정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다... 뭐 그런 얘기였습니다.

    개똥철학일지는 모르겠지만, 저에게는 상당한 깨달음을 주는 문구였습니다.

    그냥.... 횡수니까 역시 그러려니 해주시길... ^^
  • ziO~iz 2004.04.19 13:17 (*.227.109.89)
    윽....불확정성 원리....(--..--;;) 거기에 그렇게 좋은 뜻이 있었군요..
    비슷한 예가 될는지 모르겠지만, 예전에 실연한 후 비 쫄딱 맞고 서점에 가서 고른 책이 <미학의 이해>였는데 결국 따분해서 다섯장 읽고 덮어 버렸져....그리고 미학이랑 실연은 아무 관계가 없다는 결론...(--..--;;)
    지금 생각하면 왜 그랬는지.
  • 찬일 2004.04.19 16:39 (*.248.206.26)
    -_-;; 그 양자역학에 나오는 슈테판-볼츠만의 법칙을 꿈에서 (맞게!!) 유도한적이 있죠;; 깨서 매우 놀랬는디;;
  • ziO~iz 2004.04.20 14:57 (*.227.109.62)
    옛날에 꿈속인지 현실인지 경계가 얘매모호한 상태에서 굉장히 아름다운 선율을 들은 적이 있었는데 잠시 취해서 듣다가 그냥 잠들었죠...나중에 샌님에게 이 이야기를 해드리니까 "에라~이~빙신아...그런건 받아 적어 놨어야지..."라고 말씀하시더라고요....그래서 맘속으로,
    '졸린데 어떡해용....ㅠ..ㅠ'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8 추천도서....광우병보다 무서운 美도살장의 진실 5 2008.06.02 4156
837 추천부탁이요~ 2 어린남친 2004.10.12 2724
836 추측이 사실로 10 file 금모래 2014.05.25 4449
835 추카음악 4 탄핵추카 2017.03.10 6114
834 추태를 부린 판사..... 옷 벗어라 박진수 2003.06.02 4699
833 축구 이야기 5 Esteban 2010.01.22 4232
832 축구 지긴 했어두.. 4 오모씨 2004.08.22 3935
831 축구, 영국을 이겼던 이유 5 file 꽁생원 2012.08.06 5369
830 축구공 물컹한거... 8 file 2007.08.18 4857
829 축구문외한 5 셀러브리티 2006.06.14 3792
828 축구선수 메시TOP 10 / The best Goals of Lionel Messi/Los diez mejores goles de Messi en el Barcelona | 축구를 좋아 하시는 분들을 위해 !! 1 마스티븐 2014.03.17 5762
827 축구에 대한 도착 거ㄴ달 2004.09.05 5258
826 축구와 음악, MORE THAN JUST A GAME 1 기타패냐 2010.06.19 4308
825 축하해주세요.. 23 한민이 2005.01.03 3729
824 춘천중도에 고인돌무덤과 청동기시대집터 900여기 발견 4 콩쥐 2015.02.16 5404
823 춘추전국시대의 선거 7 file 콩쥐 2012.03.27 5924
822 출근길 콩쥐 2013.05.09 5300
821 출근하는 닭들 9 file 콩쥐 2010.09.17 5388
820 출출한 여자 (드라마) 콩쥐 2014.01.29 5819
819 출판기념회 오셔요 file 콩쥐 2015.11.27 2881
818 춤추듯.. 3 2008.12.18 8315
817 충격 중고차 6 이런 2011.04.12 5468
816 충격, 하회마을 14 금모래 2011.01.05 5194
815 충격과 공포의 장면... 5 file 꽁생원 2010.09.29 5366
814 충격입니다... 노무현 사저나선시간 5시38분, 유서저장시간 5시44분 21 file 하울 2009.06.02 4902
813 충고에 토달기.. (조금 수정) 6 으니 2003.08.28 3900
812 충분히 있을수 있는 시나리오 2 이가카 2012.08.27 5031
811 충청도말이 정말 느릴까? (펌) 2 호빵맨 2003.06.20 3521
810 충치의 진짜 원인 1 꽁생원 2017.03.01 3460
809 취재 진중권 18 토깽이눈 2008.06.21 4208
808 층간소음 알고보니 건설사탓...일본보다 60mm얇아 층간소음 2016.07.06 2436
807 치과 선생님 계신가요? 5 쏠레아 2006.10.17 4102
806 치열하고 고독한...서울젊은이들의 삶 서울연구 2011.07.22 9305
805 치킨 조아합니까 먹거리피디 2013.07.05 5400
804 친구 1 앙꼬 2003.07.15 3926
803 친자확인 의무화 해야 한다 3 정여립 2011.02.11 7060
802 친절한 금자씨 (먼저 올린 분 있나요?) file 꼭두각시 2005.09.17 4054
801 친절한금자씨. 13 file 2005.02.12 4830
800 친척한테 온 전화 1 file 퍼온글 2010.08.30 5114
799 칠레산 포도~ 2 file 오모씨 2004.04.13 3138
798 칠레산포도! 4 file 오모씨 2004.04.13 4358
797 침뜸의 쉬운 응용 9 sanbi 2009.06.21 5269
796 침묵 2 바람개비 2010.04.04 4654
795 칭구 7 np 2005.03.30 3214
794 칭구네 꽃밭 file 콩쥐 2012.05.05 5732
793 칭구네 보리밭 file 콩쥐 2012.05.05 5463
792 칭구네 정원 2 file 콩쥐 2012.05.20 5637
791 칭구여러분들~~ 새해 복 이빠이 받으세여~~ㅋ 1 한민이 2005.02.09 3122
790 칭구음악듣기에 조회수1000번이 넘는분이 몇분인줄 아세여? 9 2004.12.08 4298
789 칭구음악듣기와 mp3 5 file 토토 2006.01.17 3811
Board Pagination ‹ Prev 1 ...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