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진성님 글에서 저도 생각이 나서 찾아 올려봅니다


[가난한 날의 행복]

먹을 만큼 살게 되면 지난날의 가난을 잊어버리는 것이 인지상정(人之常情)인가 보다. 가난은 결코 환영(歡迎)할 것이 못 되니, 빨리 잊을수록 좋은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가난하고 어려웠던 생활에도 아침 이슬같이 반짝이는 아름다운 회상(回想)이 있다. 여기에 적는 세 쌍의 가난한 부부(夫婦) 이야기는, 이미 지나간 옛날 이야기지만, 내게 언제나 새로운 감동(感動)을 안겨다 주는 실화(實話)들이다.

이야기 하나

그들은 가난한 신혼 부부(新婚夫婦)였다. 보통(普通)의 경우(境遇)라면, 남편이 직장(職場)으로 나가고 아내는 집에서 살림을 하겠지만, 그들은 반대(反對)였다. 남편은 실직(失職)으로 집 안에 있고, 아내는 집에서 가까운 어느 회사(會社)에 다니고 있었다.

어느 날 아침, 쌀이 떨어져서 아내는 아침을 굶고 출근(出勤)했다.

"어떻게든지 변통을 해서 점심을 지어 놓을 테니, 그때까지만 참으오."

출근하는 아내에게 남편은 이렇게 말했다. 마침내 점심 시간이 되어서 아내가 집에 돌아와 보니, 남편은 보이지 않고, 방안에는 신문지로 덮인 밥상이 놓여 있었다. 아내는 조용히 신문지를 걷었다. 따뜻한 밥 한 그릇과 간장 한 종지…….쌀은 어떻게 구했지만, 찬까지는 마련할 수 없었던 모양이다. 아내는 수저를 들려고 하다가 문득 상위에 놓인 쪽지를 보았다.

"왕후(王侯)의 밥, 걸인(乞人)의 찬……. 이걸로 우선 시장기만 속여 두오."

낯익은 남편의 글씨였다. 순간(瞬間), 아내는 눈물이 핑 돌았다. 왕후가 된 것보다도 행복(幸福)했다. 만금(萬金)을 주고도 살 수 없는 행복감(幸福感)에 가슴이 부풀었다.

이야기 두울

다음은 어느 시인(詩人) 내외의 젊은 시절(時節) 이야기다. 역시 가난한 부부였다.

어느 날 아침, 남편은 세수를 하고 들어와 아침상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 때, 시인의 아내가 쟁반에다 삶은 고구마 몇 개를 담아 들고 들어왔다.

"햇고구마가 하도 맛있다고 아랫집에서 그러기에 우리도 좀 사 왔어요. 맛이나 보셔요."

남편은 본래 고구마를 좋아하지도 않는데다가 식전(食前)에 그런 것을 먹는 게 부담(負擔)스럽게 느껴졌지만, 아내를 대접(待接)하는 뜻에서 그 중 제일 작은 놈을 하나 골라 먹었다. 그리고, 쟁반 위에 함께 놓인 홍차(紅茶)를 들었다.

"하나면 정이 안 간대요. 한 개만 더 드셔요."

아내는 웃으면서 또 이렇게 권했다. 남편은 마지못해 또 한 개를 집었다. 어느 새 밖에 나갈 시간이 가까와졌다. 남편은

"인제 나가 봐야겠소. 밥상을 들여요."

하고 재촉했다.

"지금 잡숫고 있쟎아요. 이 고구마가 오늘 우리 아침밥이어요."

"뭐요?"

남편은 비로소 집에 쌀이 떨어진 줄을 알고, 무안(無顔)하고 미안(未安)한 생각에 얼굴이 화끈했다.

"쌀이 없으면 없다고 왜 좀 미리 말을 못 하는 거요? 사내 봉변(逢變)을 시켜도 유분수(有分數)지."

뿌루퉁해서 한 마디 쏘아붙이자, 아내가 대답했다.

"저의 작은아버님이 장관(長官)이셔요. 어디를 가면 쌀 한 가마가 없겠어요? 하지만 긴긴 인생(人生)에 이런 일도 있어야 늙어서 얘깃거리가 되잖아요."

잔잔한 미소(微笑)를 지으면서 이렇게 말하는 아내 앞에, 남편은 묵연(默然)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면서도 가슴속에는 형언(形言) 못 할 행복감이 밀물처럼 밀려 왔다.

이야기 세엣

다음은 어느 중로(中老)의 여인(女人)에게서 들은 이야기다. 여인이 젊었을 때였다. 남편이 거듭 사업(事業)에 실패(失敗)하자, 이들 내외는 갑자기 가난 속에 빠지고 말았다.

남편은 다시 일어나 사과 장사를 시작했다. 서울에서 사과를 싣고 춘천(春川)에 갔다 넘기면 다소의 이윤(利潤)이 생겼다.

그런데 한 번은, 춘천으로 떠난 남편이 이틀이 되고 사흘이 되어도 돌아오지를 않았다. 제 날로 돌아오기는 어렵지만, 이틀째에는 틀림없이 돌아오는 남편이었다. 아내는 기다리다 못해 닷새째 되는 날 남편을 찾아 춘천으로 떠났다.

"춘천에만 닿으면 만나려니 했지요. 춘천을 손바닥만하게 알았나 봐요. 정말 막막하더군요. 하는 수 없이 여관(旅館)을 뒤졌지요. 여관이란 여관은 모조리 다 뒤졌지만, 그이는 없었어요. 하룻밤을 여관에서 뜬눈으로 새웠지요. 이튿날 아침, 문득 그이의 친한 친구 한 분이 도청(道廳)에 계시다는 것이 생각나서, 그분을 찾아 나섰지요. 가는 길에 혹시나 하고 정거장(停車場)에 들러 봤더니……."

매표구(賣票口) 앞에 늘어선 줄 속에 남편이 서 있었다. 아내는 너무 반갑고 원망(怨望)스러워 말이 나오지 않았다.

트럭에다 사과를 싣고 춘천으로 떠난 남편은, 가는 길에 사람을 몇 태웠다고 했다. 그들이 사과 가마니를 깔고 앉는 바람에 사과가 상해서 제 값을 받을 수 없었다. 남편은 도저히 손해(損害)를 보아서는 안 될 처지(處地)였기에 친구의 집에 기숙(寄宿)을 하면서, 시장 옆에 자리를 구해 사과 소매(小賣)를 시작했다. 그래서, 어젯밤 늦게서야 겨우 다 팔 수 있었다는 것이다. 전보(電報)도 옳게 제 구실을 하지 못하던 8·15 직후였으니…….

함께 춘천을 떠나 서울로 향하는 차 속에서 남편은 아내의 손을 꼭 쥐었다. 그 때만 해도 세 시간 남아 걸리던 경춘선(京春線), 남편은 한 번도 그 손을 놓지 않았다. 아내는 한 손을 맡긴 채 너무도 행복해서 그저 황홀에 잠길 뿐이었다.

그 남편은 그러나 6·25 때 죽었다고 한다. 여인은 어린 자녀(子女)들을 이끌고 모진 세파(世波)와 싸우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제 아이들도 다 커서 대학엘 다니고 있으니, 그이에게 조금은 면목(面目)이 선 것도 같아요. 제가 지금까지 살아 올 수 있었던 것은, 춘천서 서울까지 제 손을 놓지 않았던 그이의 손길, 그것 때문일지도 모르지요."

여인은 조용히 웃으면서 이렇게 말을 맺었다.

지난날의 가난은 잊지 않는 게 좋겠다. 더구나 그 속에 빛나던 사랑만은 잊지 말아야겠다. "행복은 반드시 부(富)와 일치(一致)하진 않는다."는 말은 결코 진부(陳腐)한 일 편(一片)의 경구(警句)만은 아니다.


-fin.

작가 김소운님은 젊었을 때(일제강점기) 일본에서 활동하셨는데요, 주로 조선의 작품을 일본에 소개 많이 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교과서에 실려 유명한 이 수필말고도 [일본 국민에게 고함]이었던가요? 조금 유명한 글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아마 돌아가셨을 듯 합니다..  

Comment '2'
  • 알파 2003.07.22 05:01 (*.62.226.23)
    정말 아름다운 글입니다. 예전엔 왜 아름답다는 생각을 못했는지 모르겠어요... 남편은 한번도 그 손을 놓지 않았다... 갑자기 아내에게 미안해지는군요. 으니님 고마워요.
  • 아스 2003.07.23 14:53 (*.122.13.96)
    그시절 기억이 새롭군요. "면목이 선다" 이말만큼 우리 부모님세대에서 무게를 가진 말이 또 있을까요. 서로에게 면목이 서는 삶, 그것이 옛분들이 서로를 엮어가는 초강력끈이었지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7 저도 기타 사진 한장 올립니다. 4 file 망고레 2004.07.23 5745
836 예술작품인지 아닌지... 4 file 작품 2011.01.14 5750
835 길고양이의 겨울나기 1 기사 2014.09.23 5752
834 사과드립니다. 50 앨리스 2009.09.09 5754
833 게시판에 유투브 동영상 나오게 하는 방법 3 꽁생원 2012.07.25 5760
832 어서 자라라 고양이야 2 file 콩쥐 2012.04.08 5760
831 이탈리안콘체르토 연주할 최지원양. 1 file 콩쥐 2007.09.25 5763
830 부처님 오신날 우리 동네 4 file 콩쥐 2012.05.28 5767
829 符都誌 를 통해본 創造論 7 file 묘향씨 2013.01.06 5773
828 저는 이것들을 보고 한참 웃었네요. 2 울랄라 2011.04.06 5773
827 지금당장 커피믹스를 끊어라 먹거리피디 2013.12.12 5775
826 친구 2011.11.23 5777
825 국내 마지막 LP공장 서라벌레코드 문닫아 3 오모씨 2004.11.05 5779
824 너무 슬프네요 철이 2018.01.05 5779
823 이중주 9 file ganesha 2012.07.13 5780
822 신용문객잔 12 내공 2004.09.02 5781
821 일현 기타 4 꽁생원 2013.04.29 5784
820 노을 10 file 차차 2004.09.11 5785
819 여동빈 file 2016.02.15 5785
818 태안 기름유출 ... 시간이 지나고 다시보니 이런. 자료 2012.12.04 5789
817 Ysaye -- Violin Sonata No.3 in D minor Op.27-3:『 Ballade 』-- Esther Kim 2 스미마셍 2012.03.13 5790
816 신영복........... 4 file 콩쥐 2012.03.02 5790
815 유가족 공식 입장 발표 기사 2014.04.30 5791
814 친구 2012.01.16 5792
813 classic guitar, classical guitar 8 deluge 2006.11.30 5792
812 불가리아의 조상이 부여족? 5 1000식 2007.05.19 5792
811 훼이크 다큐멘터리(fake ducumentary ) 1 2009.12.13 5792
810 새해 비밀공개 (바게뜨 사진 첨부) 3 file 콩쥐 2010.01.01 5792
809 여자는 몰라.. 10 2009.10.27 5793
808 경운기배경 연주 21 file 콩쥐 2011.08.26 5793
807 핀란드와 한국 교육 차이 1 교육 2014.07.30 5793
806 종북 12 종북 2012.05.25 5795
805 시멘트 포대 건빵 22 토토 2004.05.16 5795
804 [플래쉬]하늘을 날아보세요! 2 토토 2005.11.17 5795
803 셸락칠과 정신수양 16 file 오디오쟁이 2010.12.02 5795
802 군대 군대 2012.09.06 5797
801 책의 홍수 1 file 콩쥐 2012.02.25 5797
800 기타는 작은 오케스트라 기타 2015.09.14 5797
799 추적60분(사대강사업 관련) 빠진 내용 14 에스떼반 2011.04.05 5798
798 제기능을 완전히 상실한 기타메니아 4 찬찬 2011.11.14 5799
797 매실이 노랗게.. 3 file 콩쥐 2012.07.06 5800
796 22조원을 어떻게 썼냐하면요... 2 공공재산 2012.08.27 5800
795 안동 별장사진7 16 file 1000식=정천식 2004.08.19 5800
794 한문(한자)이 우리글인 이유. 26 콩쥐 2009.05.20 5800
793 광우병 쉽게 구별하는법 file 소협회 2012.04.29 5802
792 프란체스코 교황의 재질문 재질문 2015.07.21 5803
791 히틀러.... 대박 동영상 14 웃자구요 2010.06.01 5803
790 여학생 발로 짓밟는 동영상입니다 20초쯤에요.. 3 봉봉 2008.06.01 5805
789 the thief and the cobbler file 콩쥐 2014.01.13 5806
788 화가의 물감 file 콩쥐 2013.03.23 5809
Board Pagination ‹ Prev 1 ...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