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진성님 글에서 저도 생각이 나서 찾아 올려봅니다


[가난한 날의 행복]

먹을 만큼 살게 되면 지난날의 가난을 잊어버리는 것이 인지상정(人之常情)인가 보다. 가난은 결코 환영(歡迎)할 것이 못 되니, 빨리 잊을수록 좋은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가난하고 어려웠던 생활에도 아침 이슬같이 반짝이는 아름다운 회상(回想)이 있다. 여기에 적는 세 쌍의 가난한 부부(夫婦) 이야기는, 이미 지나간 옛날 이야기지만, 내게 언제나 새로운 감동(感動)을 안겨다 주는 실화(實話)들이다.

이야기 하나

그들은 가난한 신혼 부부(新婚夫婦)였다. 보통(普通)의 경우(境遇)라면, 남편이 직장(職場)으로 나가고 아내는 집에서 살림을 하겠지만, 그들은 반대(反對)였다. 남편은 실직(失職)으로 집 안에 있고, 아내는 집에서 가까운 어느 회사(會社)에 다니고 있었다.

어느 날 아침, 쌀이 떨어져서 아내는 아침을 굶고 출근(出勤)했다.

"어떻게든지 변통을 해서 점심을 지어 놓을 테니, 그때까지만 참으오."

출근하는 아내에게 남편은 이렇게 말했다. 마침내 점심 시간이 되어서 아내가 집에 돌아와 보니, 남편은 보이지 않고, 방안에는 신문지로 덮인 밥상이 놓여 있었다. 아내는 조용히 신문지를 걷었다. 따뜻한 밥 한 그릇과 간장 한 종지…….쌀은 어떻게 구했지만, 찬까지는 마련할 수 없었던 모양이다. 아내는 수저를 들려고 하다가 문득 상위에 놓인 쪽지를 보았다.

"왕후(王侯)의 밥, 걸인(乞人)의 찬……. 이걸로 우선 시장기만 속여 두오."

낯익은 남편의 글씨였다. 순간(瞬間), 아내는 눈물이 핑 돌았다. 왕후가 된 것보다도 행복(幸福)했다. 만금(萬金)을 주고도 살 수 없는 행복감(幸福感)에 가슴이 부풀었다.

이야기 두울

다음은 어느 시인(詩人) 내외의 젊은 시절(時節) 이야기다. 역시 가난한 부부였다.

어느 날 아침, 남편은 세수를 하고 들어와 아침상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 때, 시인의 아내가 쟁반에다 삶은 고구마 몇 개를 담아 들고 들어왔다.

"햇고구마가 하도 맛있다고 아랫집에서 그러기에 우리도 좀 사 왔어요. 맛이나 보셔요."

남편은 본래 고구마를 좋아하지도 않는데다가 식전(食前)에 그런 것을 먹는 게 부담(負擔)스럽게 느껴졌지만, 아내를 대접(待接)하는 뜻에서 그 중 제일 작은 놈을 하나 골라 먹었다. 그리고, 쟁반 위에 함께 놓인 홍차(紅茶)를 들었다.

"하나면 정이 안 간대요. 한 개만 더 드셔요."

아내는 웃으면서 또 이렇게 권했다. 남편은 마지못해 또 한 개를 집었다. 어느 새 밖에 나갈 시간이 가까와졌다. 남편은

"인제 나가 봐야겠소. 밥상을 들여요."

하고 재촉했다.

"지금 잡숫고 있쟎아요. 이 고구마가 오늘 우리 아침밥이어요."

"뭐요?"

남편은 비로소 집에 쌀이 떨어진 줄을 알고, 무안(無顔)하고 미안(未安)한 생각에 얼굴이 화끈했다.

"쌀이 없으면 없다고 왜 좀 미리 말을 못 하는 거요? 사내 봉변(逢變)을 시켜도 유분수(有分數)지."

뿌루퉁해서 한 마디 쏘아붙이자, 아내가 대답했다.

"저의 작은아버님이 장관(長官)이셔요. 어디를 가면 쌀 한 가마가 없겠어요? 하지만 긴긴 인생(人生)에 이런 일도 있어야 늙어서 얘깃거리가 되잖아요."

잔잔한 미소(微笑)를 지으면서 이렇게 말하는 아내 앞에, 남편은 묵연(默然)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면서도 가슴속에는 형언(形言) 못 할 행복감이 밀물처럼 밀려 왔다.

이야기 세엣

다음은 어느 중로(中老)의 여인(女人)에게서 들은 이야기다. 여인이 젊었을 때였다. 남편이 거듭 사업(事業)에 실패(失敗)하자, 이들 내외는 갑자기 가난 속에 빠지고 말았다.

남편은 다시 일어나 사과 장사를 시작했다. 서울에서 사과를 싣고 춘천(春川)에 갔다 넘기면 다소의 이윤(利潤)이 생겼다.

그런데 한 번은, 춘천으로 떠난 남편이 이틀이 되고 사흘이 되어도 돌아오지를 않았다. 제 날로 돌아오기는 어렵지만, 이틀째에는 틀림없이 돌아오는 남편이었다. 아내는 기다리다 못해 닷새째 되는 날 남편을 찾아 춘천으로 떠났다.

"춘천에만 닿으면 만나려니 했지요. 춘천을 손바닥만하게 알았나 봐요. 정말 막막하더군요. 하는 수 없이 여관(旅館)을 뒤졌지요. 여관이란 여관은 모조리 다 뒤졌지만, 그이는 없었어요. 하룻밤을 여관에서 뜬눈으로 새웠지요. 이튿날 아침, 문득 그이의 친한 친구 한 분이 도청(道廳)에 계시다는 것이 생각나서, 그분을 찾아 나섰지요. 가는 길에 혹시나 하고 정거장(停車場)에 들러 봤더니……."

매표구(賣票口) 앞에 늘어선 줄 속에 남편이 서 있었다. 아내는 너무 반갑고 원망(怨望)스러워 말이 나오지 않았다.

트럭에다 사과를 싣고 춘천으로 떠난 남편은, 가는 길에 사람을 몇 태웠다고 했다. 그들이 사과 가마니를 깔고 앉는 바람에 사과가 상해서 제 값을 받을 수 없었다. 남편은 도저히 손해(損害)를 보아서는 안 될 처지(處地)였기에 친구의 집에 기숙(寄宿)을 하면서, 시장 옆에 자리를 구해 사과 소매(小賣)를 시작했다. 그래서, 어젯밤 늦게서야 겨우 다 팔 수 있었다는 것이다. 전보(電報)도 옳게 제 구실을 하지 못하던 8·15 직후였으니…….

함께 춘천을 떠나 서울로 향하는 차 속에서 남편은 아내의 손을 꼭 쥐었다. 그 때만 해도 세 시간 남아 걸리던 경춘선(京春線), 남편은 한 번도 그 손을 놓지 않았다. 아내는 한 손을 맡긴 채 너무도 행복해서 그저 황홀에 잠길 뿐이었다.

그 남편은 그러나 6·25 때 죽었다고 한다. 여인은 어린 자녀(子女)들을 이끌고 모진 세파(世波)와 싸우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제 아이들도 다 커서 대학엘 다니고 있으니, 그이에게 조금은 면목(面目)이 선 것도 같아요. 제가 지금까지 살아 올 수 있었던 것은, 춘천서 서울까지 제 손을 놓지 않았던 그이의 손길, 그것 때문일지도 모르지요."

여인은 조용히 웃으면서 이렇게 말을 맺었다.

지난날의 가난은 잊지 않는 게 좋겠다. 더구나 그 속에 빛나던 사랑만은 잊지 말아야겠다. "행복은 반드시 부(富)와 일치(一致)하진 않는다."는 말은 결코 진부(陳腐)한 일 편(一片)의 경구(警句)만은 아니다.


-fin.

작가 김소운님은 젊었을 때(일제강점기) 일본에서 활동하셨는데요, 주로 조선의 작품을 일본에 소개 많이 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교과서에 실려 유명한 이 수필말고도 [일본 국민에게 고함]이었던가요? 조금 유명한 글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아마 돌아가셨을 듯 합니다..  

Comment '2'
  • 알파 2003.07.22 05:01 (*.62.226.23)
    정말 아름다운 글입니다. 예전엔 왜 아름답다는 생각을 못했는지 모르겠어요... 남편은 한번도 그 손을 놓지 않았다... 갑자기 아내에게 미안해지는군요. 으니님 고마워요.
  • 아스 2003.07.23 14:53 (*.122.13.96)
    그시절 기억이 새롭군요. "면목이 선다" 이말만큼 우리 부모님세대에서 무게를 가진 말이 또 있을까요. 서로에게 면목이 서는 삶, 그것이 옛분들이 서로를 엮어가는 초강력끈이었지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288 -- 뜨거운 국물 예술의 극치...... 해운대 소고기 국밥 4 오모씨 2004.04.27 4387
7287 -- 수정 3 file 오모씨 2004.02.21 4149
7286 --,.-- 한민님이 올린 파일을 크랙해봤습니다 8 file - 情 - 2005.01.27 3784
7285 -_-;; 이제 집에 들어갑니다. 옥용수 2004.03.21 3603
7284 . 13 진성 2003.07.21 4015
7283 . 12 2011.01.19 5848
7282 ... 4 진성 2003.09.30 4078
7281 ... 3 진성 2004.01.21 6669
7280 ... 13 진성 2004.04.12 3403
7279 .... 7 진성 2003.09.25 4256
7278 .... 3 file 정훈 2011.11.16 5342
7277 .... 잼있는 이름들... ^^ 3 09 2003.08.28 4053
7276 ............ 득음 ............ 5 np 2007.04.01 3119
7275 ................. 5 호빵맨 2003.05.06 5847
7274 .....하루 3 file 정재용 2005.12.08 2862
7273 .103 기타매니아 로고~ 3 file 2004.06.23 3641
7272 /////// 에덴의 동산 ///////////// 21 금모래 2009.05.09 3729
7271 060 스팸전화 차단방법.. 4 음.. 2007.04.23 3782
7270 1 SPAGHETTI 2010.12.03 4672
7269 1% 지지라는데요? 훈훈해지는.. 11 봉봉 2009.03.03 4201
7268 10 1 file cho kuk kon 2008.06.08 3537
7267 1000식횽아.... 2 조아 2008.08.05 3760
7266 1000식님~ 비디오 더 구했어요. 2 file 콩쥐 2006.09.06 4094
7265 1000식님의 "사우라"감독의 예술영화강의. 3 file 2006.09.02 3966
7264 1000원짜리 선물?!? 7 nenne 2005.04.02 4498
7263 100년의 필름. 콩쥐 2014.12.02 4240
7262 100년전 미국의 벌목장 4 file 꽁생원 2014.12.18 4383
7261 100년전 우리나라 2 조선 2004.11.28 4117
7260 100원,1000원,5000원,10000원짜리의 .........? 5 ldh2187 2007.09.19 3725
7259 100원짜리 기타교본 4 file 꽁생원 2012.02.02 8705
7258 108배의 의미 1 파랑새야 2013.09.23 5388
7257 10년 동안 벌칙을 연구하신 분입니다-_-; 15 nenne 2004.12.07 5898
7256 10년후에 400호... 10 밥오 2006.01.09 3125
7255 10대 기타쟁이들... 6 file 소주 2008.11.29 4668
7254 10번째 사진........... file Jade 2006.07.07 2903
7253 10분 만에 알아보는 독일 역사 꽁생원 2018.01.03 4983
7252 10월의 장미 1 file np 2006.10.28 3184
7251 10조가치의 대담. 1 자료 2012.12.05 5999
7250 11.2 16:00 광화문 Mireille Mathieu singing La Marseillaise (with lyrics) 11.12 16:00 역사의 주인공이 되느날 마스티븐 2016.11.10 2364
7249 1111 뺏기. 2 오모씨 2004.03.15 5914
7248 115억원 바이올린의 비밀은? 4 고정석 2010.04.21 4295
7247 11:0 1 file gil 2006.10.20 3277
7246 11:3 2 file 무명 2006.10.20 3940
7245 11님, 뭐 하나 여쭤볼게요. 4 file BACH2138 2010.07.18 4060
7244 11만 9 현실 2011.11.18 4599
7243 11번째 사진........... file Jade 2006.07.07 5311
7242 11월은 모두 다 사라진 것은 아닌 달 - 정희성 4 으니 2005.11.29 3690
7241 11월의꽃 3 file 2004.11.15 4361
7240 11월인데.... np 2005.11.03 2770
7239 1200여개의 산에 오른분 콩쥐 2012.04.02 5250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