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저는 공대생입니다. 뉴스를 보면 공대 심각하다는 말이 많이 나오지요?
그리고 제가 공대에 있고, 주변 사람들도 다 공대여서 그런가 봅니다.

인문계가... 그렇게 힘든가요?
공대생들이 공부하는 걸 보면, 그리고 직접 해본바로는 어찌됐든
(해야만 할) 공부의 양은 인문계보다는 자연계열 쪽이 더 많지 않은가
하고 생각을 했습니다.

아직 23살 밖에 안됐고, 2학년밖에 못마친 철없는 생각일지도 모릅니다만,
전 인문계간 친구들이 그렇게 부러울 수가 없었습니다.

축제고 뭐고, 주말이고 뭐고... 우리는 일주일에 한 번 꼴로 보는 시험에
치여서 사는데, 인문계 친구들은 사람들도 자주만나고, 뭐랄까 보다 풍요
롭게 사는 것 같았죠. 여유도 많이 있는 것 같고요.

취직 문제만 해도, 인문계는 직접 몸으로 무엇을 개발해내고 하는 것이
라 관리직, 판매직, 홍보업무 등등을 맡고, 승진도 잘되고, 정년도 길고...
공대보다는 인문계가 훨씬 매력적이라고 생각을 했었더랬죠.

인문계는 과의 경계가 모호하니까 꼭 자기 전공을 살릴 필요도 없으니까
그리고 그런 경우도 드무니까 인생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하는 문제에
있어서도 선택의 방향이 훨씬 넓어 보였습니다.

또한 무엇보다 공대와는 달리 인간냄새 나는 공부를 할 수 있다는 점...
이건 정말 매력적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현실은 그렇지 않은가 봅니다?

그냥 궁금합니다...

인문계에서 자기 전공을 살려서 업을 삼는 사람은 드물지 않은가요.
...

왜 저 분은 그런 길을 걸으면서 가족까지 버려야 했는지... 허허참...
전 실감이 안납니다만, 저런 길을 걸은 것 자체가 이런 어려움쯤은
예상했을 수 있지 않았을지요...
Comment '4'
  • 으니 2003.06.04 00:16 (*.117.239.10)
    인문계 공부의 디딤돌이자 걸림돌은 지난 수천년간의 인간 정신의 기록인 듯 해요.. 맘과 달리 무엇인가 새로운 것을 하기가 참 힘들거든요..
  • 으니 2003.06.04 00:17 (*.117.239.10)
    벌써 몇년전 전 로마의 누군가도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고 슬퍼했다나요^^;;
  • 으니 2003.06.04 00:17 (*.117.239.10)
    전 제가 공대를 갔더라면 어땠을까 한동안 생각하면서 밤잠을 못이룰정도로 아쉽기도 했는걸요^^
  • 저녁하늘 2003.06.04 00:20 (*.243.216.66)
    전 두 분다 이해가 가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388 특이한 음악 아무나 2016.12.05 5935
7387 진실을 발설하면 특검 2016.12.02 2700
7386 재미네여 1 재미짐 2016.12.01 6597
7385 사진강의 file 2016.11.30 5424
7384 영국 기자가 본 한국인 2016.11.25 2532
7383 기공의 달인 2016.11.25 2657
7382 한국콘텐즈진흥원 2016.11.23 2755
7381 folder5..... 일본그룹 2016.11.23 2727
7380 꽃 떼지 말라했다 더군요... file 2016.11.21 2303
7379 독고구검. 무협영화 2016.11.21 2413
7378 좋은글은 같이 읽어보라고 했다...우리 자식들을 위해서 부끄러운어른들 2016.11.18 2245
7377 자유의지 2016.11.13 2786
7376 기타학원 인수받으실분!!! 기타학원 2016.11.13 2119
7375 일루미나티에게 선전포고하는 트럼프 장면 트럼프맨 2016.11.10 3672
7374 11.2 16:00 광화문 Mireille Mathieu singing La Marseillaise (with lyrics) 11.12 16:00 역사의 주인공이 되느날 마스티븐 2016.11.10 2392
7373 지구의 자전이 멈춘다면.. 꽁생원 2016.11.03 2258
7372 사람들이 잘 모르는 헬렌 켈러의 삶 2 file 꽁생원 2016.10.10 5563
7371 '오토파지 현상' 일본, 3년 연속 노벨상 수상! 헤이글 2016.10.06 2223
7370 미술강좌내용 file 콩쥐 2016.09.24 2332
7369 you need me. 1 file 콩쥐 2016.09.24 2342
7368 현대미술 강연회 file 콩쥐 2016.09.23 2564
7367 밀밭 그림 콩쥐 2016.09.23 2352
7366 하모니카 연주 1 꽁생원 2016.09.20 2493
7365 남회근 2016.09.15 2421
7364 양신 file 2016.09.10 2237
7363 노란리본 우트뷰 2016.09.09 2216
7362 지구의 크기 1 꽁생원 2016.09.08 2458
7361 우주선 폭팔과 관련한 동영상과 댓글들... 콩쥐 2016.09.06 2443
7360 강환섭 file 콩쥐 2016.09.06 3056
7359 부끄러운 뉴스 1 꽁생원 2016.09.04 2750
7358 스피커 유닛 수리 1 file np 2016.09.01 3586
7357 마호가니 file 2016.09.01 2349
7356 세친구 file 콩쥐 2016.08.29 2064
7355 다나에 2016.08.27 2483
7354 야요이 쿠사마 file 2016.08.25 2514
7353 토종 금강밀 1 file 2016.08.24 2452
7352 GMO는 식량이 아니라 서서히 살상하는 생물무기다 마스티븐 2016.08.22 2811
7351 여행갔다 돌아와보면 file 2016.08.18 2325
7350 이 시대의 광복군들! 2 마스티븐 2016.08.15 2428
7349 고양이 노래 2 2016.08.12 2357
7348 블랙홀(Black Hole) - 깊은 밤의 서정곡 2016.08.12 2731
7347 루벤스 2016.08.12 2461
7346 욕계의 향기. file 2016.08.10 2173
7345 여름에 볼수있는 file 2016.08.10 2560
7344 무더위 나기 file 2016.08.10 2464
7343 한글과 구자라트, 티벳,인도 콩쥐 2016.08.08 2393
7342 알타이어족 콩쥐 2016.08.08 2641
7341 송과체(퍼온글) 6 콩쥐 2016.08.08 4441
7340 다른생각 file 2016.08.06 1976
7339 티벳 2016.08.06 2492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