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한국어



1957년에 칸느 영화제에서 대상을 받은 소비에트(구소련)영화를 소개한다.


백학(白鶴두루미) Песня "Журавли"   레트얕 주라블리 (영어제목 THE CRANES ARE FLYING)라는 영화이다.

갑자기 웬 소련영화냐 하겠지만 이 영화는  좀 유별나다.


백학이 날아가는 하늘을 바라보며 연상하는 시간들의 교차와 전쟁과 평화

사랑과 그리움,슬픔등 인간적인 고뇌와 감정을 적나라하게 표현한 사실주의(realism)적

예술감각으로 그려진 작품이다.


우리나라의 유명한 드라마였던 "모래시계"에서 나오는 "백학(이연異緣)이라는 노래가 이 영화의

주제곡 인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은듯 하다.유명한 노래인 이곡은

단조의 애조 띤 멜로디에 중후한 저음가수가 분위기 있게 노래하는 곡이다.


영화음악 작곡가인 최경식이 작곡하였고 그중에는 더 유명한 파가니니곡인 모래시계와 백학이 나온다.

물론 다른곡들은 작곡가의 자신의 작품이지만 이 2곡은 다른 곳에서 빌려온 일종의 포스트모더니즘적인

(postmodernism)음악들이다.러시아 영화가 불란서,이태리 영화를 제치고 칸느영화제에서 대상을 휩쓸었다.

더우기 깐깐한 영화평론가들의 입맛을 맞추었다.

그것도 칼라영화를 제치고 흑백영화가 수상의 영예를 누린것이다.


이 영화는 구소련의 스탈린 사후(1954년)에 후르시초프의 개방정책과 서구에 대한 데탕트(detente )외교의

한면으로 제작되었다. 전쟁을 반대하는 영화인것이다.

독재자였고 공포정치를 행하던  전쟁광인 스탈린을 깍아 내리기하는 영화이다.


영화감독은 미카엘 칼라토죠프 ,극본은 빅토르 오즈 노프,영화음악은 바인 베르그가 하였다.

남우주연인 보리스역에는 알렉스 바타로프 여우주연인 베로니카역(극중 별명은 다람쥐)에 타티아나 사모일로바


영화 줄거리는

전선에서는 2차대전이 한창이던 어느날

사랑하던 연인사이인 베로니카와 보리스는 불타는 사랑을 나눈다

그러던 어느날 보리스에게 날아온 징집영장은 공교롭게도 베로니카의 생일날이다.

전선으로 끌려가는 보리스는 군인이 되어간다.

어느 겨울 자작나무가 많은 습지에서 갑자기 날아온  저격병의 총에 맞아 정신을 잃어가는 보리스의

눈에 어리는 베로니카의 얼굴과 날아가는 백학떼와 오버렙(over-wrap)이 된다.

전쟁이 끝나가던 어느날 제대군인을 사이를 찾아보아도 보리스는 나타나지 않는다

한 제대군인이 전쟁의 비극과 파괴를 군중사이에서 연설하는 반 전쟁,평화주의의 메세지를 전달한다.

하늘에 날아가는 백학을 바라보는 베로니카......

그 백학은 연인인 보리스가 보았던 그 백학이었던 것이다.


전쟁이 가져다 주는 모든 나쁜점을 조목조목 열거한 영화이다.

더우기 감독인 미카엘 칼라토죠프는 마음껏 기량을 발휘하였다.

그동안의 공산당의 검열이나 제재에서 벗어난 예술영화를 만들라 하였으니 얼마나 신이 났을까.

대충 만든 영화가 아니라  번뜩이는 창작동기가 눈에 보인다. 정성이 녹아 내린다.

영상미학은 휼륭하다. 흑백영화의 장점을 최대로 살린 영화이다.


흑과 백의 콘트라스트(contrast)의 조화을 이 영화를 통해   보여준다.

특유의 상투적인 프로파간다 (propaganda)작품이 아닌

역시 이념의 자유와  해방에서 순수한 예술은 탄생된다. 걸작(masterpiece)이다.

진실을 말하고 있다.

상영시간 95분(더 길지만 후에 정권이 또 바뀌면서 중요한 대목들이 잘려나갔다)



올해로 6.25가 60주년이 된다.

인간의 나이로는 회갑이 되는 해이다.

30년씩 2세대의 가족들이 생겨나는 세월이다.

아직도 우리에겐 전쟁의 아픔이 지워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전쟁을 근거로  협박해서  밥먹고 사는 짐승같은 인간들도 있다.

절대로 잊지말아야할  우리의 역사적 비극의  한장면인것이다.

더이상 대물림하지 말아야할  부끄러운 어두운 과거의 처절한 한장면이다.








백학(두루미)Песня "Журавли"   레트얕 주라블리   가사

 Мне кажется порою, что солдаты
С кровавых не пришедшие полей,
Не в землю нашу полегли когда-то,
А превратились в белых журавлей.

Они до сей поры с времен тех дальних
Летят и подают нам голоса.
Не потому ль так часто и печально
Мы замолкаем глядя в небеса?

Летит, летит по небу клин усталый,
Летит в тумане на исходе дня.
И в том строю есть промежуток малый -
Быть может это место для меня.

Настанет день и журавлиной стаей
Я поплыву в такой же сизой мгле.
Из-под небес по-птичьи окликая
Всех вас, кого оставил на земле.

Мне кажется порою, что солдаты
С кровавых не пришедшие полей,
Не в землю нашу полегли когда-то,
А превратились в белых журавлей.               
Comment '4'
  • 진태권 2011.06.22 18:16 (*.228.8.84)
    음~~ 너무 좋아하던 곡 입니다.

    예전(약 2년전)에 이곡을 편곡하여 등록한 적이 있는데
    솜씨가 시원찮아 그다지 환영을 못받았던 기억이 나네요.

    하지만 너무 좋아하던 곡이고 예전 생각도 나게 하는 곡이고
    곡 해설 또한 너무 좋네요.

    조금 전에 친구가 비도 오고하니 한잔 하자는 연락이 왔네요.

    한잔 하면 흥얼거리기 까지 할것 같은 기분 입니다.

    좋은 해설 감사드리고

    혹, 예전의 악보가 필요하신 분 있으시면 댓글을 달아 주시면 다시 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

    다시한번 좋은 해설 감사드립니다.

  • 맑은느낌 2011.06.22 20:01 (*.76.61.188)
    옛날영화를 좋아하는 편인데 이영화는 처음 봅니다 좋은영화소개시켜주셔서 감사합니다 언제라도 꼭 봐야겠습니다
  • ozaki 2011.06.23 00:14 (*.200.35.227)
    언젠가 지상에 눕지 않고 백학이 되겠노라는 가사가, 영상과 함께 보니 더욱 슬프게 느껴지네요.
    항상 새가 되어 날아간다는 것은 희망을 상징한다고 생각했는데...
    좋은 글 감사합니다.~
  • 조국건 2011.06.23 16:13 (*.70.74.59)
    진태권님,맑은 느낌님,ozaki님

    다들 안녕히 계시지요.

    반가운 댓글들 감사합니다.

    어쩌다

    이 영화 비디오를 2개나 가지게 되었습니다.

    한 영화를 보니까 백학 주제가가 안나옵니다.

    이상하다 싶어 교환,반품시킬가 하다가 러시아 타운에 나가서 다시 하나 더 사서

    구해보았는데 이것도 역시 중요한 장면을 삭제ㅎㅒㅆ더군요.

    별거 아닌데 백학 날아가면서 주제가가 청승맞게 나오는 장면(하이라이트)

    이 장면이 후르시초프 이후에 그들에게는 거슬렸나 봅니다.

    러시아 비데오에는 이런 주의사항이 나오더 군요.

    해외용으로 국내 시청금지라는 이상한 주의사항이 나오도 군요.

    참 이상한 비디오 입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규입점자 신년이벤트) 기타매니아 홈 메인광고 받습니다(배너제작 가능) 23년 1월 31일까지 file 뮤직토피아 2023.01.19 58736
공지 [공지] 파일 첨부기능에 문제가 있었습니다.. 개선완료.. 뮤직토피아-개발부 2021.02.17 71875
공지 "댓글" 작성시 주의부탁드립니다. 3 뮤직토피아 2020.03.09 87401
공지 "기타메니아" 문자/로고 사용에 관한 건 뮤직토피아 2020.02.14 79127
공지 [필독 공지] 연주회 소식을 메인에 노출을 했습니다. 2 뮤직토피아-개발부 2019.11.02 83768
16921 "가까울수록 더 자유롭다"........올해 노벨물리학상의 주제. 2004.10.14 3585
16920 "공맹부"라는 닉 쓰시는 메냐님 계시면요.. 으니 2005.02.17 2769
16919 "과천블루스" 파문 일파만파 dkf 2007.01.02 3991
16918 "그냥 되는" 분들에게~ 16 JS 2009.01.17 5259
16917 "그리움(Nostalgia)" 연주 올려주시는분께는... file 기타매니아 2010.08.27 6398
16916 "급" 질문입니다 9 하늘지기 2009.05.15 3985
16915 "기타 음악" 전용 소규모 공연장 Deos 홀 대관 안내입니다. file 데스데리 2015.12.15 4798
16914 "기타뉴스" 안드로이드 App 소개 기타뉴스 2011.06.17 16700
16913 "기타는 치는 것 입니까?" "그렇다고 생각 합니다." 1 심통 2018.02.12 3562
16912 "기타명곡 100선" 선정에 여러분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10 seneka 2003.08.23 3647
16911 "나의 기타" 게시판이 생겼습니다. 3 2007.12.08 3590
16910 "내게도 두가지 길이 있었어요 ^^;" - 마에스뜨로 아우셀 8 오모씨 2005.06.04 3486
16909 "늦잠 유전자 있다" 英교수 Per3 수면역할 규명 1 까치 2003.07.12 3866
16908 "딴따라" 라는 말이... 6 쵸보 2008.03.27 5189
16907 "라 테라"모임 (황민웅 선생 초청) / 연주 mp3 file jons 2013.09.23 12475
16906 "라 테라"특별 모임 후기,(임승문 선생 초청) 1 file jons 2013.09.16 11637
16905 "라이라크 피는언덕에" 라는 악보를 신청해도 될가요? 중국동포 2009.01.27 4075
16904 "루마니아 야쉬 필하모닉 창원공연" 할인안내(협연: 홍상기) 2 (주)프로아트 2004.02.13 2986
16903 "루져"에 대한 생각.. 30 송사장 2009.11.13 5861
16902 "바하의 오케스트라곡들" 이라굽쇼! ^o^ 8 신동훈 2003.03.27 4374
16901 "불멸의 이순신" 첫회부터 다시금 보고싶은분 계세요? 민수 2006.06.24 3758
16900 "사발과 에스페리옹" 싸인 받았어요~~ 6 file 까치 2005.03.20 4050
16899 "서울역 분향소에서" 3 file 아름다움 2009.05.25 4920
16898 "소리를 뽑아낸다"라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9 지수 2004.05.05 2943
16897 "쇼팽" 연주하실분만 보셔요. 4 2004.08.05 3034
16896 "수"님 보세요. 1 guno 2003.12.04 3129
16895 "스페인의 고음악 앙상블 Jordi Savall 과 음악가족" 기타마니아 사이트의 금지된 단어 인식능력 부족 시급히 개선 필요 ? 2 마스티븐 2016.08.08 3954
16894 "아벨 깔레바로의 기타연주법 " 책을 구할 수 있나요? 2 김철수 2006.07.13 4280
Board Pagination ‹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573 Next ›
/ 57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