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한국어




배영식 선생의 기타인생 70년을 조명해보고자 생각했던 것은 수 년 전부터였다.

하지만 선생과 나는 특별한 인연이 없는 상태.

대학 시절 내가 만들었던 동아리의 창립 연주회를 준비할 때 내가 연주하기로 한 독주곡에 대해 가르침을 청하고자 잠시 뵌 것, 부산.경남지역 대학 동아리의 연맹을 결성하고 연맹합주단장을 맡게 되면서 몇 차례 뵌 것이 전부였다.

지인 중에 선생의 제자로서 오랜 동안 가까이 지낸 분이 계셨는데 그 분과 함께 준비하고자 하였으나 차일피일 미루는 바람에 수 년이 흘러버렸다.




선생의 제자로서 울산에 거주하는 심주영 선생님의 연주회 때에 팜플렛의 해설을 맡게 된 것이 인연이 되어 심주영 선생님과 몇 차례 만났고,

역시 선생의 제자로 70년대 중반 부산 시민회관에서 소르의 L'Encouragement를 연주했던 권양자 누님을 만난 것이 인연이 되어 몇 차례 선생을 찾아 뵈었다.

여기서 셋은 의기투합하여 선생의 기타인생 70년을 돌아보는 행사를 준비하기로 하였다.




선생은 많은 나이임에도 기억력이 비상할 정도로 또렸했다.

내가 창립했던 동아리의 창립 연주회에 참석했던 일이며, 동아리 연맹의 존재도 정확하게 기억하고 계셨다.

아드님인 배학수 선생님과 행사에 대한 구체적인 협의에 들어갔으며 10월 쯤으로 일정을 정하였다.

9월에 배학수 선생님과 만나 자료를 검토하고 준비에 들어갔다.

배학수 선생님은 이미 팜플렛, 포스터, 사진, 신문기사, 등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두고 있어 많은 노력을 줄일 수 있었다.

선생의 삶의 족적에 대해 잘 모르는 상태에서 전체적인 그림을 그리는 일은 무척 힘이 들었다.

선생과의 몇 차례 대담을 통해 대체적인 가닥이 잡혔으나 여전히 장님이 코끼리 다리 만지는 격이었다.

2007년에 출판된 주경업 선생의 책 "부산의 꾼.쟁이를 찾아서"중에 선생을 소개한 글이 20페이지 가량 있어 그나마 많은 도움이 되었다.




선생의 스승인 오구라 순 선생은 우리 나라에 별로 알려진 사실이 없어 우선 여기에 집중하기로 하였다.

인터넷 검색을 통한 자료확보에 매달린 결과 오구라 순 선생의 삶에 대하여 가닥을 잡을 수 있었다.

선생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중국의 초창기 기타의 역사에도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었음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연주는 물론, 제자를 길러내는 일, 이론서를 일본어로 번역하는 일, 그리고 여러 이론서를 저술하는 일, 작곡은 물론 지휘까지 했던 다재다능한 인물이었다.

선생의 이러한 풍모는 일본의 초창기에 활동했던 다른 분들과 확연히 구분되는 점이었다.

아키히토 일본 천황이 황태자이던 시절에 기타를 가르쳤고 음악출판사로 유명한 "音樂之友社"의 기타 부문의 감수(Advisor)까지 맡았던 인물이었다.

이런 스승을 만난 것은 선생의 행운이었다.

하지만 선생은 자신의 스승이 이렇게 유명하신 분이었던 것을 당시에는 몰랐다고 한다.

인터넷을 통해 아직 우리나라에 소개된 적이 없는 선생의 여러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고 야마시타가 오구라 순 선생의 작품을 연주한 음반자료도 입수하였다.

배영식 선생도 처음 보는 각종 자료들도 입수하게 되어 차제에 오구라 순 선생을 새롭게 조명하고 소개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사진 자료와 각종 팜플렛, 신문기사 등을 년도별로 정리하면서 선생의 삶을 입체적으로 그려가는 일은 무척 어려운 작업이었다.

기념사진 중에는 년도와 일자가 적힌 것도 있었지만 그렇지 못한 것이 대부분.

선생의 모습과 정황을 토대로 년도별로 분류하는 지루한 작업이 계속되었다.

인터넷에 떠도는 선생에 대한 단편적인 정보들의 조각들도 끼워 맞추었다.

이런 그림 맞추기 퍼즐이 끝없이 계속되었다.




선생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활발한 활동을 벌였음에도 협회로부터 배제된 데 대한 여러 정황들과 증거들도 입수되었다.

기타계의 여러 원로분들이 이런 사실들을 알면서도 입을 굳게 닫고 있는 이유들도 이해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를 역사 속에 묻어야 하느냐에 대한 갈등이 이어졌다.

우리나라 기타계에 초창기에 활동하셨던 많은 분들이 이미 돌아가셨거나 연로한 상태에서 더 이상 미루게 되면 복원될 수 없는 역사 속으로 묻혀버리게 된다.

나는 원로분들이 입을 열어주기를 바란다.

하지만 이는 그 분들의 몫이다.




이번 행사를 준비하면서 이러한 가치판단의 갈등 속에 번민하였음을 밝힌다.

협회에서도 창립 50주년을 맞아 역사를 정리하는 작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우리나라 초창기 기타의 역사를 조망하는 데 나의 작업이 초석이 된다면 더 바랄 것이 없겠다.
        
Comment '6'
  • 콩쥐 2009.11.01 08:04 (*.161.67.92)
    가치있는 작업을 하셧네요....
    우리나라기타의 역사가 책으로 출판되면 참 좋겠습니다.
    줄여도 800페이지정도 되겠죠...
  • Jason 2009.11.01 10:07 (*.163.9.220)
    정말 수고하셨습니다.
    저도 배영식님의 기억은 짧은 순간순간들이었지만..한국기타계의 그당시 상황에 대한 탄식이었습니다....
    저가 미국 오기 바로 전날에 배영식님을 찾아가서 저의 기타에 대한 조언을 들으러 갔을때도
    그당시 한국의 기타교육에 대한 걱정을 하시더군요...
    그때는 솔직히 한국 어느 대학에서도 클래식 기타를 가르치지 않았으니......
    배영식님의 제자분들중에 서울로간 한분에 대한 아쉬움도 들었습니다.
    조금만 더 선생님 밑에서 계셨으면 세계적인 기타연주가로 대성할 사람도 있었는데... 하시는 탄식도..

    기타라는 악기가 그런가봅니다..조금 배우면 누구나 다 혼자서 할수있을것 같은.....
  • 김태수 2009.11.01 10:16 (*.42.123.12)
    정천식님께서 매우 값지고 귀한 일들을
    하시고 계심은 확실합니다 힘을 내시기 바랍니다
  • 금모래 2009.11.01 10:57 (*.186.226.251)
    훌륭한 일을 하셨습니다.

    그런데 글 중에

    "선생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활발한 활동을 벌였음에도 협회로부터 배제된 데 대한 여러 정황들과 증거들도 입수되었다. 기타계의 여러 원로분들이 이런 사실들을 알면서도 입을 굳게 닫고 있는 이유들도 이해하게 되었다."

    라는 부분이 있는데 '아마추어로서 그 증거'가 뭔지 궁금합니다. 결국 협회나 다른 원로분들이 배영식 선생을 배제했다는 것인데 이유를 밝히지 않고 막연하게 이야기하니 마치 협회가 무슨 잘못한 일을 한 안 좋은 집단처럼 느껴집니다. 이런 부부은 분명한 이유를 밝혀야 할 것입니다.

    영문을 모르는 사람들로서는 혼란스럽고 궁금하기도 하네요.


  • 최동수 2009.11.01 22:48 (*.237.118.155)
    배영식 선생님의 기타인생 70년 행사는 경사스럽고 기타 역사에 남을 일이므로,
    이에 관해 개인의견을 토로하는 것은 존경하는 선생님께 누가되므로 자제하렵니다.

    다만 한가지,
    1975년 김인걸 선생님 회갑연주회 당시 한국기타아협회(개정)에 관여하였던 분들은
    현재 몇분 안계십니다.

    그때 회장이셨던 강우식님께서 김인걸선생님의 회갑기념 연주회를 주관하셨는데
    그해 사업계획이나 정관에 없는 행사를 하였다하여 논란이 좀 있었습니다.
    이에 크게 실망하신 강우식님께서는 기타계와 손을 놓고 20여년동안 잠적하셨지요.

    배선생님의 제자인 김정윤회장과 제가 수차에 걸쳐서 돌아오시기를 간청하였으나
    묵묵부답이시다가.
    월드컵 경기 이후 (여러 원로들께서 세상을 뜨신)에, 최원식회장님이 원로합주단을
    결성하게되면서야 저희들 곁으로 돌아오셨습니다.

    배선생님께서는 이제 노여움을 내려놓으시기 바랍니다.
  • 도토라 2009.11.01 23:00 (*.184.129.234)
    수고하셨습니다.
    사람들의 마음이 그리 넓지 못하고 자기를 먼저 생각하는 마음이 앞서는 것이 세상이치이니...
    배영식 선생님도 그런 경우가 있었나 봅니다.
    제가 아는 다른 분도 참 심하게 그런 경우를 당하셨던데...
    그렇지만 실력과 진실은 시간이 흐르면 드러나게 되나 봅니다.
    사마천의 사기가 모두 진실이 아닌 것처럼...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규입점자 신년이벤트) 기타매니아 홈 메인광고 받습니다(배너제작 가능) 23년 1월 31일까지 file 뮤직토피아 2023.01.19 57979
공지 [공지] 파일 첨부기능에 문제가 있었습니다.. 개선완료.. 뮤직토피아-개발부 2021.02.17 71108
공지 "댓글" 작성시 주의부탁드립니다. 3 뮤직토피아 2020.03.09 86607
공지 "기타메니아" 문자/로고 사용에 관한 건 뮤직토피아 2020.02.14 78332
공지 [필독 공지] 연주회 소식을 메인에 노출을 했습니다. 2 뮤직토피아-개발부 2019.11.02 82993
16737 ** 무엇일까요 ?? 7 신현수 2016.04.18 4928
16736 ***** 목마와숙녀 악보 강효순 13 바람서리 2022.01.11 4950
16735 **모집** 고양기타앙상블 (구 고양클래식기타합주단) file 고양앙상블 2012.04.21 11432
16734 **배보다 배꼽이 더 큰~~특별 깜짝 이벤트(1+1)** ^^ file (주)프로아트 2005.06.01 3119
16733 **자동차에서 알려드립니다. 방짱 2001.05.10 4245
16732 *2005녕 평택대학교 음악학과 실용음악전공 신입생모집 평택대 2004.09.25 3548
16731 *>>>추계예대 실용음악과에 클래식기타 전공이 신설되었습니다... 2 배모씨 2004.02.03 7659
16730 *Roland Dyens 소식* 기타문화원 2004.03.25 3139
16729 *^^* GSP 2차 수입분! 예약중 입니다. 2 file CDWOW 2005.07.05 3469
16728 *간-지-훈* 트리오!!!!! 4 2002.01.31 3847
16727 *고-최-신* 트리오!!! 간절한 2002.01.31 3675
16726 *공지*롤랑 디용 마스터 클래스 8 기타문화원 2004.03.26 2897
16725 *기타문화원 운영시간 안내* 4 기타문화원 2004.01.26 2780
16724 *님 감사합니다~~ 3 지얼 2004.02.13 2757
16723 *문화원 홈페이지가 새로 인사드립니다* 4 기타문화원 2004.03.22 3264
16722 *벙개* 제1회 제작가의 반란(斑爛) 4 file 피어리나 2018.01.30 4539
16721 *시간변경* 7월27일 화요일 즈느브에브 샤뉴 마스터 클래스 안내 숭실콘서바토리 2010.07.26 6412
16720 - 17 - 2002.08.04 3788
16719 - 1월 12일 고종대 독주회 이모 저모 - 6 기타문화원 2005.01.14 4316
16718 - 1월 29일 기타문화원에서 열린 이 원지 기타 독주회 이모 저모 - 8 기타문화원 2005.01.31 3165
16717 - 공지 - 지렁이 주의보 10 김진수 2002.07.14 3539
16716 - 저도 받고 배송 작업 중입니다 ㅋㅋ 3 file 오모씨 2004.11.25 3492
16715 -- 4 -- 2003.12.21 2685
16714 -- 아버님과 닮은 피카소의 작품모델 8 file 오모씨 2004.04.10 3211
16713 ---- 싸이즈 위치조정 좀 해본거 1 file 오모씨 2004.06.09 2884
16712 --사족 8 오모씨 2003.12.06 3240
16711 --오모텔에 놀러오신 배모님, 1000식님, 혁님~ 3 file 오모씨 2005.06.02 3289
16710 -성북구도시관리공단- 성북구민체육관에 기타강사님을 급구하고 있습니다!! 연희 2012.02.21 11103
16709 . 10 asdiz 2002.10.17 2959
16708 . asdiz 2002.10.27 2887
Board Pagination ‹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572 Next ›
/ 57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