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한국어
  • “한국 음악가 성공한 이유는 유연한 두뇌·손·마음 때문”
  • 세계 최정상 피아니스트 5명 성공원인 분석 위해 한국에…
    “한국 교육시스템 뛰어나 조기유학 바람직하지 못해”
  • 경주=김성현기자 danpa@chosun.com
    입력 : 2007.02.02 23:40 / 수정 : 2007.02.03 10:33
    • “15년 전에는 쇼팽을 배우기 위해 한국 학생들이 폴란드로 유학을 갔다. 하지만 15년 뒤 폴란드 학생들이 거꾸로 한국에 유학올지 모른다.”(피오트르 팔레치니·폴란드 바르샤바 쇼팽 음악 아카데미 교수)

      세계 최정상의 피아니스트 5명이 한국에 왔다. 왜 요즘 한국의 젊은 음악가들이 국제무대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치게 됐는지 분석하기 위해서다. 예술의전당 주최로 이달 1일부터 경주에서 열리고 있는 제1회 ‘예술의전당 음악 캠프’다. 이번에 초청된 다섯 피아니스트들은 세계의 피아노 음악계를 사실상 좌우하는 ‘실력자’들이다.

    • ▲예술의전당 음악 캠프에 참가한 피아니스트들. 아리 바르디, 존 오코너, 피오트르 팔레츠티, 자크 루비에, 블라디미르 크라이네프, 강충모 교수(사진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예술의전당 제공.
    •  

      중국의 윤디 리(2000년 쇼팽 콩쿠르 우승), 한국의 임동혁(2005년 쇼팽 콩쿠르 3위) 등을 키워낸 아리 바르디(이스라엘·독일 하노버 음대 교수)는 한국 음악가들의 성공 이유를 5가지 꼽았다. ▲잘 갖춰진 교수진과 교육 체계 ▲어떤 곡이든 빠르게 소화할 수 있는 두뇌 ▲빼어난 예술적 재능 ▲미국·독일보다도 강한 학습 의욕 ▲유연성이 뛰어난 손.

      바르디는 “아시아는 클래식 음악의 미래다. 그런데 중국·일본보다 인구가 적은 한국에서 최고 기량의 피아니스트가 계속 배출되고 있다면 거기엔 이유가 있다”고 말했다.

      더블린 국제 피아노 콩쿠르의 공동 설립자이며 심사위원장인 피아니스트 존 오코너(아일랜드)는 “피아니스트 김선욱의 리즈 콩쿠르 우승, 김규연의 더블린 콩쿠르 2위 입상, 김태형의 하마마츠 콩쿠르 3위 입상이 모두 불과 2년 사이에 일어난 일”이라며 “이들이 어려서부터 유학을 떠난 것이 아니라 한국에서 교육받은 뒤 세계에서 인정받고 있다는 점이 더욱 놀랍다”고 말했다. 그는 “10여 년 전부터 콘서트와 마스터 클래스를 위해 한국을 찾아오고 있지만, 한국인의 문화적 자긍심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걸 느낀다”며 “한국의 교육 시스템이 뛰어나기 때문에 이제는 무조건 조기 유학을 떠나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라고 조언했다.

      지난 2002년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심사위원장이며 피아니스트 임동민을 지도한 블라디미르 크라이네프(러시아)는 “한국의 피아니스트들이 세계 최고의 기량을 갖추고 있다는 것은 뉴스 거리도 아니다. 세계적 콩쿠르에서도 한국의 유일한 경쟁자는 중국과 일본일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인 제자 12명을 지도한 친한파 아티스트로 유명하다. 2005년 쇼팽 콩쿠르 심사 부위원장이었던 팔레치니(폴란드) 역시 “세계 유수의 콩쿠르가 ‘한국 콩쿠르’로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김선욱군이 우승한 리즈 콩쿠르의 심사위원이었던 자크 루비에(프랑스)는 “프랑스 작곡가 라벨의 ‘밤의 가스파르’ 연주를 듣고서 평생 두 번 놀랐는데, 첫 번째는 40여 년 전 프랑스의 대가(大家) 상송 프랑수아였고, 다음이 지난해 리즈 콩쿠르에 참가했던 정재원씨의 연주였다. 정씨가 불과 26세라는데 또 한 번 놀랐다”고 말했다. 루비에는 “한국 연주자들은 손·두뇌·마음 모두 유연성을 지니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강충모 교수(한국예술종합학교)와 함께 오는 9일까지 마스터 클래스와 레슨을 통해 김태형 김규연을 비롯해 한국의 차세대 피아니스트 20명을 지도한다.

      예술의전당은 올해 피아노로 시작해서 성과가 좋을 경우 바이올린 첼로 등으로 조금씩 범위를 넓혀나갈 계획이다.


    • ▲ 2007년2월1~9일 경주 현대호텔에서 열리고 있는 예술의전당 음악캠프.
      강충모 교수의 레슨 장면./김성현기자

  • Comment '2'
    • 조선일보 2007.02.03 17:50 (*.177.177.151)
      보셨군여

      전 제목만보고 안봤어쓴ㄴ데
    • JoDaC 2007.02.04 00:50 (*.142.96.186)
      자기하기나름인거같습니다만...... 기타는 아직 갈길이 먼가요?

      전 뭔가 신선한충격이 왔으면 합니다......

      그중하나의 바램이 대가의작품전곡 녹음....
    ?

    Board Pagination ‹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573 Next ›
    / 57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