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한국어
2004.08.02 15:48

절대음감과 상대음감

(*.92.51.174) 조회 수 4965 댓글 7
절대음감이란?

전체 인구의 0.01%만이(인구2천명에 1명도안됨) 절대음감이 있는것으로추정되고(Bachem, 1995;Profita & Bidder, 1988)
음악가중 약 15%가 절대음감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eppstein, 1998)

하지만 절대음감자의 경우 조 옮김에 장애를 가져오거나 음악 능력에 있어 더 중요한 '상대 음감'을 기르는데 장애가 될 수도 있다.

다음은 과거 어느 오페라 홈페지에 실린글입니다.


1. 상대음감 vs 절대음감

음감이라 함은 말 그대로 <음정을 느끼는 감각>을 이야기 한다. 음감에는 두가지가 있는데, 상대음감과 절대음감이 그것이다. 절대음감이라는 것은 사람의 머리속에 음의 절대적 기준이 되는 장치가 존재하여 외부의 도움없이 자기가 들은 음의 음정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다.

예를 들어 내가 길거리를 가다가 '빠라바라바라밤' 하는 오토바이 나팔소리를 들었는데, 그 소리의 음정이 피아노 88개 건반중에 어느것에 해당하는지 그 즉시 파악할 수 있다면 그는 절대음감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절대음감은 5세 이전의 어린 시기에 악기(특히 피아노)교육을 받은 사람에게서만 나타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미 최소 10대 후반에 이른 우리 물보라 단원중에는 지금의 이 나이에 후천적으로 절대음감을 키우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물보라의 우수한 단원이 되기 위해서 절대음감이 반드시 있어야만 하는것 또한 아니기 때문에 절대음감이 없다고 해서 실망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선천적이라고 할 수 있는 절대음감 보다는 후천적인 노력으로 충분히 계발 가능한 상대음감을 습득하는 쪽이 우리의 음악 활동을 더욱 즐겁고 풍요롭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물보라의 모든 단원들이 상대음감을 소유하도록 노력해 볼 것을 권유하는 심정으로 이 글을 계속해 보겠다.


2. 상대음감이란 무엇인가?

상대음감이란 '자신의 머리속에 음의 절대적 기준이 되는 장치가 존재하는' 절대음감과는 달리 외부의 기준장치의 도움을 받아 한 음정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이야기한다.

예를들어 내가 길거리를 가다가 '빠라바라바라밤' 하는 오도바이 나팔소리를 들었는데, 마침 내 손에 피치파이프가 들려져 있어 그것을 '뿌' 불어본 후에 처음에 들었던 소리와의 차이를 계산하여 음정을 파악할 수 있다면 그는 상대음감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런 경우에는 길거리를 가다가 어떤 노래를 들었을 때 (비록 그 노래의 정확한 조성은 즉시 파악을 못하겠지만) 그 노래의 계이름은 파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 물보라에는 <청음채보>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단원들이 한 기수에 최소 한명 이상씩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내가 알기로는 이들 모두가 <상대음감>으로 채보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더욱이 우리가 12음음악이나 무조성 음악을 하는 것이 아니고 유조성음악을 하기 때문에 <절대음감>보다는 오히려 <상대음감>을 가지고 있는 편이 합창활동이나 채보를 하는데 도움이 된다.


3. 내 자신이 상대음감을 가지고 있는지 진단하는 방법

아주 간단하다. 지금 즉시 아무 노래나 떠올려 보라. 그 노래의 첫 소절을 흥얼거려 보라. 그 노래의 계이름을 떠올릴수 있다면 상대음감이 있는 것이다. 예를들어 '꼬꼬댁 꼭꼭 먼동이 튼다'를 불러본 후에 그 계이름 도도레 미도 레레시 시도 를 떠올릴 수 있다면 그는 상대음감이 있는 것이다.


4. 앗! 내게는 왜 상대음감이 없나요?

너무 실망할 것 없다. 이제부터 시작을 한다면 100일 이내에 상대음감을 키워 처음 보는 악보도 척척 부를 수 있고, 첨 들어보는 노래도 몇번 들어보면 악보로 옮길 수 있는 길이 있다. 사람이 되기 위해서 100일동안 햇빛을 못보고 동굴속에서 쑥과 마늘만으로 연명했다는 웅녀의 이야기도 있는데, 이 정도면 고생축에도 끼지 못한다.


5. 상대음감을 키우는 법

상대음감의 본질은 한마디로 발해서 <처음 듣는 노래의 계이름을 들을 수 있는 능력>인 것이다. 따라서 그 과정을 역으로 추적해 가면 상대음감을 얻을 수 있다. 자신이 부르기 좋아하는 노래를 100곡을 골라 리스트를 만들라. 찬미가, 복음성가, 중창곡, 합창곡 등등 아무 곡이라도 좋다. (단, 4부로 된 곡이 좋다)

하루에 한 곡씩을 정해서 그 노래의 멜로디를 계이름으로 외운다. 찬미가 <그 이름 비길데가 어디 있나>를 정했다면 솔 도레 미미미미 솔도 도시...하고 마르고 닳도록 외우는 것이다.


절대음감 (Absolute Pitch)

절대색감이 인구의 98%인데 비해 절대음감은 전인구의 0.01%.

절대음감을 가진 사람이 생겨나는 데 대한 4가지 이론
1. Heredity Theory
2. Learning Theory
3. Unlearning Theory : 이건, 모든 인간이 절대음감을 가지고 태어나는데, 대부분의 경우 적절하게 교육받지 못해서 음감이 퇴화한다는 이론.
4. Imprinting Theory : 임프린팅이란 갓태어난 오리가 첨 보는 걸 어미로 알고 따라다니듯, 생애 초반에 강렬하게 각인되고 죽을 때까지 유지하게 되는 능력내지는 특성. 그런 맥락에서 절대음감을 정의하는 이론.

*현재까지는 이 네가지 이론이 다들 틀린 데가 없다고 한다.

바하, 요요마, 마일스 데이비스, 잉베이 맘스틴, 스티비 원더가 절대음감의 소유자라고 한다. 반면에 베를리오즈, 라벨, 슈만,바그너는 절대 음감 없이 훌륭한 음악가가 되었다.  

출처 : http://www.genusopera.co.kr/
  
Comment '7'
  • 아하.. 2004.08.02 17:42 (*.148.26.148)
    전 피아노배울때 딱 듣고 무슨음인지 알았는데.. 요새는 조옮기는거... 듣고 헷갈려서... 상대음감인가봐요...근데.. 기본음 몇개 도, 미, 라.. 정도는 딱 대충 소리내면..조율기로 들어도 맞을때도있는데.....상대음감이겠죠? ㅋㅋ....... 절대색감이 인구의 98%...저는 특별한 2%랍니다.. ㅋㅋ
  • 2004.08.02 20:03 (*.80.9.19)
    요요마가 절대음감?
    그렇담 ..절대음감을 부러워할일이 아니네요...
  • 이것은 2004.08.04 12:08 (*.126.80.180)
    이 여자는 24 인치, 저 여자는 28 인치라고 허리 둘레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과 비슷한 이야기!
  • roilion 2004.08.05 00:28 (*.214.164.169)
    이것은 님 리플 넘 재밌어요 ㅋ
  • 고정석 2004.08.05 10:56 (*.92.51.101)
    본인이 절대음감을 가지고 있는지 없는지 아는 간단한 방법: 맥주 마실때 맥주잔으로 서로 건배하면서 술잔을
    쨍 하고 부디칠때 아 이소리는 A# 이구나 ,이소리는 G 음인데 약간 낮구나.... 등 이런 소리가 확실히 구별되면
    절대음감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해도 될겁니다.
  • 지나가다 2004.08.05 12:07 (*.227.108.18)
    또 한가지 더....
    기타 칠 때 분명히 조율이 정확함에도 불구하고 왠지 불편하게 느껴지면 절대음감에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됨...
  • 나도 지나다 2004.08.05 13:23 (*.67.201.75)
    너무 정확한 절대음감을 가지고 있으면 음악하는데 오히려 방해가 될수도 있지 않을까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규입점자 신년이벤트) 기타매니아 홈 메인광고 받습니다(배너제작 가능) 23년 1월 31일까지 file 뮤직토피아 2023.01.19 57446
공지 [공지] 파일 첨부기능에 문제가 있었습니다.. 개선완료.. 뮤직토피아-개발부 2021.02.17 70590
공지 "댓글" 작성시 주의부탁드립니다. 3 뮤직토피아 2020.03.09 86059
공지 "기타메니아" 문자/로고 사용에 관한 건 뮤직토피아 2020.02.14 77760
공지 [필독 공지] 연주회 소식을 메인에 노출을 했습니다. 2 뮤직토피아-개발부 2019.11.02 82473
12092 요즘은 왜 국내출판사에서 기타서적 안 나오죠? 8 무더위 2004.07.27 3015
12091 내가 생각하는 미래의 기타콩쿠르. 3 2004.07.27 3023
12090 일등에게도 꼴찌에게도 갈채를 보내지 않았다면?? 7 아이모레스 2004.07.27 2801
12089 악보게시판에 올린 Ka-re-n 악보 삭제 하겠습니다... 7 zio 2004.07.27 3125
12088 저작권 관련 질문이요. 2 음... 2004.07.28 2979
12087 슈베르트의 아르페지오네 소나타 1 새장속의친구 2004.07.28 2914
12086 질문~~~ ... 2004.07.29 3121
12085 기타줄 파는곳 가르쳐주세요. (동대문, 중랑) 1 이효근 2004.07.30 6710
12084 기타 크기여 2 지한수 2004.07.30 2818
12083 절대음감에 대한 질문 2 음... 2004.07.31 2987
12082 멋진 카포 6 coste 2004.07.31 2926
12081 file 2004.08.01 3100
12080 기타학원좀.. 4 리얼초보 2004.08.02 2994
» 절대음감과 상대음감 7 고정석 2004.08.02 4965
12078 ### 독일 바덴 뷔르템베르크 청소년 기타오케스트라 초청 연주회 ### 3 김모씨 2004.08.02 4271
12077 정말 오래 간만입니다. 2 peaceonu 2004.08.02 2802
12076 안녕하세요.. 기타수리에 관한 문의드립니다. 2 성롱 2004.08.02 2938
12075 Robert Ruck와 Daniel Friederich 라는 악기가 궁금합니다... 7 기타애호가 2004.08.03 3088
12074 로베르또 아우쎌 대관 확정~ 7 file 2004.08.04 2739
12073 이런 음악 들어보신 분... 1 에릭 2004.08.04 2938
12072 사초님이 번역한 "시대의 변화와 기타의 음색" 5 2004.08.04 3143
12071 [펌] 보아의 말들... 9 오모씨 2004.08.04 3019
12070 옥모군님 어떤기타맨님을 공개수배에 올려주셔요. 15 2004.08.05 3014
12069 "쇼팽" 연주하실분만 보셔요. 4 2004.08.05 3024
12068 9월5일(일) 오후3시/ 배장흠 클래식기타 콘서트 13 file (주)프로아트 2004.08.05 3588
12067 기타매니아에서의 가장 큰 오해......"프로와 아마추어의 구분". 9 2004.08.05 2911
12066 프로와 아마추어 = 꽃과 나비 29 차차 2004.08.05 3439
12065 트뢰스터. 독주회 질문이요 기무 2004.08.05 3207
12064 정말슬픕니다 이제 어떻게 해야할지 인생이먼지!!! 약한저를 잡아주세요! 8 기타서방바람났네 2004.08.05 2804
12063 누가 rick wakeman의 음반좀 소개시켜 주셔요. 6 지얼 2004.08.06 2773
Board Pagination ‹ Prev 1 ...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 573 Next ›
/ 57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