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한국어
(*.74.136.217) 조회 수 4108 댓글 23
* 순수음악과 실용음악.

  순수음악/실용음악, 이런 용어 자체가 잘못되었다는 게 아니라 용어의 사용이 잘못되었음을 말한 것인데 오해가 있나 봅니다.

  순수음악/실용음악, 이런 용어는 그 대상을 뜻하는 게 아니고 탐구 방법론의 차이를 말하는 것이겠지요.

  클래식/대중음악, 이런 용어는 탐구의 대상일 뿐, 그 방법론 적으로는 클래식, 대중음악을 불문하고 음악사라든지 악식을 분석한다든지, 화성적 성부의 배치와 화음의 진행을 연구한다든지, 장르를 분류하고 개별 악곡을 적용해 본다든지, 이러한 음악 이론적 기초를 쌓아가는 것을 순수음악이라 하며, 반면에 실용/응용 음악이라 하면, 순수음악의 성과인 이론적 기초를 응용하여 연주나 편곡, 작곡에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고 봐야겠지요. 실용음악이라 함은 응용음악을 뜻하는 것으로 봐야 합니다.

  문제는 일부 음악인들이 고의든 과실이든 탐구대상과 탐구방법을 혼동하여 순수/실용 음악이란 용어를 아전인수 격으로 해석해서는 클래식은 순수음악, 대중음악은 실용음악, 이런 식으로 사용한다는 데에 있습니다.

  만일 어떤 대학당국이 실용음악과를 대중음악과의 의미로 사용하였다면, 이는 어처구니  없는 무지의 소치로밖에는 볼 수 없지요. 차라리 ‘대중음악과’로 호칭해야 맞습니다. 만일 대학당국이 ‘대중음악’이란 단어에 어떤 비하의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고 생각하여 이를 기피하고 좀 고상한 ‘실용음악’이란 단어로 대체하였다면, 이는 더 기상천외의 발상일 것입니다.

  예를 들어 순수과학/응용과학이라 함은, 전자는 실용적 목적을 떠나서 순수하게 어떤 자연현상, 사회현상 등의 과학적 대상을 귀납적 또는 연역적으로 탐구해서 이론적 기초를 확립하는 것이고, 후자는 순수과학을 응용하여 어떤 실용적 목적에 사용하는 것을 뜻함은 상식적인 것입니다.

  모든 학문은 분업적/분석적 연구를 위해 잘게 쪼개지고 이는 과학으로 통칭되며, 또 이는 다시 종합되어 광의의 철학으로 통칭됨은 상식적인 것인데, 음악도 그 이론적 측면에서는 당연히 과학의 범주에 들어가는 것이므로, 따라서 순수/실용 음악이란 용어도 그대로 탐구 방법론적 구별일 뿐인 것입니다.

  gmland.


Comment '23'
  • 정천식 2003.12.20 19:58 (*.243.135.89)
    대학시절 미국의 작곡가인 MacDowell의 "To a Wild Rose"란 피아노 작품이 좋아 편곡을 해서 연주한 적이 있었습니다. 나운영 선생의 "현대화성론"이란 저서의 예제로
  • 정천식 2003.12.20 20:04 (*.243.135.89)
    나왔던 곡이었죠. 클래식기타와 스틸기타 그리고 하모니카의 편성으로 편곡을 했었죠. 워낙 작품이 좋아 형편없는 제 실력에도 불구하고 무척 인상적이었습니다. 편곡을 할 때 스틸기타의
  • 정천식 2003.12.20 20:08 (*.243.135.89)
    음색을 살리는 것이 이 곡이 가지고 있는 서정성을 나타내는 데 적합한 것으로 생각했거든요. gmland님의 의견에 공감합니다. 미적인 욕구를 표현할 때 어떤 도구를 사용하느냐
  • 정천식 2003.12.20 20:10 (*.243.135.89)
    하는 문제일 뿐 칼로 두부 자르듯이 하는 구분은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 황유진 2003.12.20 20:38 (*.249.128.110)
    님의 생각은 " 대중음악= not 실용음악 " 이라는 주장에는 적합할것 같지만.. 그 이상의 의미는 없는 것 같네요..
  • 황유진 2003.12.20 20:39 (*.249.128.110)
    바하의 '푸가의 기법'의 개념을 차용한 모든 음악은 실용음악인가요? 그렇담..순수음악/실용음악의 개념은 왜 필요할까요...
  • 황유진 2003.12.20 20:45 (*.249.128.110)
    물론 시대적 상황이나.. 필요에 따라서 얼마든지 자의적인 해석은 가능하겠지만.. 그렇게 단정적으로 결론낼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 정천식 2003.12.20 20:54 (*.243.135.89)
    순수음악 또는 대중음악이란 것이 과연 어떤 것인가 하고 음악대사전(신진출판사)을 찾아보니 그런 용어는 아예 있지도 않군요. 다시 말해서 구체적으로 어떤 음악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 정천식 2003.12.20 20:56 (*.243.135.89)
    관용적인 표현일 뿐입니다. 반면 실용음악은 나와 있군요. 버클리 음대에 실용음악과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gmland 2003.12.20 21:32 (*.74.30.185)
    황유진님, Jazz의 코드를 차용한 현대 클래식 음악은 실용음악입니까?
  • gmland 2003.12.20 21:33 (*.74.30.185)
    다 죽어버린 고전 클래식 음악인이 재즈/블루스를 차용할 수는 없겠지요.
  • gmland 2003.12.20 21:35 (*.74.30.185)
    고대 그리스 및 터어키 음계를 가져와서 평균율에 적용시켜 지금의 서양7음계를 만든 바하는 실용음악인이 되는 겁니까
  • gmland 2003.12.20 21:36 (*.74.30.185)
    순수과학과 응용과학의 개념은 왜 필요하지요? 황유진님.
  • 일루안와 2003.12.21 00:55 (*.223.172.155)
    그리고 음악쟝르를 명확히 나누는 것은 현대에 있어서는 무의미하고 실익도 없어 보입니다. 그리고 매냐 칭구분들 쟝르에 집착하지 않고 다양한 음악을 좋아하는것 같구요^^
  • gmland 2003.12.21 01:04 (*.167.226.206)
    장르를 명확히 나누는 것은 불가능하지요. 얽히고 설켜서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니...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의미하거나 실익이 없지는 않지요. 오히려 매우 중요하게 취급됩니다.
  • gmland 2003.12.21 01:05 (*.167.226.206)
    쓰임새를 일일이 열거하는 것은 불필요한 일인 것 같네요. 음악사 자체가 뭔데요. 어떻게 기술합니까...
  • gmland 2003.12.21 01:07 (*.167.226.206)
    많은 사람들이 음악사와 장르를 통해서 입문하고 음악의 이해에 큰 도움을 받기도 합니다. 물론 그냥 듣는 것으로 족한 사람도 많이 있지요.
  • 아스 2003.12.21 01:32 (*.147.35.180)
    용어를 가지고 장난을 치고 자괴감을 요리하려는 경향은 사실 믿거나말거니 우리보다 서양이 훨씬 더 합니다.
  • 아스 2003.12.21 01:44 (*.147.35.180)
    예를 들어 과학에서의 순수와 응용, 이론과 실험에서의 고민은 평생을 짊어지고 가는 멍에나 다름아닙니다.
  • 아스 2003.12.21 01:55 (*.147.35.180)
    빈사를 지나 아사지경에 있는 클래식음악을 하는 서양사람들에게 마지막 남은 자존심이 무엇이겠습니까?
  • 아스 2003.12.21 01:57 (*.147.35.180)
    음악뿐이 아니지요, 문학, 역사, 등 소위 교양분야에서 서양에서 마지막 남은 보루는 케케묵은 대학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 아스 2003.12.21 02:00 (*.147.35.180)
    그러기에 그들이 그나마 가지고 있는 용어의 자존심을 훔치려는 것은 **마저 벗어달라는....
  • 아스 2003.12.21 02:06 (*.147.35.180)
    그런 면에서 우리나라처럼 용어의 자존심이 굳건한 것이 훨~ 낫습니다. 빵을 못줄망정 말로나마 우롱당하지 않는 우리나라가 순수예술인들이 기를 펴고 살기에 훨 실용적..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규입점자 신년이벤트) 기타매니아 홈 메인광고 받습니다(배너제작 가능) 23년 1월 31일까지 file 뮤직토피아 2023.01.19 57497
공지 [공지] 파일 첨부기능에 문제가 있었습니다.. 개선완료.. 뮤직토피아-개발부 2021.02.17 70656
공지 "댓글" 작성시 주의부탁드립니다. 3 뮤직토피아 2020.03.09 86110
공지 "기타메니아" 문자/로고 사용에 관한 건 뮤직토피아 2020.02.14 77807
공지 [필독 공지] 연주회 소식을 메인에 노출을 했습니다. 2 뮤직토피아-개발부 2019.11.02 82527
9512 ☞ lessons from friends. 4 ByungJoon Moon 2001.08.01 4150
9511 꼬님께 1 빌라로보트 2006.05.19 4150
9510 2016 기타계 10대 사건 file 2016.12.31 4150
9509 아이유가 연주하던 기타 file 2020.09.20 4150
9508 스페인과 독일을 다녀와서.... ^^ 15 썰렁이 2001.09.06 4149
9507 www.classicguitar.co.kr 오픈했습니다. 2 웹마스터 2001.09.21 4149
9506 어제 모임 사진 모음... 17 오모씨 2004.03.02 4149
9505 2007년 기타제작워크숍...헤르만 하우저 에게 보낸편지. 7 2006.12.14 4149
9504 대전 기타페스티발에 온 집시재즈 기타리스트. 1 file 김중훈 2008.10.20 4149
9503 선택의 종류 2 file 2019.12.26 4149
9502 러닝 머신 뛸때 .. 지루하지 않게 하는 방법들좀 알려주셈 ㅠ.ㅠ 11 아따보이 2004.01.09 4148
9501 ** 9월 5일 (일) ** 서울대학교 클래식기타 전공 동문 연주회 16 file 디자인기타 2004.09.03 4148
9500 7/30 (7/29 전야음악회) 한국기타페스티벌을 보고,,,(조금 수정..) 4 세고비아 2006.08.02 4148
9499 [ 겨울이벤트 I ] 디자인기타와 함께하는 음악이야기 file 디자인기타 2006.12.01 4148
9498 (펌) 존 레넌 - 오노 요코 / 동아일보 김상수 기자 3 file 아이모레스 2007.03.24 4148
9497 재미 기타리스트 조국건 부친상 30 이성호 2007.06.22 4148
9496 깔라파떼의 밤 10시 30분... 6 file 아이모레스 2009.01.08 4148
9495 Magic flute 4 file cho kuk kon 2009.03.10 4148
9494 울산 카르카시 기타교실 홈피 오픈했습니다. 2 이정권 2002.07.15 4147
9493 angela waltner 기타제작 마스터 클래스 간단 후기♬~ 6 김중훈 2007.10.02 4147
9492 게시판을 쓰다보니... 7 서정실 2001.09.19 4146
9491 1975년 토론토 국제 기타 콩쿨... 2 신정하 2001.11.25 4146
9490 이번에 조곡투표올려주신분........권리행사에도 작업드러가셔요.... 1 2002.03.09 4146
9489 1등 못했어요 ㅠ.ㅠ 5 페르마진 2005.12.05 4146
9488 전북 기타문화원 합주단원 모집 7 전북기타문화원 2005.12.15 4146
9487 2009 JIGF 연주자 인사 올립니다 11 file 기타페스티발 2009.05.22 4146
9486 스틸스트링-악보게시판의 gmland 님 채보 악보를 첼로와 기타 2중주로 녹음해보니 ^^ 6 file 09 2003.08.17 4145
9485 from germany 10 2007.06.16 4145
9484 이렇게... 화음 2001.05.18 4143
9483 [re]MP3 미디어 플레이어 에서 아주 쉽게 만드는법 10 file citara 2003.12.09 4143
Board Pagination ‹ Prev 1 ...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 573 Next ›
/ 57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