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한국어
(*.79.177.179) 조회 수 3051 댓글 0
  * 파라과이 연주회를 보고.......

  연주회장을 들어서니, 이미 많은 청중이 들어차있었고, 마땅한 자리가 눈에 띠지 않던 중, 맨 앞줄만 비어 있음을 보았다. 정해진 자리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었고, 어떤 안내문도 보지 못한 터라, 파라과이 대사관 직원들만 서너 명 착석해 있던, 첫 줄의 무대 중앙에 털썩 앉았다.

  페리페 소사의 차례가 오고, 그의 연주가 시작되었을 때는, 클래식 기타 연주회장이 아니라, 스페인이나 남미의 어떤 라이브카페에 앉아 있는 착각이 왔다. 그의 연주는, 요즘의 클래식기타 흐름에 맞추어진 것이 아니고, 지금도 그 나라의 카페라면, 언제 어디서든 들을 수 있는 남미 주법 그대로였다.

  그의 연주는 한물 간 구시대적 연주가 아니고, 지금도 온 남미 국가에서 다 들을 수 있는, 그냥 그대로, 자기들 방식대로의 연주였다는 뜻이다.

  파라과이는 그렇게 강한 나라도 아니고, 잘 사는 나라도 아니다. 추측컨대, 아마, 베르타 로하스 등, 그의 제자들이 연주하고 음반을 만들 때는, 거꾸로, 클래식기타 연주의 국제적 흐름에 맞춘 듯 하다.

  따지고 보면, 기타의 원조는 스페인, 또 이를 가져가서 자기들 취향에 맞게 체화시킨 남미제국이다. 이들에게는 기타음악이 클래식, 고전이 아니다. 지금도, 누구나 연주하고 춤추는 대중음악, 민속음악일뿐이다.

  그들은 체질적으로, 어릴 때부터 기타음악에 익숙해 있고, 무곡을 중심으로 발달되었으므로, 리듬이 몸에 배어 있다. 다만, 일부 연주자들이 국제적 흐름에 맞추어 클래식이라는 고전을 연주할 뿐인 것이다. 이는 장르와 문화적 차이에 대한 문제인 것이지, 구식, 신식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 귀에는 세고비아가 집대성한 기타음악만 익숙해 있을 뿐인 것이다.

  나는, 순간적으로 그렇게 리마인드 하고는, 다시 감상에 몰두하였다. 소사의 연주는, 남미 전통적 주법 그대로, 화성적, 선율적 프레이징보다는, 리듬, 비트 위주의 탄현이었고, 손가락 끝에 힘이 들어가 있는 박력 있는 탄현에, 정확한 리듬을 타는 고급 연주였으며, 그의 나이와 걸맞지 않는 강한 힘이 돋보였다.

  트레몰로 연주 시, 반주로 무곡을 연주할 때처럼, 다른 현을 건드렸다 하기 보다는, 화음 내에 있는 음을, 오히려 리드미컬한 수직화음으로서, 소위, 복선 아포얀도 트레몰로 주법으로 처리하였다. 우리에게는 생소한지 몰라도, 내가 알기로는 몹시 어려운 주법이다. 다만, 전성기가 지난 것인지, 외국이라 컨디션 조절이 안 됐던 건지, 트레몰로가 좀 불규칙한 것이 흠이었다.

  앙콜 곡은 기능적으로는 어렵지 않은 소품이었지만, 스케이팅 왈츠의 완벽한 리듬을 타는 좋은 연주였던 것으로 본다. 말이 쉽지, 리듬을 탄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이다. 많은 클래식 기타주자들이 리듬에 둔감한 것을 감안한다면, 이런 부분은 배워야 할 점이 아닌가 하고 생각해 보았다.

  마지막 곡인 4중주 때는, 알레그로-아다지오-비바체 악장 중간의 박수소리가 오히려 귀에 거슬렸다.

  4중주는 소사의 작품으로서, 그는 컨닥을 겸했는데, 우리 연주자들의 연습기간이 짧았던 듯, 따라가기가 바빠서, 미처 컨닥을 볼 여유도 없는 것처럼 보였다. 사인이 안 맞아떨어지는 촌극도 벌어졌지만, 애교로 볼 수 있었다.

  열심히들 연주했지만, 역시 생소한 악곡에 대한 준비 부족인 듯, 음량조절도 음색조정도 안 되어 있고, 호흡도 잘 맞지 않았다는 느낌을 감추지 않는다. 그렇지만, 그런 잼 형식의 4중주는 참 멋있어 보였음도 부정할 수 없다.

  우리 고전을 나일론 스트링으로 연주하면서, 일렉의 초킹 주법을 쓴다던가, 장고와 같이 연주를 한다던가 하는 것은, 개척할만한 가치가 있는 것인가 하는 점은 별론으로 하더라도, 더 많은 연구과 준비를 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해 보았다.

  국악을 기타로 연주한다면, 가야금이나 거문고를 쓰는 것과는 달라야 한다고 본다. 편곡도 신경 써야 하고, 음색도 개발해야 할 것 같고, 단순히 기타가 가야금을 대체한다면, 차라리 국악기 그대로만 못하다는 생각을 해 보았다.

  그러나 이런 시도가 계속되고 있음에는 찬사를 보낸다.

  gmland.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규입점자 신년이벤트) 기타매니아 홈 메인광고 받습니다(배너제작 가능) 23년 1월 31일까지 file 뮤직토피아 2023.01.19 57437
공지 [공지] 파일 첨부기능에 문제가 있었습니다.. 개선완료.. 뮤직토피아-개발부 2021.02.17 70584
공지 "댓글" 작성시 주의부탁드립니다. 3 뮤직토피아 2020.03.09 86050
공지 "기타메니아" 문자/로고 사용에 관한 건 뮤직토피아 2020.02.14 77754
공지 [필독 공지] 연주회 소식을 메인에 노출을 했습니다. 2 뮤직토피아-개발부 2019.11.02 82467
16052 파리지엔 , 대화 file 콩쥐 2010.03.18 5077
16051 파리지엔 변보경 7 file 콩쥐 2010.03.22 6598
16050 파리의 지수임당님. 3 file 콩쥐 2010.03.18 5736
16049 파리의 이미솔,최지원 file 콩쥐 2006.04.06 4520
16048 파리의 김중훈님 3 file 콩쥐 2010.03.24 6495
16047 파리의 기타문화의 중심....기타레리아 1 file 콩쥐 2006.04.06 3667
16046 파리의 겨울을 이겨내신 콕토님의 방한. 8 file 콩쥐 2007.03.25 4274
16045 파리에서 우덜 안내해주신 므네모시네님 4 file 콩쥐 2006.04.06 4161
16044 파리에서 만난 바흐와 헨델 4 file ganesha 2011.09.06 7605
16043 파리에서 므네모시네님이 보낸 엽서. 3 file 콩쥐 2006.03.02 4118
16042 파리에 기타 관련 가볼만 한 곳 있나요? 6 왕초보 2007.09.06 4181
16041 파리시민 file 콩쥐 2007.04.09 3574
16040 파리시민 5 2007.06.21 5040
16039 파리서 구입한 엄청난 양의 스칼라티 악보들... 10 file 아이모레스 2008.07.23 4386
16038 파리무대에 오를때 입을 한복 2 file 쥐며느리 2010.01.23 6302
16037 파리기타페스티발 초청연주자 . 최희연 file 콩쥐 2010.01.31 6106
16036 파리기타페스티발 연주홀. 3 file 2009.10.12 5716
16035 파리 콘써바토리 기타교수 박혜순님 음반사진 4 file 콩쥐 2009.02.25 4810
16034 파리 여행 질문입니다~~ 2 으랏차차 2007.02.16 3137
16033 파리 기타레리아 연락처 5 ENIGMA 2011.06.27 17335
16032 파리 기타 페스티발 프로그램 file 콩쥐 2010.03.02 5712
16031 파리 기타 페스티발 공식 홈페이지 1 콩쥐 2010.02.22 5537
16030 파리 "sul tasto paris" 포스터 시안. 6 file 콩쥐 2010.02.02 4898
16029 파리 기타페스티발.....숙소 4 file 콩쥐 2010.03.18 5718
16028 파리 5 file 콩쥐 2010.01.13 4868
16027 파란에서 오늘의 추천사이트로 선정되었다고 제게 이메일이 왔습니다. 10 고정석 2004.10.01 3780
16026 파라과이의 여류 기타리스트 Berta Rojas Guitar Recital 한국무지카(송희영) 2001.09.17 6440
16025 파라과이의 Berta Rojas(Felipe Sosa의 제자), 96년 미 케네디 센터에서 연주(실황) 3 석태수 2003.06.23 4132
» 파라과이 친선 연주회를 보고 나서....... gmland 2003.06.23 3051
16023 파라과이 축구 경기를 보면서.. 5 파라과이 2010.06.30 5026
Board Pagination ‹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573 Next ›
/ 57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