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한국어
우선 전공에 대한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11현 기타"를 위한 전공은 세계 어느곳에도 없습니다.^^
11현 기타를 가르칠 교수가 없는데 어떻게 전공이 있을수 있겠어요?
그럼 11현 기타를 전공한게 아니잖아? 하시는 분이 있겠죠!!!

한국에선 선생이 하라는대로 하지 않으면
"넘버3"의 송강호 말처럼 "배신형!"이 돼죠.
계란이 노리끼리 해도 빨간색 하면 빨간색이라고 생각해야 되는 분위기라는걸
어느정도는 이해 하실수 있죠?
하지만 독일에선,
적어도 저의 선생님은 제가 하려는 공부를 도와주고 방향제시를 해 주려 한답니다.
이해가 되세요?
"6줄 기타로도 충분한데, 왜 11현이냐" 가 아니라
11현 기타를 위해서 어느어느 류트 연주자도 만나보고,
무슨 무슨 책도 읽어보고 하며 함께 연구 한거죠.
졸업후엔 홀로서기를 해야 하는데(음악하는 사람들은 이 문제에 있어서 결코 낭만적이지 못할 거예요),
자기 자신을 상품적 가치를 갖는 상품으로 만드는 과정이 공부하는 과정이라면 이해가 되실지?

독일의 졸업까지의 과정은 정말 혹독한 학습의 과정이랍니다.
제가 있는 에쎈음대의 경우,
두 학기마다 중간시험이 있고,
여기서 떨어지면(보통 재시험의 기회를 받기는 하지만) 학교를 더이상 다닐수 없답니다.
구내식당에서 자주 함께 식사 하고 얘기 나누던 동료가 어느 학기 부터인지 보이지 않기 시작하면
쉬쉬 하며 시험에 관련된 이야길 하죠.
학기 중에는 한국에서 대학을 졸업 했더라도 이론을 모두 듣고
시험에 통과 해야하고,
두개의 음악학을 이수 하고 하나의 음악학은 논문을 써 내야 합니다.
그 밖에 째즈 발레나 바로크 무용등의 과목을 골라서 들어야 돼고...  
생각보다 많은 어려움이 있지요.

졸업때는 서로 다른 프로그램으로 두 번의 독주회를 해야 합니다.
한 번은 비공개, 한번은 공개로.
하지만 두 시험 모두 어떻게 하나 보자는 학생들 때문에 모두 공개 시험이 되죠.
보통 비공개 시험 이후 1주나 2주 후에 공개 시험을 보게 되는데,
비공개 2주 전에 전혀 연주해 보지 않았던 곡을 받아서 선생의 랫슨을 받지 않고 혼자 연주해야 합니다.
보통 작곡된지 5년 이내의 동구권 현대곡등을 많이 받게 되는데,
스스로 해석하고 연주하는걸  2주동안 얼마나  이뤄내나 보는거죠.

시험 감독으로는 담당 지도교수는 채점에 임할수 없고,
여러 다른 악기의 교수들로 이뤄집니다.
그래서 졸업연주 전에 많은 이들이
"콘체르트엑사멘(박사과정 정도) 과정으로 넘어갈수 있겠습니까?
하고 교수님께 질문하면
연주때 최선을 다하고 최고의 컨디션을 유지하라, 나는 어떻게 할수 없다.
라는 대답을 보통 듣게 되죠.
시험 점수는 최고점인 1,0에서 5점까지(한국과 달리 점수가 적을수록 좋은 점수죠.
-만약 0점이 있다면 그건 최고 점수중에 점수겠죠? 0점!!!) 있는데,
5점을 받으면 재시험의 기회도 없는 낙제 점수로 전 아직 이 점수를 받은이를 본 적이 없어요.^^  
다시 1점에서 2점 그리고 3점 사이에는
1,0   1,1점  1,2점  1,3점   1,4점   1,5점   1,6점    1,7점 .......등의 점수로 나뉘게 되고요.
1,5점 이상의 점수를 받아야 콘체르트엑사멘 시험을 볼수 있는 자격을 얻게 되죠.  
제 졸업시험때는 바이올린교수, 하프교수, 지휘교수,비올라와 앙상블 교수
그리고 네덜란드에서 기타교수인 "갈렌"이란 분을 초청해 왔죠.

너무 길게 또 다른 시험 이야길 했죠?

저는 졸업 연주회에서 바하의 조곡인 BWV 995와
존 다울란드 등의 르네상스 곡은 11현 기타로 연주 했었답니다.
즉, 르네상스와 바로크는 11현 기타로 하고,
클래식과 낭만, 현대곡은 일반 기타를 사용했죠.
11현 기타로 바하의 곡을 연주하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연구를 했는지 몰라요.
때로는 한 부분에서 어떻게 할까 고민의 날을 보내기도 했고.
악보도 체로와 쳄발로를 위한 오리지날 을 구해서 비교하고.
결론적으로 제가 연주한 바하는 쳄발로 악보를 이용했어요.
류트 렛슨도 많이 받고...
물론 별것도 아닌부분에서 그걸 어떻게 연주 할까 하는건 보통 큰 문제가 아닐수 없죠.
더우기 기타교수가 아니 지휘교수나 바이올린 교수의 귀에 납득이 가게 하려면
그 문제는 작은 문제가 아닐꺼예요.

이제 제가 11현 기타를 함께 전공 했다는게 납득이 가시죠?

다음에,
11현 기타를 위한 줄이 하나박에서 나온다고 들었어요.
하지만 아직까지 사용해 본 적이 없고요,
저는 주로 일반 다다리오에
저음은 과거 "아람기타"의 "이은호" 사장님이 선물로 주신
베이스용 La Bella 6번을 아직까지 쓰고 있어요.
아직까지 단 한번도 저음이 끊어지지 않았거든요.^^

현재 에쎈음대의 강사이자 강사임용 이전부터 친구로 지냈던
"폴크방 기타듀오"(Folkwang Gitarren Duo)의 "폴커"(Volker Niehusmann)나
"카스텐"(Carsten Linck)의 경우도 11현 기타를 연주하는데,
그들의 경우는 저음을 아구스틴의 하드텐션을 이용한다는군요.
하나박의 11현용 줄은 음질이 마음에 들지 않느다는데,
전 뭐라고 말을 못하겠어요. 제가 사용해 본게 아니라서.

조율은 일반 기타와 달리
르네상스 류트나 이태리 바로크 류트(아첼루토)와 같이 합니다.  
이 조율은
1번줄부터
솔,
레,
라,
파,
도,
솔,
파,
미(혹은 레#),
레,
도(혹은 도#),
시(혹은 시 플렛) 으로 조율.
여기서 괄호안에 보여지는 조율은 조에 따라 약간씩 바꿔지는 경우랍니다.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음정이 일반 기타보다 단 3도 높죠.
저는 때에 따라 앙상블 연주에서 415 Hz에 조율하기도 하는데,
이는 제가 11현 기타로 바소콘티누오 연주를 겸하기에
바로크 바이올린이나, 리코더, 쳄발로 등과의 연주시에 많이 이용하는 피치입니다.
그럴경우 대략 일반 기타와는 장3도의 음정 차이가 나죠.

레파토리는 순수 11현 기타만을 위한 곡은 아직 본 적이 없어요.
때문에 작곡가나 작곡 공부를 하는 분만 만나면 11현 기타를 소개하고 곡 의뢰를 하는데,
아직까지 별다른 성과는 없는 실정입니다.

악보 문제는 이조 악보를 보는것과
아예 연주시 11현 기타의 음계 대로 연주를 하는것의 두 가지 방법이 있어요.
이조 악보는 조율만 달리하고 일반 기타를 연주하듯 운지를 잡는것을 말하는데,
절대음감을 갖고 있는 사람에겐 혼돈이 오겠죠.
저는 이 두 방법을 모두 이용하는데, 처음에는 이조 악보를 연주 했으나,
차차 오리지널 타블라춰와 있는 그대로의 "솔레라파도솔"의 연주를 따로 하게 되었어요.
왜냐하면 콘티누오 연주를 위해선 11현 기타의 음계를 익히는건 당연한거였거든요.

저는 11현 기타를 기타의 한 범주에 머물게 하기보다는
류트의 연주까지 확장해서 생각할수 있으면 하는 바램을 갖고 있어요.
일반 기타와 류트의 중간이라고 생각이 돼는데...
그리고 이 악기,
하면 할수록 재미 있어요.
더욱 많은 분이 연주 했으면 좋겠어요.^^


참, 연주시 두개의 기타를 바꿔가면서 연주하면 손이 어색하거나 하지 않냐는 질문을 많이 받아요.
기타 연주는 그만큼 예민하고 섬세한거니까 누구나 그런 부분에 걱정을 갖고 있죠?
저의 경우 바로크 까지의 곡은 11현,
클래식 이후의 곡은 6줄 기타가 편하기에
연주시 아무런 지장이 없죠.
만약 제가 저의 6줄 기타를 연주하다 다른 6줄 기타를 연주하면 낮설고 애를 먹겠죠. ^^

또 다른 궁금한게 있으시면 두 달 전에 문을 연 다음의 카페에 초대 합니다.
보잘것 없지만 한번 들러주세요. ^^

주소는 http://cafe.daum.net/altemusik

카페에서 차 한잔 대접 합죠. ^^


(진철호님의 글을 외국생활에 관심있는 칭구들을위해 퍼왔습니다)
* 쎄쎄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2-08-08 15:5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규입점자 신년이벤트) 기타매니아 홈 메인광고 받습니다(배너제작 가능) 23년 1월 31일까지 file 뮤직토피아 2023.01.19 57908
공지 [공지] 파일 첨부기능에 문제가 있었습니다.. 개선완료.. 뮤직토피아-개발부 2021.02.17 71032
공지 "댓글" 작성시 주의부탁드립니다. 3 뮤직토피아 2020.03.09 86512
공지 "기타메니아" 문자/로고 사용에 관한 건 뮤직토피아 2020.02.14 78243
공지 [필독 공지] 연주회 소식을 메인에 노출을 했습니다. 2 뮤직토피아-개발부 2019.11.02 82917
12147 요즘 알리시아 키즈 를 많이 듣나보군요. 2017.05.02 3256
12146 요즘 실용오디오 싸이트... 2 audio 2008.01.15 4789
12145 요즘 신기한 신상품. 18 11 2010.10.21 7832
12144 요즘 습도는요? 2 늦깍이 2008.06.14 3672
12143 요즘 스펨글들이 극성이네요 3 나무 2011.03.17 6681
12142 요즘 비 너무 오는거 아닌가요? 1 요즘 2010.09.06 5133
12141 요즘 벼룩시장을 보면서....... 2 명노창 2003.11.21 2963
12140 요즘 뭐 칠만한 곡 업을가여? 5 모모 2006.06.26 3441
12139 요즘 무슨음악 들으세요? 16 야맛있다. 2003.12.18 2847
12138 요즘 매니아가 힘든건 라라언니가 안보여서가 아닐까? 3 2003.05.09 3450
12137 요즘 러시아어로 바쁘실 이성관님. 1 file 콩쥐 2008.06.23 6958
12136 요즘 뜨는 뮤직비됴....니팔자야 3 콩쥐 2015.03.17 8670
12135 요즘 독주회가 뜸하네요 4 듣기만30년 2012.04.08 10120
» 요즘 독일에서의 유학생활........진철호님의 글을 퍼왔습니다. 2002.03.10 3585
12133 요즘 더워서 어떻게 기타치나요? 5 금모래 2010.07.19 5664
12132 요즘 대학생들이 좋아하는 기타리스트는 누구인지 궁금하네요. 6 레몬트리 2016.03.21 6344
12131 요즘 날씨 기타 관리 2 심통 2018.05.09 2835
12130 요즘 나오는 빠코 마린은... 3 ^^ 2008.02.05 3872
12129 요즘 나도는 지도라네요. 10 file 토토 2004.08.16 3412
12128 요즘 나는 다람쥐, 거미, 뱀, 새앙쥐와의 긴장관계. 9 2002.09.28 3119
12127 요즘 꼬님 홈피 운영안하나요? 홈피 없어진거 같은데 ㅠㅠ 1 꼬꼬팬 2006.04.11 4156
12126 요즘 기타학원들 잘되죠? 65 오모씨 2009.01.24 8581
12125 요즘 기타 음색들이 다 똑같다네요. 1 크.. 2015.06.24 4975
12124 요즘 근황 2 loveromero 2002.01.23 4225
12123 요즘 게시판을 둘러보다가... 30 삐약이 2005.12.16 4443
12122 요즘 가요들 엄청진보한거 같은데 , 기타는? 18 2004.07.14 2843
12121 요즘 cad로 디자인 하고 있는 기타... 1 file 밀롱가. 2008.05.31 3621
12120 요즘 통 안보이셔서... 1 file 2011.08.27 6490
12119 요즘 탄현공부하는분들... 2021.02.04 3519
12118 요즘 콩쿨 우승자 Highlights of London International Guitar Competition 2019 2020.05.20 5109
Board Pagination ‹ Prev 1 ...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 572 Next ›
/ 57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