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한국어
(*.254.66.243) 조회 수 3407 댓글 27
독일인이 평한 한국

이 이야기는 어느 독일인이 자신의 개인 홈페이지에 올린 글인데, 일본인을
원숭이라고 표현했다는 문제로 일본 유학생 중 한명이 일본의 어느 게시판에 올렸답니다.
그 후 그 독일인의 사이트는 해킹당하고 작성자의 개인 정보가 유출당해 일본의 우익들로부터 테러에 가까운 협박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러자 한국인 유학생도 그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결국 한국어로 그 사이트의 문제가 된 글을 번역해서 올린 것입니다.
===========================================================
<이하 어느 독일인의 글입니다.>

당신은 감동적인 이야기를 좋아하는가.

이 이야기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지도를 펴기 바란다.
아마 당신이 알고 있을 중국과 일본 사이에 한반도가 있고 그곳에 한국이라는 나라가 보일 것이다.

이야기는 이 조그만 나라의 어느 마라토너가 중심에 있다.
이 나라는 지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중국과 일본이라는 두 무력에 의존하는 나라 사이에서 놀랍게도 2000년간 한번도 자주성을 잃어본 적이 없는 기적에 가까운 나라이다.

그리고 이럴 경우 이 한국인들은 나라 대신에 '민족'이라는 표현을 쓰기를 좋아한다.
어느 여름날 우연히 본 한장의 사진 때문에 나는 이 나라, 아니 이 민족의 굉장한 이야기에 빠져들고 말았다.

1936년 히틀러 통치 시절, 베를린에서 올림픽이 열렸고 그때 두 일본인이 1위와 3위를 차지하였다. 2위는 독일인이었다.

헌데 시상대에 올라간 이 두 일본인 승리자들의 표정...
이것은 인간이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슬픈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이 불가사의한 사진....
무엇이 이 두 승리자들을 이런 슬픈 모습으로 시상대에 서게 했는가...
과거도, 그리고 현재도 가장 인간적인 유교라는 종교가 지배하는 이 나라 아니 이 민족은 이웃한 일본인(죽음을 찬미하고 성에 탐닉하는)에 대해 '영리한 원숭이'에 불과하다는 가치관을 가지고 있으며

불행하게도 이 인간적인 품위를 중시하는 자부심 강한 민족이 이 원숭이들에게 '강간' 이라고 표현할 수밖에 없는 침략, 즉
식민지로 떨어지고 말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당시 대부분의 불행한 식민지의 청년들은 깊은 고뇌와 번민에 개인의 이상을 희생하고 말았고, '손' 과 '남' 이라고 하는 두 청년들 역시 예외일 수는 없었다.

이 두 청년들은 달림으로써 아마도 자신들의 울분을 표출해야만 했는지도 모른다.
이 두 청년들은 많은 일본인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마침내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달렸을 것이다.
달리는 내내 이 두 청년들은 무엇을 생각했을까...

그들은 승리했고 시상대에 오를 수 있었지만 그들의 가슴에는 조국 한국의 태극기
(이 국기는 대부분의 나라의 그것이 혁명이라든가 투쟁이라든가 승리 또는 위대한 황제의 문양인데 비해 우주와 인간과 세상 모든 것의 질서와 조화를 의미한다)

대신에 핏빛 동그라미의 일장기가 있었고, 스탠드에 역시 이 핏빛 일장기가 올라가고 있었다.

이때 이 두 청년의 표정이란....
그들은 깊게 고개를 숙인 채 .... 한없이 부끄럽고 슬픈 얼굴을 어느 누구에게도 보이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이 뉴스를 전한 일본 검열하의 한국 신문 eastasia(동아일보를 지칭하는 듯)는 이 사진 속의 일장기를 지워버리고 만다.

이 유니크한 저항의 방법,,, 과연 높은 정신적인 종교 유교의 민족답지 않은가.
그런데 일본 정부는 이 신문사를 폐간시키고 만다.
이 우습고도 단순하면서 무지하기까지 한 탄압의 방법이란...

이야기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마침내 이 민족은 해방되고 강요당한 이데올로기에 의해 무서운 또 한 번의 전쟁을 치른 후, 한강의 기적 (한국인들은 지구상에서 일본인들을 게을러 보이게 하는 유일한 민족이다) 을 통해

스페인보다도 포르투갈보다도 더 강력한 경제적 부를 이루고 만다.

그리고는 1988년 수도 서울에서 올림픽을 개최하는데 이른다.
불과 50년... 태극기조차 가슴에 달 수 없었던 이 나라 아니 이 민족이 올림픽을 개최하고 만 것이다.

그리고 개막식, 성화를 들고 경기장에 들어선 작고 여린 소녀 마라토너로부터 성화를 이어받은 사람은 그날 너무나도 슬프고 부끄러웠던 승리자, "손" (손기정)이었다.

노인이 되어버린 이 슬픈 마라토너는 성화를 손에 든 채 마치 세 살 먹은 어린애와 같이 훨훨 나는 것처럼 즐거워하지 않는가!!

어느 연출가가 지시하지도 않았지만 역사란 이처럼 멋지고도 통쾌한 장면을 보여줄 수 있나 보다.

이 때 한국인 모두가 이 노인에게, 아니 어쩌면 한국인 개개인이 서로에게 얘기할 수 없었던 빚을 갚을 수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극적이게도 서울올림픽 도중에 일본 선수단은 슬픈 소식을 들어야만 했다.
쓰러져 죽음을 기다리는 히로히토 일왕의 소식....

한국인들의 종교 유교는 인간, 심지어는 죽은 조상에게까지 예를 나타내는 종교이다.
이 종교의 보이지 않는 신이 인류 역사상 (예수나 석가도 해내지 못한) 기적을 일으킨 것이다.

나는 이 이야기가 여기서 끝이기를 바랬다.
이처럼 굉장한 이야기가 이대로 보존되기를 바랬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국인들은 (이해할 수 없는 집념과 끈기, 그리고 폭력과 같은 단순함이 아닌) 놀라운 정신력으로 그들이 50년 전 잃어버렸던 금메달을 되찾고 만 것이다.

서울 올림픽이 끝나고 4년 후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라톤에서 '황'이라고 하는 '손' 노인과 너무나 흡사한 외모의 젊은 마라토너가 몬주익 언덕에서 일본과 독일의

선수들을 따돌리고, 마침내 더 이상 슬프지 않은, 축제의 월계관을 따내고 만 것이다.

경기장에 태극기가 올라가자 이 '황' 은 기쁨의 눈물과 함께 왼쪽 가슴에 달린 태극기에 경의를 표한다.

그리고는 스탠드로 달려가 비극의 마라토너 '손' 에게 자신의 금메달을 선사하곤 깊은 예의로서 존경을 표한다...

'황' 을 가슴에 포옹한 '손' 은 말이 없다.

나는 이 이야기를 접하고는 인간에 대한 신뢰에 한없이 자랑스러움을 숨길 수 없었다.

인간이란, 이 한국인 아니 이 한국 민족처럼 폭력과 거짓과 다툼이 아니라 천천히 그러나 불굴의 의지로서 자신들의 고통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그것이 비극적인 눈물로 시작된 역사일지라도 환희와 고귀한 기쁨의 눈물로 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역사상 어느 민족도 보여주지 못했던 인간과 국가와 민족의 존엄을 이 한국인 아니 한국 민족이 보여주지 않는가.

도서관에 달려가라, 그리고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시상대에 선 두 한국인의 사진을 찾아라...

당신은 그 순간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인간이 될 것이다.
Comment '27'
  • capricho 2002.05.03 22:53 (*.63.151.112)
    너무 감동적이에여 ㅠㅠ
  • 김동선 2002.05.03 23:49 (*.180.99.50)
    myrain님 너무 감동적이에요 ㅠㅠ
  • J.S.B 2002.05.04 00:12 (*.49.135.44)
    이거 그플래쉬랑같이보면더감동적인데...
  • 간절한 2002.05.04 06:30 (*.51.21.18)
    눈물 날만큼 감동...그리고 또 감동...분단의 현실과 창피함을 뒤로 숨기고 감동할세...감동.
  • 간절한 2002.05.04 06:31 (*.51.21.18)
    분단...한반도 배달민족의 치명적 약점...그리고 현실...숨기고 싶지만 숨길 수 없는...
  • 2002.05.04 07:41 (*.62.26.25)
    우리가 통일하면 일본 중국도 따라올수없는 문화강국이 될겁니다..확신.
  • 2002.05.04 07:42 (*.62.26.25)
    주변강대국은 하나같이 통일을 원치 않아요.
  • 2002.05.04 07:42 (*.62.26.25)
    통일하면 너무 강대한 문화대국이 탄생하는꼴이니가요...
  • 2002.05.04 07:43 (*.62.26.25)
    우리나라가 남방문화(설)와 북방문화(단오)가 교차하는 곳이라는 거 아시죠?
  • 2002.05.04 07:44 (*.62.26.25)
    두 문화를 분리하면 다양성이 사라져서 단조로운 문화만 남죠.
  • 2002.05.04 07:44 (*.62.26.25)
    분단된조국에선 단조로운 예술가만 자라나죠...
  • 2002.05.04 07:45 (*.62.26.25)
    이나라를 떠나 외국가야 겨우 유명한 예술가로 성장하기도 하고요...
  • 2002.05.04 07:46 (*.62.26.25)
    통일을 이루고 나서 나머지문제를 풀어가는게 가장 올바른방법입니다.
  • 2002.05.04 07:47 (*.62.26.25)
    통일은 두개를 섞는다 합한다라는 의미랑은 다른겁니다. 새로태어나는거죠.
  • 2002.05.04 07:47 (*.62.26.25)
    우리나라안에서도 통일을 원치않은 그런분들이 있다는말에 입을 다물수가 없어요.
  • 2002.05.04 07:48 (*.62.26.25)
    그분들의 명단을 올리게요.아래에요.
  • 2002.05.04 07:49 (*.62.26.25)
    잘못도 상황에서 안정을 찾고있는 기득권자(정치세력가)
  • 2002.05.04 07:50 (*.62.26.25)
    잘못된상황에서 형편없는교육받은 가엾은 시민.
  • 2002.05.04 07:51 (*.62.26.25)
    통일되면 자기빵이 하나라도 줄어들까 걱정하는 소심한 마음을 지닌분.
  • 2002.05.04 07:52 (*.62.26.25)
    미래는 존재하지도 않는듯이 현실에 목숨거는 깝깝한실존인물들.
  • 2002.05.04 07:53 (*.62.26.25)
    클래식기타도 통일이후라야 가능하답니다. 악보에 예술이 있는게 아니니가요.
  • 2002.05.04 07:54 (*.62.26.25)
    아...나도 아침부터 왜 이리 부르르떨며 이러지? 막 나서서 죄송 칭구분들...
  • 2002.05.04 10:12 (*.62.26.206)
    참..위에 설과 단오가 아니고 추석과 단오입니다.
  • 솔개 2002.05.04 11:47 (*.105.97.210)
    마자요...수님의 말씀에 공감합니다.우리 민족이...언젠가는 깨어날 날이 올 것이라 확신합니다. 그날을 위해..우리 모두 정진합시다...^^
  • 서정실 2002.05.04 12:21 (*.178.7.22)
    수.. 수님... 그냥.. 답글 하나 쓰..시지.. 그러셨어요.. ^^;;;;;
  • 어야둥 2002.05.05 00:15 (*.107.87.228)
    아! 14분 동안 쓰셨군요...
  • 호왈 2002.05.09 21:08 (*.152.211.48)
    플래쉬는..어디에있죠??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규입점자 신년이벤트) 기타매니아 홈 메인광고 받습니다(배너제작 가능) 23년 1월 31일까지 file 뮤직토피아 2023.01.19 57984
공지 [공지] 파일 첨부기능에 문제가 있었습니다.. 개선완료.. 뮤직토피아-개발부 2021.02.17 71112
공지 "댓글" 작성시 주의부탁드립니다. 3 뮤직토피아 2020.03.09 86609
공지 "기타메니아" 문자/로고 사용에 관한 건 뮤직토피아 2020.02.14 78333
공지 [필독 공지] 연주회 소식을 메인에 노출을 했습니다. 2 뮤직토피아-개발부 2019.11.02 82996
12147 컴퓨터마이크로 연주녹음할수있는 프로그램 있나요?????? 5 기타연주하고파 2004.04.30 3416
12146 송년모임.. 5 inglxor 2005.12.28 3416
12145 제2회 테라스콘서트에 초대합니다.... 1 file 배모씨 2006.05.26 3416
12144 손톱에 관한 제겐 아주 중요한 질문 드립니다.. 2 마루나래 2007.02.18 3416
12143 로렌조미켈리와 광주합주단4중주팀 file ^^canon 2008.04.24 3416
12142 내일부터 대전에서... file 공간지기 2008.10.09 3416
12141 어느 것이 제일 어려울까?? 14 제이제이 2002.01.04 3417
12140 따바하라스 음반좀 사주셔요. 3 2002.08.12 3417
12139 클래식 기타 추천좀 해주세요 ^^; 1 인용현 2004.03.03 3417
12138 바루에코 공연 아주 짧은 소감... 17 jazzman 2004.11.06 3417
12137 한국기타협회 이 표 선생님 상................. 11 용접맨 2005.01.18 3417
12136 1000식님에게 개인레슨받다. 1 2005.01.25 3417
12135 2006 전주세계소리축제 file 소리축제 2006.08.09 3417
12134 [re] 딱걸린 지판보는 안데스사진... file 콩쥐 2006.11.01 3417
12133 [re] pianoforte 에 관해 1 file gmland 2009.03.11 3417
12132 이 기타 이름은 무엇인가요? 3 file 가을하늘 2017.08.01 3417
12131 [re] 150만원짜리 현상퀴즈!!!!!!!!...13번 답. 1 2002.01.03 3418
12130 재즈맨님 고정석님 상담요청 부탁드립니다 5 한민이 2005.08.10 3418
12129 기타씨디 사고싶으신 분들............... 4 오상훈 2006.06.03 3418
12128 기타강사.. 황민웅 2006.09.09 3418
12127 기타산지 5일만에.. 5 Rn 2007.04.26 3418
12126 [re] 바이스를 위해 탄생한 13현 아치기타 6 file 산골스트링즈 2007.05.01 3418
12125 코지모님의 선물 9 file 콩쥐 2008.12.12 3418
12124 ☞ 음반 도서실 말인데요.. 으랏차차 2001.06.19 3419
12123 새로 기타줄을 갈았는데 조율이 안돼요.. ㅠ_ㅠ 2 blue_moon 2005.07.05 3419
12122 기타를 위한 작곡 file 2008.08.19 3419
12121 강원도 원통, 인제지역에서 좋은 선생님 소개 부탁드려요.. 최성복 2002.08.26 3420
12120 기타 그림 2 file 건달 2003.07.26 3420
12119 혹시 도와주실 분...^^ 4 chobo 2003.12.15 3420
12118 공지 - 장대건 마스터 클래스 10월 22일 토요일 (변동사항) 1 file sntana97 2005.10.20 3420
Board Pagination ‹ Prev 1 ...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 572 Next ›
/ 57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