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35.249.30) 조회 수 15247 댓글 9
하이텐션 줄을 걸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같은 제조사의 같은 grade 제품,
즉, 똑같은 재질의 제품인데 대부분 다시 하이텐션, 로우텐션 등으로 나뉩니다.
하이텐션 줄이란 물론 줄을 굵게 만든 것입니다.
같은 재질인데 줄이 굵으면 낮은 소리가 나므로
줄감개를 더 돌려서 더욱 팽팽하게 당겨야 하므로 하이텐션이 되는 것이지요.

요약하면,
당연히 음정은 똑같아야 합니다.
그래서 로우텐션 줄은 가늘고 텐션이 적게 걸립니다.
반대로 하이텐션 줄은 굵고 텐션이 많이 걸리지요.

이제 탄현해 봅시다.

탄현이라는 것은 기타의 줄에 에너지를 가하는 것입니다.
그 에너지는 당연히 기타줄이 떨리는 진폭에 비례하지요.
기타줄을 많이 당겼다가 놓을수록 진폭이 커지고 에너지가 커지고 따라서 음량도 커집니다.

하이텐션 줄이라고 해서 무지막지하게 굵고 텐션이 무지막지하게 강한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같은 탄현동작으로 얻게 되는 진폭은 하이텐션줄이나 로우텐션줄이나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결국 두 줄의 진동수도 같고(같은 음정), 진폭도 같다고 볼 수 있지요.
그런데 에너지는 하이텐션 줄이 높습니다. 질량이 크니깐 그렇지요.
비록 같은 속도로 떨지만 질량이 커서 기타 앞판에 충격량을 더 많이 가합니다.
결국 공기 분자들이 떨리는 진폭이 커지고 우리 귀에 더 큰 소리로 들리게 되는 것입니다.

같은 탄현동작으로 거의 같은 진폭을 얻을 수 있다고 했지만 힘은 당연히 하이텐션 쪽이 더 많이 들어가지요.
에너지를 많이 주어야 하기 때문에 당연합니다.

그래서 손 힘이 좋은 사람들은 아무렇지도 않게 자연스럽게 하이텐션 줄을 퉁깁니다.
손 힘이 약한 초등학생들은 아무래도 조금은 무리겠지요.
텐션이 강하면 왼손 운지하는데도 힘이 더 들어가는 사실은 너무도 당연하므로 패스.

--------
요약.
하이텐션 줄을 사용하더라도 줄이 떨리는 속도는 같습니다.
더 팽팽히 걸려 있으므로 빠르게 진동할 것이라는 생각은 착각. (그러면 음정이 달라집니다)

같은 탄현동작으로 만들 수 있는 줄떨림의 진폭은 거의 같은 수준입니다.
단 하이텐션 줄의 경우 손가락에 힘은 더 들어갑니다.    

같은 속도, 같은 진폭이지만 하이텐션 줄은 질량이 커서 공기분자에게 더 큰 충격량을 가합니다.
결국 하이텐션 줄을 사용하면 음량이 커집니다.
(음색이나, 음의 지속성 등에 관한 문제는 또 다른 많은 팩터들이 작용하므로 역시 패스)


-----------
여담...

스틸현을 사용하는 포크기타의 텐션이 강한 이유.
포크기타의 표준 현장이 오히려 짧다고 들었습니다. 클래식 기타보다 10mm 정도.
같은 재질의 줄을 걸면 현장이 짧은 기타에 오히려 텐션이 덜 걸립니다. 그런데 왜 텐션이 강하지요?

스틸은 나일론에 비해 매우 무겁습니다.
그래서 줄이 매우 가늘어져야만 같은 텐션에서 같은 음정을 내게 되지요.
그런데 줄이 너무 가늘면 탄현하기 불편해 집니다. 최소한의 굵기는 필요합니다.
그래서 스틸현은 예상보다는 굵어야 하고, 따라서 그만큼 텐션을 강하게 걸어주어야만 하지요.

클래식기타에 스틸현 걸면 위험하다고 합니다.
같은 음정을 내기 위해 장력을 더 많이 걸어야 하고 기타에 무리가 가기 때문입니다.  

요약.
줄의 음정은 재질과는 관련이 없고 오직 줄의 선밀도에만 관계합니다. (선밀도 = 단위 길이당 질량)
(음색이 아니라 음정입니다!!)
    
* 수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0-02-21 05:56)
Comment '9'
  • 콩쥐 2010.02.20 10:26 (*.161.14.21)
    음정이 프렛의 간격 그러니까 길이(거리)와 상관있는줄만 알았더니,
    진동수, 진폭하고 관련이 있는가보군요.....

    오른손으로 강하게 탄현해도
    진동수나 진폭은 변함없고 에너지만 더 커지는건가요?
    그래서 음정은 같고 음량만 커지는건가요?
  • 쏠레아 2010.02.20 10:33 (*.35.249.30)
    음정은 진폭과는 관련이 없구요, 오직 진동수만 음정에 관계합니다.
    길이가 어떻든, 크기가 어떻든, 무게가 어떻든
    어떤 물체가 떨리는 진동수만 같으면 같은 음정입니다.
    음색과 음량은 물론 다 다르지요.

    그리고 음량은 진폭과 물제의 질량과 관계합니다.
    같은 줄이라면 진폭을 크게 줄수록 음량이 커지고, (강하게 탄현함을 의미합니다)

    같은 진폭이라도 줄이 무겁다면 역시 음량이 커집니다.
    (이 경우 줄이 무거우면 텐션이 강하게 걸려 있어야 같은 음정 또는 진동수가 유지됩니다)
  • 콩쥐 2010.02.20 10:36 (*.161.14.21)
    아 ... 진폭이 아니라 진동수와 관련있군요.
    오늘 좋은거 또 하나 배웠네요....

    기타현 자체를 음량이 커지도록
    처음부터 의도해서 제작할수도 있다는 거군요......

    우리나라에서도 기타현을 집에서들 직접 제조했으면 좋겟어요....
    귀가 그토록 좋은 민족인데 왜 기타현 하나 만들지 않는지....
  • 쏠레아 2010.02.20 10:54 (*.35.249.30)
    네, 그렇습니다.

    기타줄을 무겁게 만들면 됩니다.
    무겁게 만들려면 굵게 만드는 방법과 무거운 재료를 쓰는 방법 두가지가 있지요.
    그 중에 굵게 만드는 것이 바로 하이텐션 줄이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나일론 재료 속에 무거운 쇳가루를 섞거나
    철심을 넣거나 하면 굵기는 같지만 더욱 무겁게 만들 수 있겠지요.
    그러면 음량이 커집니다.
    단! 같은 음정을 내기 위해 텐션을 더 강하게 주어야 하니까 기타 자체도 더욱 튼튼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탄현할 때 힘이 더 들어가는 것은 당연하구요.
    똑같은 힘 또는 에너지를 주면서 소리만 더 커지길 바라면 얌체겠지요?

    그렇다면... 어차피 힘이 더 들어가니깐 가벼운 줄이라도 그만큼 세게 튕기면
    소리 커지지 않느냐라는 질문 나올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가벼운 줄 세게 튕겨서 진폭이 너무 커지면 소리 엉망됩니다. ^^ 버징도 일어나고.

    음색이나 음의 지속성 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줄을 무겁게 만들기는 그리 쉽지는 않습니다만
    그렇다고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그렇게 무거운 줄을 개발하고, 기타 자체도 튼튼하게 만들면
    기타가 가지고 있는 약점, 즉 소리가 작다는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 그레고리오 2010.02.20 11:20 (*.214.70.197)
    쏠레아님 말씀 100% 동의합니다.
    과학적 개념이 확실하시군요.
  • 강나루 2010.03.24 16:07 (*.128.67.32)
    용어 정리가 필요하내요..
    음악 기초이론에 보면요...

    음정과 음높이는 다른 것으로 설명되어 있내요..

    음정은 화성학적 개념으로서 두 음사이의 차이를 말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heights of two sounds)

    음높이는 pitch라고 하지요...
    -------------
    다 알고 있지만, 저도 습관적으로 음높이(pitch)라고 해야 할 것을 음정이라고 하내요...
  • 쏠레아 2010.03.24 16:21 (*.255.17.118)
    시각(음고)과 시간(음정)의 차이로군요.
    맞습니다. 음정은 상대적 개념입니다.
    독주나 독창의 경우는 음정만 맞으면 음악이 되지만,
    반주가 따르거나 다른 악기와 협연할 경우에는 상대적 음정과 절대적 음고가 모두 맞아야 하겠지요.
  • Skyler 2010.08.16 13:53 (*.23.238.82)
    F = ma
  • 송선비 2011.02.05 22:22 (*.160.40.174)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하이텐션 걸면 왼손가락이 좀 더 아퍼서 왜그런가 했었는데 이유가 있군요...
?

  1. 연주자의 악기

    Date2024.05.24 By Views248
    Read More
  2. 루시어스 메컨타일이 문 닫았네요

    Date2024.05.24 By Views202
    Read More
  3. 기내반입이 자유로운여행용기타

    Date2024.05.15 By Views242
    Read More
  4. 사소한 줄 묶을때 신경쓸것들

    Date2024.05.12 By Views264
    Read More
  5. 칠하기전과 칠한후 기타소리변화

    Date2024.05.06 By Views377
    Read More
  6. 12홀 브리지

    Date2024.05.06 By Views384
    Read More
  7. 1만년 가는 악기.... 고금

    Date2024.05.06 By Views393
    Read More
  8. 350년된 스트라디바리우스

    Date2024.04.14 By Views567
    Read More
  9. 30년 건조된 이탈리안 스프르스

    Date2024.04.14 By Views530
    Read More
  10. 쉘락채취하는 과정

    Date2024.04.11 By Views560
    Read More
  11. 서울 ,,,자작기타제작 영상

    Date2024.04.11 By Views545
    Read More
  12. 안녕하세요 기타 장력 관해 질문드립니다.

    Date2024.04.09 By아이어유 Views570
    Read More
  13. 오른손연습용 기타

    Date2024.02.21 By Views698
    Read More
  14. 남미 로즈우드

    Date2024.02.11 By Views912
    Read More
  15. 기타수명은 200년 이상

    Date2024.02.07 By Views852
    Read More
  16. 떨어진 상목 붙이기

    Date2024.01.21 By Views964
    Read More
  17. 사일런트 기타

    Date2024.01.20 By Views870
    Read More
  18. 갈라짐 수리

    Date2024.01.01 By Views1127
    Read More
  19. 연주자의 기타

    Date2023.12.28 By Views1396
    Read More
  20. 카본줄은 5 바퀴

    Date2023.12.20 By Views1179
    Read More
  21. 20프렛 장착

    Date2023.12.01 By Views1109
    Read More
  22. 넥 휨 교정

    Date2023.12.01 By Views1375
    Read More
  23. 5피스 기타

    Date2023.11.22 By Views1158
    Read More
  24. 두랄미늄 새들

    Date2023.11.02 By Views1125
    Read More
  25. Pau ferro 에 대하여

    Date2023.10.31 Byseo b k Views997
    Read More
  26. 수분에 대하여

    Date2023.10.31 Byseo b k Views1077
    Read More
  27. GMI 튜닝머신 소개_2023년 10월 출시

    Date2023.10.07 By순돌이아빠 Views1355
    Read More
  28. 조하르

    Date2023.09.27 By Views1590
    Read More
  29. 상아 ivory ..........넛트 새들

    Date2023.09.01 By Views1968
    Read More
  30. 스팔티드 타마린

    Date2023.07.12 By Views1738
    Read More
  31. 첨 작업해보는 재료

    Date2023.07.03 By Views1653
    Read More
  32. Saddle 가공에 대한 질문

    Date2023.06.26 By아키 Views1660
    Read More
  33. 백화현상

    Date2023.06.18 By연어 Views1693
    Read More
  34. 사일런트기타 개선

    Date2023.06.14 By Views1756
    Read More
  35. 7현기타

    Date2023.06.14 By Views1491
    Read More
  36. 635 사이즈도 좋아요

    Date2023.06.12 By Views1443
    Read More
  37. 컨셉기타..... 에보니라인 기타

    Date2023.05.31 By Views1490
    Read More
  38. 120센티 갈라진 기타

    Date2023.05.17 By Views1824
    Read More
  39. 1달러짜리 기타줄

    Date2023.05.17 By Views1561
    Read More
  40. 쉘락도장 보호하기

    Date2023.04.04 Byseo b k Views1890
    Read More
  41. 로맨틱기타

    Date2023.03.28 By Views1790
    Read More
  42. 류트의 자산

    Date2023.02.25 By Views1604
    Read More
  43. 베벨 켓웨이

    Date2023.02.19 By Views1753
    Read More
  44. 많이 연주해준 기타소리가 좋아요

    Date2023.02.19 By Views1776
    Read More
  45. 강남길 주문제작 5호

    Date2023.02.13 ByKhkhw Views1768
    Read More
  46. 5 piece guitar

    Date2023.01.27 By Views1694
    Read More
  47. 하현주 재질

    Date2023.01.25 Byseo b k Views1739
    Read More
  48. 3피스 넥 핑거보드

    Date2023.01.19 By Views1686
    Read More
  49. 무게를 줄이는방법

    Date2023.01.19 By Views1884
    Read More
  50. 로제트

    Date2023.01.19 By Views1665
    Read More
  51. 클래식기타 제작 관련 질문

    Date2023.01.19 Byseo b k Views1762
    Read More
  52. 수장건조

    Date2022.12.30 By Views1960
    Read More
  53. 줄걸고 세팅

    Date2022.12.30 By Views2104
    Read More
  54. 배부른 앞판 낮추기

    Date2022.12.30 By Views1911
    Read More
  55. 세팅에 드는 시간....

    Date2022.12.06 By Views2053
    Read More
  56. 지판 제작 관련 호기심

    Date2022.11.04 ByJosue Views2315
    Read More
  57. 김해부근 기타제작공방

    Date2022.11.01 Byalexia Views1994
    Read More
  58. 넥사이즈 . 지판사이즈. 넛트사이즈

    Date2022.09.20 By Views2564
    Read More
  59. 스트라디바리우스가 제작한 기타. 300년이상된

    Date2022.09.18 By Views2593
    Read More
  60. 5 PIECES TOP

    Date2022.09.15 By Views2038
    Read More
  61. 여러번 감으면

    Date2022.09.15 By Views1858
    Read More
  62. tornaboz

    Date2022.09.04 By Views1894
    Read More
  63. 스프르스와 메이플 조합

    Date2022.09.04 By Views2170
    Read More
  64. 노멀텐션

    Date2022.09.04 By Views2014
    Read More
  65. 건강한 프렛

    Date2022.09.04 By Views1865
    Read More
  66. 앞판이 깨지면

    Date2022.09.04 By Views1936
    Read More
  67. 기타 넥 을 주문 해서 받았는데 좀 달라서 문의 드립니다

    Date2022.07.29 By페페 Views1974
    Read More
  68. 8현기타는 어디서 구할수 있나요?

    Date2022.07.27 By영이아빠 Views2217
    Read More
  69. 8현기타

    Date2022.05.09 By Views2617
    Read More
  70. 하카란다 원목자재

    Date2022.04.15 By하카란다 Views3606
    Read More
  71. 팬프렛 브람스 8현기타

    Date2022.02.14 By Views2985
    Read More
  72. 류트....닥나무 한지.

    Date2022.01.11 By Views2665
    Read More
  73. 상처투성이 기타

    Date2022.01.04 By Views3208
    Read More
  74. 8현기타 오래만에보니

    Date2021.10.20 By Views3508
    Read More
  75. 데오르보 이야기

    Date2021.09.24 By Views2947
    Read More
  76. 조영갑 박사의 연구 결과 (기타 받침대 Z-Skinny 의 사용시 음향관계 분석자료)

    Date2021.07.31 By노동환 Views4323
    Read More
  77. 기타계에 여성전성시대

    Date2021.04.18 By Views4466
    Read More
  78. 기타의 사이즈 조정은 어디까지

    Date2021.03.23 By Views3772
    Read More
  79. 로맨틱기타 와 클래식기타

    Date2021.02.17 By Views4924
    Read More
  80. 호세 라미레즈 기타관련 문의

    Date2020.12.06 By치악 Views4436
    Read More
  81. 토레스기타..

    Date2020.10.13 By Views4397
    Read More
  82. 오래된 스푸르스,3000년

    Date2020.10.04 By Views4127
    Read More
  83. 목재의 반응

    Date2020.09.23 By Views4502
    Read More
  84. 브리지 핀 완성품

    Date2020.09.20 By Views3795
    Read More
  85. 브리지 12홀 제작

    Date2020.08.29 By Views3882
    Read More
  86. 브리지 핀

    Date2020.08.29 By Views3364
    Read More
  87. 기타 앞면에 사용되는 원목관련 문의드립니다

    Date2020.08.17 By릿지우드 Views3817
    Read More
  88. 예쁜소리는 예쁜손톱에서 나온다(손톱다듬기 강의)

    Date2020.08.04 By박카노 Views4361
    Read More
  89. 프렛

    Date2020.07.20 By Views3603
    Read More
  90. 기타계 인물 소사-수정10차-1,2,3부

    Date2020.07.12 By최동수 기타 Views3975
    Read More
  91. 기타계 인물 소사-수정10차-3/3부

    Date2020.07.12 By최동수 기타 Views4955
    Read More
  92. 기타계 인물 소사-수정10차-2/3부

    Date2020.07.12 By최동수 기타 Views4491
    Read More
  93. 기타계 인물 소사-수정10차-1/3부

    Date2020.07.12 By최동수 기타 Views4619
    Read More
  94. 7현기타

    Date2020.07.09 By Views4046
    Read More
  95. 망고나무.. 추상 수묵화같은

    Date2020.07.09 By Views3288
    Read More
  96. 오래된 기타 새로 칠하기

    Date2020.07.09 By Views3821
    Read More
  97. 기타 제작 공구

    Date2020.06.16 Byalex Views4567
    Read More
  98. 기타계 인물 소사에 관한 해명의 글

    Date2020.05.31 By최동수 기타 Views4158
    Read More
  99. 프렛 교체

    Date2020.05.29 By Views4362
    Read More
  100. 뒤판을 교체하는 작업

    Date2020.05.29 By Views3654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