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115.119.28) 조회 수 5667 댓글 0
수님이 세락칠을 능가하는 칠이 우리나라에 존재한다고 이전에
말씀하셨는데 그 실체인 황칠에 관한 기사가 있기에 기사전문을
올립니다. 황칠로 기타를 만들면 과연 어떤 명기가 나올까?



천년 만에 부활하는 신비의 도료 ‘황칠’

황금빛 비색 탁월한 내열, 내구성… 전자파 완전 흡수, 이용 가능한 곳 무궁무진
칭기즈칸 테무진의 갑옷과 천막은 황금색으로 빛나고 있는데, 이는 ‘황칠’이라는 비기(秘技)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궁전과 집기류 등 황제의 것이 아니고는 사용치 못했으며 불화살로도 뚫을 수 없는 신비의 칠이라고 전한다.’(마르코 폴로 ‘동방견문록’)

‘백제의 서남쪽 바다 세 군데 섬에서 황칠이 나는데 수액을 6월에 채취하여 기물에 칠하면 황금처럼 빛이 난다’ ‘백제로부터 토공(공납)으로 황칠 5되 3홉을 거두었다.’(중국 통전)

‘황칠’(黃漆). 옻칠에만 익숙한 우리에겐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중국의 역사가들은 이를 한결같이 한반도 서남해안에서만 나는 ‘신비의 도료’라고 적고 있다. 중국 25사와 영파사지(英坡寺誌), 책부원구(冊府元龜) 등 각종 역사책들은 진시황제가 ‘불로초’라 믿으며 해동국에서 가져온 나무가 바로 ‘황칠나무’이며, 통일신라 때 해상왕 장보고의 교역상품 중 최상품이 황칠액이었다고 전한다. 심지어 중국의 사서(四書) 가운데 하나인 주역의 서문에도 ‘황칠판 위에서 이 책을 명상하라’고 쓰여 있을 정도다.

황칠나무의 국제학명조차도 덴드로-파낙스(Dendro Panax), 라틴어로 만병통치약을 지칭하는 인삼나무를 의미하는 말이다.

그렇다면 지구상에서 한반도 서남해안에만 존재했다던 황칠나무는 도대체 어디로 갔을까. 이토록 유명했던 황칠을 우리는 왜 모르고 있는가. 중국의 사서(史書)들은 낯설기만 한 황칠나무에 대해 많은 의문을 가지게 한다.


해남에 ‘황칠나무’ 3천 그루 자생

하지만 황칠나무는 이제 전남 해남군 일대와 완도지역에서 더 이상 ‘비밀’이 아니다. 순금의 비색과 신비한 약효로 ‘사라진 나무’라 칭해졌던 황칠나무가 전남 해남군 서남해 일대에 실존한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기 때문. 그것도 한두 그루가 아닌 수만 그루가 자생하고 있으며, 이 나무에 대한 양묘사업까지 이루어지고 있다.

1000년 동안 숨겨졌던 황칠나무가 그 ‘비밀’의 빗장을 풀고 우리 앞에 모습을 나타내기까지에는 황칠에 ‘미친’ 한 농부의 20여 년의 추적과 집념이 있다. 전남 해남군 마산면 상등리 ‘아침재 산막’ 주인 정순태씨(49)가 그 주인공.

공학도로 방위산업체에 근무하던 그는 지난 80년 한학자인 아버지의 유고를 정리하다 다산 정약용 선생의 시선(詩選)에서 ‘황칠’ 이라는 시를 우연히 발견한다.

“그대 아니 보았는가. 궁복(장보고의 호)산 가득한 황금빛 수액을. 그 빛이 맑고 고와 반짝반짝 빛이 나네. 껍질 벗겨 즙을 받길 옻칠 받듯 하는데 아름드리 나무에서 겨우 한 잔 넘칠 정도. 상자에 칠을 하면 검붉은 색 없어지니 잘 익은 치자물감 어찌 이와 견주리요. 이 나무의 명성이 천하에 자자해서 박물지에 줄줄이 그 이름 올라 있네….”

이후 그는 중국 문헌은 물론 우리의 사서를 뒤지기 시작했다. ‘천금목(千金木)이라 하여 그 진은 안식향(安息香)으로 쓴다’ (임원십육지), ‘황칠의 주산지는 전라도 완도’(해동역사)….

문헌을 바탕으로 10년간 틈틈이 서남해안 섬들과 해남 지역을 헤매던 그는 결국 완도 상황봉과 보길도, 진도 첨찰산, 해남군 두륜산 등 전남 도서지역과 해안 일대 19개 지역에서 황칠나무가 자생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지난 90년 서울 생활을 정리했다. 가족과 함께 해남 땅으로 내려와 귀농 생활에 들어간 것.

순금으로 착각을 일으킬 정도의 황금빛 비색과 상상을 초월하는 내열성과 내구성, 벌레를 쫓아내고 정신을 맑게 하는 안식향(安息香), 중풍`-`오십견`-`항암제로도 사용되는 약용 성분 등 각종 문헌들에서 밝혀진 황칠의 역사적 효능들은 그를 유혹하기에 충분했다.

“다산의 황칠시에서 ‘아름드리에 겨우 한 잔’이라고 표현했듯, 문헌상의 채취 방법으로는 도저히 경제성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는 각 지역에 흩어진 자생림이 모두 50년생 안팎의 황칠나무인 것을 알고는 크게 낙담했다. 그 수액을 채취한 결과 극소량인 점을 알게 된 것. 동시에 바로 이 점이 황칠나무의 존재를 우리 역사에서 증발시킨 장본인이었다는 사실도 찾아냈다.

‘…공납으로 해마다 공장에게 옮기는데 관리들 농간을 막을 길이 없다. 지방민이 이 나무를 악목(惡木)이라 여기고서 밤마다 도끼 들고 몰래 와서 찍었다….’

다산의 황칠시의 한 부분은 황칠의 희귀함에서 오는 민폐가 얼마나 심했는지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중국 자금성의 용상과 어좌를 비롯한 각종 집기류와 천장, 벽면을 모두 도장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황칠액이 필요했겠는가. 병자호란을 거친 후 청나라는 조선의 임금에게까지 황칠 사용을 금지한 뒤, 세계 유일의 황칠 생산지인 전남 해안에 대한 감시와 수탈을 강화한다.

‘수탈을 견디다 못한 백성들은 황칠나무에 구멍을 뚫고 호초를 넣어 나무를 말라죽게 하거나 밤에 몰래 도끼로 아예 베어내 버렸다’ (목민심서 ‘산림’편) ‘갑인년 어느날 소금비 내린 뒤로 모조리 말랐다.’ (다산 탐진촌요 제2수) 다산은 황칠나무의 ‘멸종’을 중국 황실의 횡포와 1801년에 내린 소금비 때문이라고 진단한다.

“다산에서 시작해서, 그에게 절망하고, 다산에서 다시 희망을 얻었습니다.” 정씨는 다산의 시 모음집인 탐진촌요(耽津村謠) 제8수에서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다.

‘지난해 황칠 공납이 없어진 뒤 베어낸 밑둥치에서 새싹이 나고 가지가 뻗었다.’ 1803년에 쓰인 이 시가 해남 유배 당시 쓰인 점에 착안한 그는 해남 지역 산지를 샅샅이 훑었다. 그 당시에 다시 싹이 났다면 대단위 군락지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일말의 희망 때문이었다. 지성이면 감천이랄까. 지난 95년 그는 해남 모 지역에서 200년 이상 된 3000여 그루의 황칠나무 군락을 발견한다.


인공조림 성공… 상품개발 박차

이에 고무된 그는 아침재 산막 인근 2000여 평 비닐하우스 11동에 2만5000그루의 황칠나무 묘목을 심어 5년 만에 완전한 성공을 거뒀다. 자라나는 시기를 앞당김으로써 칠액 채취 시기도 10년생 이상에서 5년생으로 앞당겼다. 시험삼아 황칠액을 칠한 전통 태극선 부채를 700만원에, 가구를 6000만원에 내놓았더니 사겠다는 문의전화가 쇄도했지만 팔지 않았다. 조림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마구 팔다보면 황칠이 고갈된다는 게 그의 소신이다.

황칠나무에 대한 소식이 알려지자 전남도는 자생 실태의 전면 조사에 나서는 한편, 연구진들을 동원해 대대적인 황칠 연구를 벌였다.

산림청의 이명수 사무관은 “전남도의 최종 보고서에 의하면 200도를 견뎌내는 내열성과 내구성, 내습성, 빛깔의 우수성을 확인했다”며, “이로써 황칠이 래커나 니스, 옻칠 등 기존 도료와는 상대가 안 되는 초특급 도료임을 증명한 셈”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이번 조사를 통해 안식향의 성분이 밝혀졌다고 전했다. 황칠 속에 든 ‘베타큐버빈’이라는 방향성 정유성분이 머리를 맑게 하고 기분을 상쾌하게 해주는 효과를 낸다는 것.

정씨는 이런 연구 성과를 토대로 지난해 6월 ‘파낙스 골드’라는 농업벤처를 설립하고, 황칠을 이용한 상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황칠 염료, 도료, 향료, 신약, 전자파 흡수제 등 갖가지 종류의 상품이 출시되기만을 기다리고 있는 것. 그의 이런 도전과 함께 농협은 이를 전남 지역의 주력상품으로 지정했으며, 서울대 생명공학부 등 국내 굴지의 연구소까지 경제적 효용가치에 대해 그 가능성을 인정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민승규 박사는 “조사 결과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조할 아이템임이 충분한 것으로 판명됐다”며 “이제는 어떻게 경영을 할 것인지의 문제만 남았다”고 단언했다.

“미래에는 레이더에도 잡히지 않는 전투기의 도장재료로 이용될 것입니다.” 정씨는 지난해 12월 벤처농업포럼이 주최하는 심포지엄에서 충격적인 발언으로 청중을 놀라게 했다. 하지만 그가 근거로 내놓은 목포해양대학교의 실험 자료는 그의 말을 거짓말이라고 치부하기 어렵도록 만들었다. 전자파 흡수율에 대한 연구 결과 대부분의 도장제가 전자파를 반사시키거나 통과시킨 반면, 황칠은 전자파를 완전히 흡수해 버린 것.

“스텔스 폭격기의 도장사가 일본인인 걸 아십니까? 일본이 일제시대를 거쳐 1970년대까지 황칠을 훔쳐간 사실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그들은 이미 황칠의 비밀을 풀었지만, 일본의 황칠나무에서는 수액이 나오지 않으니 어쩌겠습니까.”

정씨는 ‘황제의 나무’ 황칠나무로 ‘산림부국’(山林富國)을 이룰 꿈을 꾸고 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33 ☞:스프러스 아이힝거에 대해... 고형석 2000.06.12 5205
632 ☞:쇠줄기타(통기타) 한대만들라고하는데... cc 2000.08.28 4568
631 ☞:빠진게 있네요. 이재화 2000.10.19 4485
630 ☞:비밀스런 이야기는요... 웅수 2000.07.12 5089
629 ☞:베이스 기타좀.... 2000.10.06 4475
628 ☞:베렌트의 사망원인. file whisky 2000.08.24 5032
627 ☞:바이스 버거? 지우압바 2000.07.01 6699
626 ☞:마티아스 담만...... 명노창 2000.10.22 5713
625 ☞:대박찬스....기회는 자주없수다. 개풀 2000.09.16 4245
624 ☞:노창님~ 어떤음반 듣고싶어요? 명노창 2000.10.08 3829
623 ☞:내가 원하는 기타는... 김남호 2000.08.27 3916
622 ☞:내가 원하는 기타는... 개풀 2000.08.25 4225
621 ☞:꼬벨라리가???? 고형석 2000.06.12 5443
620 ☞:깔레바로형 기타-Contreras 2000.09.23 6063
619 ☞:기타줄 받으셨는지 궁금하군요... 명노창 2000.08.16 4206
618 ☞:기타 냄새....제기타는 장미향이 납니다. hochma 2000.09.27 4400
617 ☞:귀찮지 않으시다면...고은별님... 가스파르 2000.10.10 4070
616 ☞:구멍많은 기타들.... CC 2000.06.11 5129
615 ☞:곰발바닥아이힝어 햐, 존 기타구나... cc 2000.08.10 5174
614 ☞:고질적 문제 3번선... 동감함다. 개뼈다구 2000.09.08 4463
613 ☞:고질적 문제 3번선... 안진수 2000.09.14 4600
612 ☞:고질적 문제 3번선... 개발 2000.09.09 4507
611 ☞:고노기타 가격이....2. 2000.08.25 5482
610 ☞:게놈기타. 화음 2000.07.21 4256
609 ☞:거문고 가야금 오리발이 세개인 이유? 이재화 2000.10.19 4886
608 ☞:개코입니다. 개코 2000.08.31 4518
607 ☞:개발입니다. 개발 2000.09.01 4996
606 ☞:감사합니다=^^=명노창입니다. 명노창 2000.08.05 4431
605 ☞:감사합니다=^^=명노창입니다. 김남호 2000.08.06 4228
604 ☞:weissgerber가 맞아요.. 말괄량이 2000.07.04 4208
603 ☞:TORRES PLAN BACK ☞ 그럼 모조? file 토러스플랜 2000.09.04 6101
602 ☞:paulino Bernabe 헤드 사진 file 형서기형 후배 2000.09.01 5609
601 ☞:gsp? 고은별님 명노창입니다. 명노창 2000.10.06 5512
600 ☞:gsp? 궁금하네요.. 고은별 2000.10.05 5183
599 ☞:aaa앞판가격은.... 명노창 2000.08.04 4549
598 ☞:aaa앞판가격은.... 피어리나 2000.07.17 4652
597 ☞: 전 명노창님 욕한적 없는데요? 흐흐흑... 개발 2000.09.01 4002
596 ☞: 전 명노창님 욕한적 없는데요? 흐흐흑... 개풀 2000.09.01 4540
595 ☞: 얼마전에 고노를 사랑한다고 했다가 님으로 부터 뒤지게 욕먹은.... 명노창 2000.09.01 5303
594 ☞ 형석님 글 정말 잘 읽었습니다. 2001.05.06 4694
593 ☞ 현재 사용중입니다. 평이라...글쎄요.. 4 2001.05.03 4656
592 ☞ 하현주를 낮추면??? ... 글쎄요...??? pepe 2001.05.07 3995
591 ☞ 피안나는 디자인.....공구편. 저도 한마디 이재화 2000.10.31 4562
590 ☞ 폴피셔 누구까?....퍼온글(붙이는 재미에) 2000.11.17 4035
589 ☞ 특히 일본에 관한 저의 개인적인 생각.... 명노창 2001.01.29 4171
588 ☞ 타우너를 우습게 알다니 ...이노옴! 지우압바 2000.11.12 3969
587 ☞ 타우너를 우습게 알다니 ...이노옴! 곰팡이 2000.11.12 3912
586 ☞ 케이스에 대한 질문. 1 기타랑 2001.07.14 4313
585 ☞ 케이스를 한번 만들어보면? 木香 2001.07.15 4489
584 ☞ 지판을 딱을 때... 木香 2001.07.14 3978
583 ☞ 중국은 황사로 너무 건조한가보네요. 으랏차차 2001.03.09 4063
582 ☞ 줄은 지판에 닿지 않는데.... 4 셰인 2001.07.11 4016
581 ☞ 제발 귀 좀 귀울여 주심 안될까요? sendy 2000.11.06 3800
580 ☞ 제발 귀 좀 귀울여 주심 안될까요? 가스파르 2000.11.06 3867
579 ☞ 정말 좋은 기타 안토니오 마린 몬테로..... 명노창 2000.11.11 6182
578 ☞ 전문 제작가인 웅수엉아에게 상의해보세요... 명노창 2001.01.27 3996
577 ☞ 일이되는 디자인 .....사포편. 저도 한마디........ 이재화 2000.11.01 4694
576 ☞ 이완 탄질이 쓰던 뷔히만... 가난한유학생 2001.02.04 4328
575 ☞ 이마이 기타마니아 2000.11.28 3912
574 ☞ 이런 그림은 어떨지^^ guitar4u 2001.08.14 4222
573 ☞ 음이란 너무 정직하답니다.... 명노창 2001.01.28 4132
572 ☞ 위에 기타 뒷사진. 명노창 2000.12.25 5309
571 ☞ 오호호호~ 2 고정욱 2001.06.28 4158
570 ☞ 앗...그래였나? ("@") 2000.11.27 3918
569 ☞ 안족상단에 상아를 입히면? 이재화 2000.10.24 5034
568 ☞ 아래 글 올린 왕 초보 입니다.. 1 樂 前 孤 鬪 2000.11.05 3923
567 ☞ 써봤습니당. 엄씨가문의 기타를!!!보았습니당. 엄씨가문의 기타를!!! 간절한 2001.05.03 5240
566 ☞ 스테판 슈미트의 악기.... 미니압바 2001.02.26 4066
565 ☞ 스몰맨 기타에 대해... 형서기 2001.02.18 4666
564 ☞ 수님만 보세요... 곰팽이 2000.10.30 3940
563 ☞ 셈난다...자기들끼리만..... 명노창 2000.10.30 4785
562 ☞ 사포편, 제작과 관계는 없지만... 김웅찬 2000.11.01 4958
561 ☞ 사진 한장 고정석 2001.01.17 3896
560 ☞ 사진 몇개 file 기타마니아 2000.11.19 4343
559 ☞ 사용소감 4 Lew 2001.06.14 4050
558 ☞ 비올라 다 감바를 연주하면 되~~~지!! 오모씨 2000.11.21 4593
557 ☞ 베르나베 연습용은 하청... ^_^ 2001.03.19 4035
556 ☞ 바이올린에는 사운드포스트라는 게 있다던데..... 이재화 2001.01.14 4747
555 ☞ 몬테로 부쉐모델 명노창 2001.03.29 4800
554 ☞ 맨나중프렛이.... 박카스 2001.06.22 3828
553 ☞ 마린 나온거 있습니다..... 덜렁이 2001.02.18 3946
552 ☞ 로제트 사진입니다 file 일랴나 2000.12.27 4848
551 ☞ 라미레즈 갖고시퍼라 csr 2001.03.07 4154
550 ☞ 또 기타줄... 4 ganesha 2001.06.15 4139
549 ☞ 네크가 휘는경우는요....... 2000.12.27 4047
548 ☞ 내기타에 문제들..웅수님도 보셔요~ ^^ 길손입니다. 2001.03.26 3892
547 ☞ 나만의 50만원대 수제기타 벤치마크 그리고 또다른 고민... 으랏차차 2001.02.01 4465
546 ☞ 기타학원아시는 분 꼭 글좀 남겨주세요! 기타마니아 2000.12.02 3866
545 ☞ 기타제작에 관심있는 분들 이재화 2001.01.14 4053
544 ☞ 기타의 앞판이 이러면 어떨까..??? 수님이 답좀 노 은 님 2000.11.25 5082
543 ☞ 기타의 수명이 짧다는 것이 근거없다는 어느 가설 셰인 2001.05.08 4070
542 ☞ 기타에 현을 매었을 때.... 라일 2001.05.29 4073
541 ☞ 기타 추천 2001.03.28 4241
540 ☞ 기타 제작자 이야기(3) 안진수 2000.11.18 4276
539 ☞ 군대에서 있었던 추억담~ 기타이야기^^;; 딴따라~! 2001.04.06 4534
538 ☞ 겨울철에 습도유지하는 방법2.... 2000.12.12 4211
537 ☞ 겨울철에 습도유지하는 방법.... 명노창 2000.12.19 4337
536 ☞ 가오리가 쓰는 기타가? 왕초보 2001.04.05 3938
535 ☞ 가야금, 거문고는 어떤줄을 쓰나요? 이재화 2000.10.28 5234
534 ☞ ☞ 타우너를 우습게 알다니 ...이노옴! 형서기 2000.11.12 3943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