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17.04.20 06:07

와그너와의 대담.

(*.154.69.24) 조회 수 4903 댓글 0
http://cafe.naver.com/modernguitar/2289 주소복사
와그너를 만나서 그의 기타에 대하여 인터뷰한 내용입니다.                                      번역...장민섭

CLASSICAL GUITAR: When talking about “double-top guitars,” two luthiers come into my mind, you and your German colleague Matthias Dammann. Would you say that there are big differences in your approaches, or are they similar?

질문
 :

 
더불  기타
 (double-top guitars)  이야기    명의 기타제작가가 생각이 납니다와그너(Gernot Wagner) 선생님과 마티스 담만 (Matthias Dammann) 이다와그너 선생님과 마티스 담만과는  차이가 있습니까 비슷합니까?

 

GERNOT WAGNER: I met Matthias more than 20 years ago and we soon felt a kind of spiritual kinship with each other. At least [we share] a very similar integral way of viewing things concerning how the guitar works. We often exchanged ideas on acoustic issues and on practical questions which arose at work.

He has been building guitars with two wooden skins and with thin wooden strips in between as a spacer for many years. In my own guitar making, I was very struck by the sound of the guitars I made with tops using wood with a lower specific gravity. So I continued to build solid wooden tops using such wood for my guitars. With cedar, it is much easier to find extra-light wood, so I mainly built cedar guitars.

At that time, the way Matthias chose to make his tops seemed way too risky and too fiddly with all those thin wooden strips. So when I discovered the Nomex honeycomb, it was like a brainwave! When I discussed the use of this new material with Matthias, it was obvious for him to immediately borrow this idea [and] he built the first guitar using this material. The use of a synthetic glue and vacuum gluing was stringently required. A little later, I made my first double-top guitar using this fantastic material. Since then, numerous luthiers around the world have been copying the Nomex method in making guitar tops.

It would be better to call these tops “composite tops” because we are marrying two different materials with the aim of getting properties that are superior to the respective single materials we use.

Using Nomex as a spacer between two wooden skins, I get a high stiffness, which is required to withstand the string tension, combined with a low density—two factors that enhance the amount of sound radiated from the instrument. Furthermore, I will get a better propagation of sound, which is important for coupling all strings to those modes which induce net volume change.

답변:

담만과는 20여년 전에 만났다우리는 만나자 마자 서로 통하는 것을 알았다그것은 기타의 작동 원리에 대한 관점이 같았기 때문이다우리는 제작을   생기는 현실적인 의문점 대하여 그리고 음향적인 문제에 대하여 토론하며 의견을 교환하였다

담만은  개의 얇은 나무 전판을 만들고  사이의 간격에 얇은 나무 조각들을 집어 넣어  년간 기타를 만들었다나는 무겁지 않은 나무(lower specific gravity) 전판을 만든 기타 소리에 매료 되어 이런 나무로 계속 기타를 만들었다그래서 내가 시더(cedar) 전판으로 사용하는 이유도가벼운 나무가  목적에 맞기 때문이었다.  

 당시 담만은  얇은 조각들을 사용하여 실패 위험도 있고 성가실 정도 힘들게 전판을 만들고 있었다.  그래서 내가 노맥스 허니콤 ( Nomex honeycomb )  발견한 것은 기막힌 묘안이었다내가  새로운 재질에 대하여 담만과 토론하였고 담만은 바로  아이디어를 채택하여  재질을사용하여  기타를 만들었다그런데 합성 접착제(synthetic glue) 사용하고 진공으로 접착(vacuum gluing)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나도바로  환상적인 재질을 이용하여  더블  기타를 만들었다그로부터 수많은 제작가들이 노맥스 방법으로 기타 전판을 만들고 있다

이런 종류의 전판은 합성된 전판이라고 부르는 것이 좋을 것이다왜냐하면  개의 다른 재질을 짝을 이루게 하여 하나의 재질 전판 보다  좋은성능을 가지게 하기 때문이다.  

노맥스 (Nomex)   개의 전판 사이에 공간을 메워주는 것으로 사용하면 기타줄의 장력을  지탱해   있는 단단함(stiffness) 유지해줄 뿐만아니라 밀도(density: 단위 부피당 질량) 낮아 진다그래서 악기의 음량(amount of sound) 커진다 두가지 장점 때문에 악기에서 소리가 울리고  퍼져 나가도록(better propagation) 한다.  


CG: Why is the low weight so important?

질문 :  무게가 가벼운 것이 중요합니까?

WAGNER: First, the tension and mass of the guitar’s nylon strings are both rather low. The force created by plucking a string is not very strong and it has only short-time momentum. There is no continuous input as you have with bowed stringed instruments. Also, the mechanical impedance of the guitar top/bridge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strings. The bigger this difference is, the more of the applied force is reflected at the interface [top]. On an electric guitar [high impedance] this difference is much bigger than on a banjo, for example. With the electric guitar, you will have an “endless” sustain [amplified]; with the banjo [low impedance] you will get a great volume but very short notes.

The consequence is that it is important to strive for a better impedance matching of the two coupled oscillators [strings and guitar body]. Impedance matching gives a more effective transfer of energy. Thus, by having a lighter top, you will get more volume. With these tops, which are more flexible but not at the expense of resilience, you get a better modulation of volume. You have a wider dynamic range. It is easier to induce vibrations even with very low force. So you get a better pianissimo and you can also play loudly when you need to. With these tops it is much easier to get lower fundamental modes. My Helmholtz resonance [body resonance] is mostly around F or F sharp. This way I get a really sonorous bass with a great number of harmonics, and thus my guitars have a rather dark timbre.


답변 :

나일론 기타 줄의 장력(tension) 질량(mass) 비교적 낮다기타 줄을 퉁기면 (force) 크게 작용하지 않아  힘의 영향이 순간적이다활로마찰 시켜 소리를 내는 찰현 악기 처럼 힘의 영향이 길게 이어지지 않는다또한 임피던스(impedance : 음향적으로 소리의 진동을 방해하려는 성질) 전판/브리지와 기타 줄이 서로 차이가 있다 차이가 클수록 전판에 작용하는 자극이 커질  밖에 없다예를 들어 전기 기타(일렉 기타) 기타줄과 전판 사이에 임피던스는 밴조(banjo)   보다 크다그래서 전기기타 소리의 서스테인(sustain) 계속적으로 이어지지만 밴조의 소리는크지만 소리가 짧게 끊어진다.


그래서 진동이 되는 기타 줄 그리고 기타의 몸통 이 두 개의 임피던스가 잘 조화를 이루도록 노력하는 것이다잘 조화를 이루면 더 효과적인 에너지 전달이 될 수 있다전판의 무게가 가벼우면 더 큰 소리를 낸다유연하지만(flexible) 탄력성(resilience)을 잃지 않는 종류의 전판으로 소리가 더 잘 전달될 수 있다(better modulation of volume). 그리고 더 넓은 폭의 음역을 가지게 된다.(wider dynamic range) 즉 작은 힘으로도 쉽게 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연주 할 때 작고 부드러운 피아니시모( pianissimo)도 잘 표현할 뿐만 아니라 크게 소리를 만들고 싶으면 큰 소리를 낼 수도 있다낮은 음계(lower fundamental modes)를 가진 기타를 만들 수 있다나의 기타의 헬륨훌츠 공명Helmholtz resonance:기타의 몸통의 공명) F F #정도 된다그래서 다양한 하모니 (harmonics)  가진 낭랑하고 널리 퍼지는 저음부를 가지게 되어 나의 기타는 비교적 두꺼운 소리(dark timbre)가진다.


                                                        번역..장민섭(010 8360 4943)

번역해주신 장민섭님께 개인적으로 감사드림니다...

영어를 잘 하시는분들이 많아도 선뜻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힘써주셔서 다들 쉽게 볼수있게 되었어요...

http://classicalguitarmagazine.com/gernot-wagner-the-master-luthier-on-the-double-top-movement-and-his-influences/    출처입니다

(이성관카페에   장민섭님이 올린글   퍼왔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33 스몰맨기타 모델 file 스몰 2010.12.14 17145
1232 스몰맨과 죤 윌리엄스~ 25 JS 2009.11.28 13048
1231 스몰맨과 마티가 애용한다는 케이스 4 file kissber 2007.02.01 7144
1230 스몰맨..................... 7 YO 2001.06.28 4678
1229 스몰맨, 담만 이메일, 주소입니다. 1 로빈 2006.11.20 6156
1228 스몰맨 기타에 대해... 으랏차차 2001.02.18 4439
1227 슈퍼칩만들때 노하우좀 갈쳐주세요~~ 3 Y 2003.06.24 5308
1226 슈퍼칩(브리지단추)... 3 file 정성민 2003.05.20 6914
1225 슈퍼칩(string tie) 7 file gitarre 2012.11.29 15986
1224 슈퍼칩 1 file 콩쥐 2008.07.24 12845
1223 쉘락칠. 3 gdream7 2005.12.30 4951
1222 쉘락칠 할 때요... 3 쉘락 2008.04.22 6106
1221 쉘락칠 하기 9 file gdream7 2005.12.15 6024
1220 쉘락칠 방법 (사진첨부, 내용보충) 2 file 콩가루 2007.10.08 8041
1219 쉘락채취하는 과정 file 2024.04.11 582
1218 쉘락마무리 17 file gdream7 2005.12.26 6250
1217 쉘락도장 보호하기 2 seo b k 2023.04.04 1904
1216 쉘락 휘니시... french polish of shellac 2017.08.02 5212
1215 쉘 마무리. file gdream7 2005.12.26 4934
1214 숯을 이용한 기타보관 침대~~ 4 file 스타 2006.12.12 6394
1213 술취한 기타소리 들어는 보셨는지요? 泳瑞父 2000.08.08 4708
1212 수제품을 구입하려는데... 세고비아 2001.04.03 4053
1211 수제품기타의 정의는? 으랏차차 2001.03.16 3928
1210 수장건조 file 2022.12.30 1981
1209 수엔명노창님 이영남 2001.01.27 4631
1208 수분에 대하여 seo b k 2023.10.31 1098
1207 수리, 중고, 세팅... 1 file 콩쥐 2010.02.19 10525
1206 수리 완료된 원음8호 5 file gdream7 2006.01.02 5972
1205 수님의 말대로... 샤콘느현이 변할까..? 1 김동선 2002.01.27 4915
1204 수님아 질문인데요.... 앞판을.. "하카란다"란 나무로.. 느끼오빠 2001.07.19 4200
1203 수님쇠줄기타도만들어주실수있나요 28 김민성 2002.01.08 5306
1202 수님께선 어쿠스틱 기타 제작은 안하시나요? ^^;;;; 짱팔이 2001.07.11 3980
1201 수님감사함다. 곰팽이 2000.11.05 3951
1200 수님~. 기타 부품에 관해서~ 2 김현영 2001.05.05 3883
1199 수님~! 3 박카스 2001.06.22 3921
1198 수님! 어린이용 기타의 기준은? 泳瑞父 2000.12.20 3879
1197 수님 홈피에... 2 일자무식 2001.05.16 4304
1196 수님 질문이 한가지 있습니다. 목향 2001.07.10 4009
1195 수님 반갑습니다....그리구요.. yosip 2001.03.14 4068
1194 수님 롤랑디얀 기타 무슨 기타에여?? 6 아따보이 2002.06.14 5052
1193 수경낭자 감사*^^* 이병훈 2000.07.21 4914
1192 쇠줄기타의 난문제. file whisky 2000.08.30 4547
1191 쇠줄기타의 난문제. cc 2000.08.29 4294
1190 솔로에트 이외의 기타들 - 일본것? 6 박원홍 2002.08.02 5227
1189 손톱이 약해서 쉽게 뿌러 지시는 분들........ 6 명노창 2002.01.26 5664
1188 손톱손질용 버퍼모음 4 file 손톱손질 2007.06.14 8624
1187 손톱 굽은 분들 보셔용... 6 해피보이 2006.01.21 8337
1186 손톱 5 줄떨어진기타 2017.03.24 7063
1185 손크기에 맞는 기타 추천부탁드려요, 4 학생 2009.10.01 9150
1184 손이 기준이죠.... 2000.12.20 3881
1183 손에 맞는 기타 17 고정석 2003.12.22 6751
1182 소리를 들어 보고 나서 고은별 2000.10.18 3886
1181 소리로 앞판 건조 시킨다면서요? 말괄량이 2000.06.17 5405
1180 소리가 트인다는게...어떤거죠?? 6 고정욱 2001.09.09 4486
1179 소리, 연주자에 의해 좌우된다.스트라디바리우스와 현대 바이올린, 그 차이점은 무었인가? 8 고정석 2001.10.31 5039
1178 소르와 아구아도??? 5 궁금 2004.07.14 5434
1177 셸락칠의 단점극복에 기대하며... 2001.03.18 4091
1176 셸락칠은 약해요, 원래. 4 2001.05.18 4158
1175 셸락이라구여? 형서기 2000.07.26 5947
1174 셀락칠 마무리를 콤파운드로 하는걸... 2 대왕세손 2008.07.14 7234
1173 센빠이 혹시 영서부 곰팽이 2000.11.11 4175
1172 세팅에 드는 시간.... file 2022.12.06 2072
1171 세상에서 젤로 비싼기타가 모예요? 엄마가 하나사준데여... 47 철갑왕 2002.02.01 6765
1170 세르게이 디용의 기타...캐나다 토론토....2000. 메니아 2001.10.07 4574
1169 세락을 능가하는 한국 고유의 "황칠" 일랴나 2001.03.17 5676
1168 세고비아의 명기에 대한 동영상. 1 콩쥐 2008.02.03 6704
1167 세고비아의 라미레즈 6 file ganesha 2016.06.25 7719
1166 세고비아의 기타. 2001.04.05 4399
1165 세고비아>야마시타>앙헬 8 종이컵 2009.04.26 7609
1164 세계적인 기타제작가 액자 전달식 1 file 대건안드레아 2012.06.30 11499
1163 세계의 기타제작가 주소...www.cybozone.com에서 퍼왔슴다. 2002.09.30 10554
1162 성가 혹은 가스펠송에 대한 클레식기타 악보에 6 김준화 2005.01.26 8395
1161 서울 ,,,자작기타제작 영상 file 2024.04.11 564
1160 서민석 기타에 대하여 7 ----- 2005.11.28 11203
1159 서대영님 공방에서 기타를 하나 들고와서... 3 소리난다 2003.12.28 7274
1158 새로운 기타케이스 8 file 뮤즈기타 2004.12.06 8398
1157 새로 단장한 흑단 지판.. 7 으랏차차 2001.07.13 4365
1156 상현주와 하현주의 재질..... 13 상아 2004.02.28 6304
1155 상현주가 쇠라면??? 플렛이 뼈라면??? 간절한 2001.10.25 4164
1154 상하현주 가공 질문 드려요~ 11 상하현주 2005.11.28 6008
1153 상처투성이 기타 1 file 2022.01.04 3226
1152 상아 ivory ..........넛트 새들 file 2023.09.01 1981
1151 사일런트기타 개선 file 2023.06.14 1782
1150 사일런트 기타 file 2024.01.20 881
1149 사이좋은 그레고리오 형제 4 file 그레고리오 2007.08.28 5564
1148 사이몬마티를 아시나요? 왕초보 2000.12.06 4074
1147 사이몬 마티 file 기타마니아 2001.01.07 5408
1146 사운드홀의 비밀 15 돌바퀴 2012.06.14 20068
1145 사운드홀에 스피커 달기. 6 file 쏠레아 2008.09.24 10031
1144 사운드 홀.. 으랏차차 2001.02.01 4370
1143 사오정?...으..부들부들 sophia 2000.08.19 4464
1142 사오정?...으..부들부들 개풀 2000.08.19 4362
1141 사소한 줄 묶을때 신경쓸것들 file 2024.05.12 286
1140 사바레스 하이텐션이람.. 2 뽀짱 2001.05.27 4601
1139 비브라토 기타. 귀똘이 2000.06.07 4669
1138 브릿지와 새들의 접합면이 이상해서 글 올립니다용. 5 file 간절한 2001.05.09 5047
1137 브릿지에 대한 질문. 10 file 쏠레아 2008.09.22 8286
1136 브릿지개조 기타 12 file 2008.09.04 14467
1135 브릿지 하현주에서 나는 잡음에대해.. JoDaC 2006.12.13 5287
1134 브리지라 그랬는데 왜 줄받침만 수리되어 온걸까요? 3 콜로디아 2004.11.23 5065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