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17.04.20 06:07

와그너와의 대담.

(*.154.69.24) 조회 수 4917 댓글 0
http://cafe.naver.com/modernguitar/2289 주소복사
와그너를 만나서 그의 기타에 대하여 인터뷰한 내용입니다.                                      번역...장민섭

CLASSICAL GUITAR: When talking about “double-top guitars,” two luthiers come into my mind, you and your German colleague Matthias Dammann. Would you say that there are big differences in your approaches, or are they similar?

질문
 :

 
더불  기타
 (double-top guitars)  이야기    명의 기타제작가가 생각이 납니다와그너(Gernot Wagner) 선생님과 마티스 담만 (Matthias Dammann) 이다와그너 선생님과 마티스 담만과는  차이가 있습니까 비슷합니까?

 

GERNOT WAGNER: I met Matthias more than 20 years ago and we soon felt a kind of spiritual kinship with each other. At least [we share] a very similar integral way of viewing things concerning how the guitar works. We often exchanged ideas on acoustic issues and on practical questions which arose at work.

He has been building guitars with two wooden skins and with thin wooden strips in between as a spacer for many years. In my own guitar making, I was very struck by the sound of the guitars I made with tops using wood with a lower specific gravity. So I continued to build solid wooden tops using such wood for my guitars. With cedar, it is much easier to find extra-light wood, so I mainly built cedar guitars.

At that time, the way Matthias chose to make his tops seemed way too risky and too fiddly with all those thin wooden strips. So when I discovered the Nomex honeycomb, it was like a brainwave! When I discussed the use of this new material with Matthias, it was obvious for him to immediately borrow this idea [and] he built the first guitar using this material. The use of a synthetic glue and vacuum gluing was stringently required. A little later, I made my first double-top guitar using this fantastic material. Since then, numerous luthiers around the world have been copying the Nomex method in making guitar tops.

It would be better to call these tops “composite tops” because we are marrying two different materials with the aim of getting properties that are superior to the respective single materials we use.

Using Nomex as a spacer between two wooden skins, I get a high stiffness, which is required to withstand the string tension, combined with a low density—two factors that enhance the amount of sound radiated from the instrument. Furthermore, I will get a better propagation of sound, which is important for coupling all strings to those modes which induce net volume change.

답변:

담만과는 20여년 전에 만났다우리는 만나자 마자 서로 통하는 것을 알았다그것은 기타의 작동 원리에 대한 관점이 같았기 때문이다우리는 제작을   생기는 현실적인 의문점 대하여 그리고 음향적인 문제에 대하여 토론하며 의견을 교환하였다

담만은  개의 얇은 나무 전판을 만들고  사이의 간격에 얇은 나무 조각들을 집어 넣어  년간 기타를 만들었다나는 무겁지 않은 나무(lower specific gravity) 전판을 만든 기타 소리에 매료 되어 이런 나무로 계속 기타를 만들었다그래서 내가 시더(cedar) 전판으로 사용하는 이유도가벼운 나무가  목적에 맞기 때문이었다.  

 당시 담만은  얇은 조각들을 사용하여 실패 위험도 있고 성가실 정도 힘들게 전판을 만들고 있었다.  그래서 내가 노맥스 허니콤 ( Nomex honeycomb )  발견한 것은 기막힌 묘안이었다내가  새로운 재질에 대하여 담만과 토론하였고 담만은 바로  아이디어를 채택하여  재질을사용하여  기타를 만들었다그런데 합성 접착제(synthetic glue) 사용하고 진공으로 접착(vacuum gluing)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나도바로  환상적인 재질을 이용하여  더블  기타를 만들었다그로부터 수많은 제작가들이 노맥스 방법으로 기타 전판을 만들고 있다

이런 종류의 전판은 합성된 전판이라고 부르는 것이 좋을 것이다왜냐하면  개의 다른 재질을 짝을 이루게 하여 하나의 재질 전판 보다  좋은성능을 가지게 하기 때문이다.  

노맥스 (Nomex)   개의 전판 사이에 공간을 메워주는 것으로 사용하면 기타줄의 장력을  지탱해   있는 단단함(stiffness) 유지해줄 뿐만아니라 밀도(density: 단위 부피당 질량) 낮아 진다그래서 악기의 음량(amount of sound) 커진다 두가지 장점 때문에 악기에서 소리가 울리고  퍼져 나가도록(better propagation) 한다.  


CG: Why is the low weight so important?

질문 :  무게가 가벼운 것이 중요합니까?

WAGNER: First, the tension and mass of the guitar’s nylon strings are both rather low. The force created by plucking a string is not very strong and it has only short-time momentum. There is no continuous input as you have with bowed stringed instruments. Also, the mechanical impedance of the guitar top/bridge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strings. The bigger this difference is, the more of the applied force is reflected at the interface [top]. On an electric guitar [high impedance] this difference is much bigger than on a banjo, for example. With the electric guitar, you will have an “endless” sustain [amplified]; with the banjo [low impedance] you will get a great volume but very short notes.

The consequence is that it is important to strive for a better impedance matching of the two coupled oscillators [strings and guitar body]. Impedance matching gives a more effective transfer of energy. Thus, by having a lighter top, you will get more volume. With these tops, which are more flexible but not at the expense of resilience, you get a better modulation of volume. You have a wider dynamic range. It is easier to induce vibrations even with very low force. So you get a better pianissimo and you can also play loudly when you need to. With these tops it is much easier to get lower fundamental modes. My Helmholtz resonance [body resonance] is mostly around F or F sharp. This way I get a really sonorous bass with a great number of harmonics, and thus my guitars have a rather dark timbre.


답변 :

나일론 기타 줄의 장력(tension) 질량(mass) 비교적 낮다기타 줄을 퉁기면 (force) 크게 작용하지 않아  힘의 영향이 순간적이다활로마찰 시켜 소리를 내는 찰현 악기 처럼 힘의 영향이 길게 이어지지 않는다또한 임피던스(impedance : 음향적으로 소리의 진동을 방해하려는 성질) 전판/브리지와 기타 줄이 서로 차이가 있다 차이가 클수록 전판에 작용하는 자극이 커질  밖에 없다예를 들어 전기 기타(일렉 기타) 기타줄과 전판 사이에 임피던스는 밴조(banjo)   보다 크다그래서 전기기타 소리의 서스테인(sustain) 계속적으로 이어지지만 밴조의 소리는크지만 소리가 짧게 끊어진다.


그래서 진동이 되는 기타 줄 그리고 기타의 몸통 이 두 개의 임피던스가 잘 조화를 이루도록 노력하는 것이다잘 조화를 이루면 더 효과적인 에너지 전달이 될 수 있다전판의 무게가 가벼우면 더 큰 소리를 낸다유연하지만(flexible) 탄력성(resilience)을 잃지 않는 종류의 전판으로 소리가 더 잘 전달될 수 있다(better modulation of volume). 그리고 더 넓은 폭의 음역을 가지게 된다.(wider dynamic range) 즉 작은 힘으로도 쉽게 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연주 할 때 작고 부드러운 피아니시모( pianissimo)도 잘 표현할 뿐만 아니라 크게 소리를 만들고 싶으면 큰 소리를 낼 수도 있다낮은 음계(lower fundamental modes)를 가진 기타를 만들 수 있다나의 기타의 헬륨훌츠 공명Helmholtz resonance:기타의 몸통의 공명) F F #정도 된다그래서 다양한 하모니 (harmonics)  가진 낭랑하고 널리 퍼지는 저음부를 가지게 되어 나의 기타는 비교적 두꺼운 소리(dark timbre)가진다.


                                                        번역..장민섭(010 8360 4943)

번역해주신 장민섭님께 개인적으로 감사드림니다...

영어를 잘 하시는분들이 많아도 선뜻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힘써주셔서 다들 쉽게 볼수있게 되었어요...

http://classicalguitarmagazine.com/gernot-wagner-the-master-luthier-on-the-double-top-movement-and-his-influences/    출처입니다

(이성관카페에   장민섭님이 올린글   퍼왔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33 발 받침대 한컷 4 file 대건안드레아 2012.05.12 15729
1532 오일바니쉬... 4 다울랜드.. 2012.04.25 15207
1531 기타 모델링 2 file 이동혁 2012.04.10 13484
1530 스트링 게이지와 음정 관계 와일드프론티어 2012.04.09 11042
1529 기타의 성능 (jeffrey elliot) 1 2012.04.09 11289
1528 책 안내 - "기타 명기와 명장" 비우자 2012.02.14 14474
1527 간단한 댐핏 만들기 13 file 리브라 2012.01.04 21008
1526 자연스런 습도유지. 6 file 2012.01.21 17209
1525 이병우씨 듀얼기타!!ㅋㅋ 2 file 은찬아빠 2012.02.07 16417
1524 Scott Tennant가 연주하는 Daniel Friederich 기타 scdj 2011.12.06 13419
1523 탄소 섬유로 만든 기타 3 cf 2011.12.02 18309
1522 FTA와 guitar 4 == 2011.11.29 12668
1521 Andres Marin 모델 기타 26 최동수 2011.11.13 13984
1520 넥, 지판가공.. 제작자님들 조언 구합니다... 7 김성일 2011.11.04 13586
1519 드디어 기타를 바꾸었읍니다 (베르나베 기타...) 9 김브림 2011.10.31 17732
1518 댓글 퍼왔어요 2 file 언니 2011.09.18 10634
1517 Professional guitarists: their guitars - 2 6 리브라 2011.10.25 16048
1516 Professional guitarists: their guitars - 1 리브라 2011.10.25 23152
1515 바리오스 망고레의 기타 7 file 2011.10.24 15733
1514 Agustin Barrios' original guitar (1914) 7 고정석 2011.10.25 13615
1513 기타 제작.. 3 가람 2011.10.24 15323
1512 GFA 2011 Luthier's Showcase 2 jfs 2011.07.17 15588
1511 시거 박스 기타(Cigar Box Guitars) 7 고정석 2011.07.13 17058
1510 헐거워진 프렛 14 file 리브라 2011.06.18 15227
1509 그것을알고싶다! 하카란다(최종판) 22 file 조국건 2011.05.23 23189
1508 클래식기타 에 사용할 온습도계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4 케이스삽니다 2011.05.19 14216
1507 하카란다 꽃 6 file 조국건 2011.05.15 16996
1506 [re] 하카란다 꽃의 근접사진 디테일 5 file 조국건 2011.05.18 12706
1505 [re] 하카란다 꽃 file 파라디소 2011.05.17 10400
1504 2홀 슈퍼칩 3 file 리브라 2011.05.12 14415
1503 tornavoz 이용으로 음색의 변화동영상 17 쥐언니 2011.04.28 12337
1502 황칠 도료 제품 등장 2 보리 2011.04.03 15503
1501 Anders Miolin이 연주하는 The 13-string Chiavi-Miolin Guitar 5 고정석 2011.02.18 14111
1500 Fan Frets Guitar 8 file 고정석 2011.02.17 15873
1499 도미니크 필드 인터뷰 7 idf 2011.02.06 13900
1498 기타 제작용 목재와 대체목에 대해 잘 설명해 놓은 글이 있어서 링크해봅니다. 1 hesed 2011.01.31 15494
1497 포크기타 반음계 2 바람들이 2011.01.22 10132
1496 명기파는곳 1 쥐며느리 2010.12.14 16339
1495 스몰맨기타 모델 file 스몰 2010.12.14 17160
1494 Wood & Pearl Guitar Rosette 2 고정석 2010.12.10 12530
1493 메이플로즈 기타 만들기-1 165 최동수 2010.12.02 25091
1492 국내외 기타 레이블 모음 5 오덕구 2010.09.29 15396
1491 높은 프렛(지판에 박힌 쇠)을 구할 수 있나요? 14 highdama 2010.09.22 15844
1490 일본에 유명한 명기 클래식 기타 악기샾좀 알려주세요 7 궁금이 2010.08.02 15629
1489 Arm rest 구입처 문의 또는 대용품 문의 17 Realforce 2010.04.06 13270
1488 [re] Arm rest 구입처 문의 또는 대용품 문의 2 file Realforce 2010.04.23 13065
1487 12홀 브릿지는 장력이 센가요? 17 브릿지 2010.05.18 13505
1486 고수님들....새들 가공에 대해서 질문요... 14 file 몰디브 2010.05.17 14492
1485 목공기계(테이블 쏘우, 기계톱)의 위험성. 11 콩쥐 2010.03.28 16685
1484 Fret Dressing and Set-Up for Classical guitar 6 고정석 2010.03.27 10676
1483 기타 목재 문의...? 3 왔다구나 2010.03.25 14303
1482 [re] 현장 조정가능한 기타를 만들수 없나요 6 file 파크닝팬 2010.03.27 11070
1481 [re] 현장 조정가능한 기타를 만들수 없나요 37 file 쏠레아 2010.03.24 14292
1480 쏠레아님께 질문! 1 file 도치 2010.03.19 11282
1479 하현주(saddle) 미세조정 6 file 쏠레아 2010.03.15 19500
1478 싸즈(saz) 의sound hole(울림구멍) 1 file chokukkon 2010.03.11 11119
1477 Sound hole = 소리 구멍??? 11 쏠레아 2010.03.10 11872
1476 기타의 액션 3 쏠레아 2010.03.08 10162
1475 왜? 49 file 쏠레아 2010.03.07 12956
1474 존길버트와 알마기타 11 재미난기타 2010.03.01 16335
1473 기타의 음량 6 쏠레아 2010.02.28 13772
1472 야마하 Grand Concert 41 모델 아시는 분 계세요? 5 ㅁㅁ 2010.02.25 10869
1471 기타제작가 콩쥐님 보세요. 52 file 쏠레아 2010.02.25 16689
1470 [re] 기타제작가 콩쥐님 보세요. 2 file 저기 2010.02.28 8826
1469 나일론현/스틸현 12 쏠레아 2010.02.22 10751
1468 하이텐션 줄/로우텐션 줄 9 쏠레아 2010.02.20 15283
1467 수리, 중고, 세팅... 1 file 콩쥐 2010.02.19 10536
1466 헤드각과 현의 장력...실험 18 삭제... 2010.02.20 10664
1465 [re] 헤드각과 현의 장력...실험 10 file 쏠레아 2010.02.22 10262
1464 경험으로 깨달은 장력의세기 26 블루고추 2010.02.19 12058
1463 기타리스트들이 애용한 기타들 12 file 고정석 2010.02.02 13030
1462 기타재료 콩쥐 2010.01.31 9543
1461 가격과 소리 69 100호유저 2010.01.03 18517
1460 그렉 스몰맨 Greg Smallman 에게 질문 있으신 분 홍콩매니아 2009.12.13 9970
1459 죤 윌리엄즈의 스몰맨공방 방문 1 파크닝팬 2009.12.13 12452
1458 미분음 기타를 구할수 있을까요? 3 현대음악 2009.12.09 8761
1457 흑단(에보니).....최동수 3 콩쥐 2009.12.08 13829
1456 명기의 비교 감상 - 라그리마 14 file 파크닝팬 2009.12.06 13477
1455 스몰맨과 죤 윌리엄스~ 25 JS 2009.11.28 13066
1454 [re] 스몰맨 격자 살모양 4 파크닝팬 2009.11.29 9240
1453 [re] 스몰맨과 죤 윌리엄스~ secret Acunetix 2009.11.29 1
1452 목공기계를 쓸때는 항상 안전하게...(퍼온글) 10 file 콩쥐 2009.11.28 12963
1451 일렉트릭 클래식 기타를 구입하려고 합니다^^ file 기타매니아 2009.11.15 8876
1450 13현 기타 5 13s 2009.11.13 7729
1449 최동수 선생님께 질문을 올립니다.... 15 STELLO 2009.10.30 7539
1448 12현기타 자세히보기 15 file 콩쥐 2009.09.30 11624
1447 고려악기에서 만든 기타라는데.. 2 file Think 2009.10.12 12390
1446 JOSE ROMANILLOS 관련 영상 13 jrg 2009.10.11 10676
1445 [re] JOSE ROMANILLOS 관련 영상 5, 6편 1 jrg 2009.10.25 7511
1444 손크기에 맞는 기타 추천부탁드려요, 4 학생 2009.10.01 9163
1443 Somervell Guitars ? 3 Collings 2009.09.29 7318
1442 스프러스 기타와 시더 기타 17 금모래 2009.09.17 19636
1441 장력(Tension)과 액션(Action) 44 쏠레아 2008.08.18 16647
1440 [re] 장력(Tension)과 액션(Action) 12 file 그레이칙 2008.08.19 8424
1439 습도. 콩쥐 2009.09.12 7293
1438 6현기타가 10현기타로... 1 콩쥐 2009.09.08 7474
1437 미겔로드리게즈의 그 소리는 어떤것이 가장 큰 요인일까요? 10 L 2009.08.29 8427
1436 8현기타에 대해 궁금합니다 14 초보 2009.07.29 7894
1435 1863 Torres Guitar played by Richard Brune 10 고정석 2009.07.11 7549
1434 한국내 제작되는 기타 한달 2만대. 콩쥐 2009.07.08 8545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