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17.04.20 06:07

와그너와의 대담.

(*.154.69.24) 조회 수 4929 댓글 0
http://cafe.naver.com/modernguitar/2289 주소복사
와그너를 만나서 그의 기타에 대하여 인터뷰한 내용입니다.                                      번역...장민섭

CLASSICAL GUITAR: When talking about “double-top guitars,” two luthiers come into my mind, you and your German colleague Matthias Dammann. Would you say that there are big differences in your approaches, or are they similar?

질문
 :

 
더불  기타
 (double-top guitars)  이야기    명의 기타제작가가 생각이 납니다와그너(Gernot Wagner) 선생님과 마티스 담만 (Matthias Dammann) 이다와그너 선생님과 마티스 담만과는  차이가 있습니까 비슷합니까?

 

GERNOT WAGNER: I met Matthias more than 20 years ago and we soon felt a kind of spiritual kinship with each other. At least [we share] a very similar integral way of viewing things concerning how the guitar works. We often exchanged ideas on acoustic issues and on practical questions which arose at work.

He has been building guitars with two wooden skins and with thin wooden strips in between as a spacer for many years. In my own guitar making, I was very struck by the sound of the guitars I made with tops using wood with a lower specific gravity. So I continued to build solid wooden tops using such wood for my guitars. With cedar, it is much easier to find extra-light wood, so I mainly built cedar guitars.

At that time, the way Matthias chose to make his tops seemed way too risky and too fiddly with all those thin wooden strips. So when I discovered the Nomex honeycomb, it was like a brainwave! When I discussed the use of this new material with Matthias, it was obvious for him to immediately borrow this idea [and] he built the first guitar using this material. The use of a synthetic glue and vacuum gluing was stringently required. A little later, I made my first double-top guitar using this fantastic material. Since then, numerous luthiers around the world have been copying the Nomex method in making guitar tops.

It would be better to call these tops “composite tops” because we are marrying two different materials with the aim of getting properties that are superior to the respective single materials we use.

Using Nomex as a spacer between two wooden skins, I get a high stiffness, which is required to withstand the string tension, combined with a low density—two factors that enhance the amount of sound radiated from the instrument. Furthermore, I will get a better propagation of sound, which is important for coupling all strings to those modes which induce net volume change.

답변:

담만과는 20여년 전에 만났다우리는 만나자 마자 서로 통하는 것을 알았다그것은 기타의 작동 원리에 대한 관점이 같았기 때문이다우리는 제작을   생기는 현실적인 의문점 대하여 그리고 음향적인 문제에 대하여 토론하며 의견을 교환하였다

담만은  개의 얇은 나무 전판을 만들고  사이의 간격에 얇은 나무 조각들을 집어 넣어  년간 기타를 만들었다나는 무겁지 않은 나무(lower specific gravity) 전판을 만든 기타 소리에 매료 되어 이런 나무로 계속 기타를 만들었다그래서 내가 시더(cedar) 전판으로 사용하는 이유도가벼운 나무가  목적에 맞기 때문이었다.  

 당시 담만은  얇은 조각들을 사용하여 실패 위험도 있고 성가실 정도 힘들게 전판을 만들고 있었다.  그래서 내가 노맥스 허니콤 ( Nomex honeycomb )  발견한 것은 기막힌 묘안이었다내가  새로운 재질에 대하여 담만과 토론하였고 담만은 바로  아이디어를 채택하여  재질을사용하여  기타를 만들었다그런데 합성 접착제(synthetic glue) 사용하고 진공으로 접착(vacuum gluing)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나도바로  환상적인 재질을 이용하여  더블  기타를 만들었다그로부터 수많은 제작가들이 노맥스 방법으로 기타 전판을 만들고 있다

이런 종류의 전판은 합성된 전판이라고 부르는 것이 좋을 것이다왜냐하면  개의 다른 재질을 짝을 이루게 하여 하나의 재질 전판 보다  좋은성능을 가지게 하기 때문이다.  

노맥스 (Nomex)   개의 전판 사이에 공간을 메워주는 것으로 사용하면 기타줄의 장력을  지탱해   있는 단단함(stiffness) 유지해줄 뿐만아니라 밀도(density: 단위 부피당 질량) 낮아 진다그래서 악기의 음량(amount of sound) 커진다 두가지 장점 때문에 악기에서 소리가 울리고  퍼져 나가도록(better propagation) 한다.  


CG: Why is the low weight so important?

질문 :  무게가 가벼운 것이 중요합니까?

WAGNER: First, the tension and mass of the guitar’s nylon strings are both rather low. The force created by plucking a string is not very strong and it has only short-time momentum. There is no continuous input as you have with bowed stringed instruments. Also, the mechanical impedance of the guitar top/bridge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strings. The bigger this difference is, the more of the applied force is reflected at the interface [top]. On an electric guitar [high impedance] this difference is much bigger than on a banjo, for example. With the electric guitar, you will have an “endless” sustain [amplified]; with the banjo [low impedance] you will get a great volume but very short notes.

The consequence is that it is important to strive for a better impedance matching of the two coupled oscillators [strings and guitar body]. Impedance matching gives a more effective transfer of energy. Thus, by having a lighter top, you will get more volume. With these tops, which are more flexible but not at the expense of resilience, you get a better modulation of volume. You have a wider dynamic range. It is easier to induce vibrations even with very low force. So you get a better pianissimo and you can also play loudly when you need to. With these tops it is much easier to get lower fundamental modes. My Helmholtz resonance [body resonance] is mostly around F or F sharp. This way I get a really sonorous bass with a great number of harmonics, and thus my guitars have a rather dark timbre.


답변 :

나일론 기타 줄의 장력(tension) 질량(mass) 비교적 낮다기타 줄을 퉁기면 (force) 크게 작용하지 않아  힘의 영향이 순간적이다활로마찰 시켜 소리를 내는 찰현 악기 처럼 힘의 영향이 길게 이어지지 않는다또한 임피던스(impedance : 음향적으로 소리의 진동을 방해하려는 성질) 전판/브리지와 기타 줄이 서로 차이가 있다 차이가 클수록 전판에 작용하는 자극이 커질  밖에 없다예를 들어 전기 기타(일렉 기타) 기타줄과 전판 사이에 임피던스는 밴조(banjo)   보다 크다그래서 전기기타 소리의 서스테인(sustain) 계속적으로 이어지지만 밴조의 소리는크지만 소리가 짧게 끊어진다.


그래서 진동이 되는 기타 줄 그리고 기타의 몸통 이 두 개의 임피던스가 잘 조화를 이루도록 노력하는 것이다잘 조화를 이루면 더 효과적인 에너지 전달이 될 수 있다전판의 무게가 가벼우면 더 큰 소리를 낸다유연하지만(flexible) 탄력성(resilience)을 잃지 않는 종류의 전판으로 소리가 더 잘 전달될 수 있다(better modulation of volume). 그리고 더 넓은 폭의 음역을 가지게 된다.(wider dynamic range) 즉 작은 힘으로도 쉽게 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연주 할 때 작고 부드러운 피아니시모( pianissimo)도 잘 표현할 뿐만 아니라 크게 소리를 만들고 싶으면 큰 소리를 낼 수도 있다낮은 음계(lower fundamental modes)를 가진 기타를 만들 수 있다나의 기타의 헬륨훌츠 공명Helmholtz resonance:기타의 몸통의 공명) F F #정도 된다그래서 다양한 하모니 (harmonics)  가진 낭랑하고 널리 퍼지는 저음부를 가지게 되어 나의 기타는 비교적 두꺼운 소리(dark timbre)가진다.


                                                        번역..장민섭(010 8360 4943)

번역해주신 장민섭님께 개인적으로 감사드림니다...

영어를 잘 하시는분들이 많아도 선뜻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힘써주셔서 다들 쉽게 볼수있게 되었어요...

http://classicalguitarmagazine.com/gernot-wagner-the-master-luthier-on-the-double-top-movement-and-his-influences/    출처입니다

(이성관카페에   장민섭님이 올린글   퍼왔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33 담만이 누군가 했더니..... 2000.10.28 3893
1632 수님! 어린이용 기타의 기준은? 泳瑞父 2000.12.20 3896
1631 수님~. 기타 부품에 관해서~ 2 김현영 2001.05.05 3897
1630 기타 수리에 대하여 alteclub 2001.02.19 3901
1629 ☞ 기타학원아시는 분 꼭 글좀 남겨주세요! 기타마니아 2000.12.02 3901
1628 손이 기준이죠.... 2000.12.20 3902
1627 소리를 들어 보고 나서 고은별 2000.10.18 3902
1626 제발 제프리 엘리어트 기타 좀 보여줘요? illiana 2000.12.28 3903
1625 나의 결정~! 으랏차차 2001.02.03 3904
1624 진촌놈이라 모르구먼유.. 곰팽이 2000.11.02 3904
1623 계열이가 여기에?! 기혀니 2001.07.08 3910
1622 안녕하세요 홈에는 첨이네요... 자료실만 왔었는데... 저기 질문염.. 3 2001.09.02 3914
1621 ☞ 사진 한장 고정석 2001.01.17 3918
1620 부럽당...정말 부럽죠? sophia 2000.10.22 3918
1619 ☞ 내기타에 문제들..웅수님도 보셔요~ ^^ 길손입니다. 2001.03.26 3920
1618 카즈오 사또 시몬(?)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5 청년 2001.04.10 3925
1617 아아..보이는데 가질 수 없는건.. ganesha 2001.02.06 3925
1616 맨나중프렛이.... 2001.06.22 3926
1615 제 기타가 이상해여....ㅜ.ㅜ 7 고정욱 2001.06.26 3928
1614 정말 감사합니다 일랴나 2000.12.29 3928
1613 콘트라베이수...손톱 갈아 묵는 애... 형서기 2000.11.03 3929
1612 ☞ 타우너를 우습게 알다니 ...이노옴! 곰팡이 2000.11.12 3929
1611 기타에 현을 매었을 때.... 2 늦깎이 2001.05.24 3930
1610 ☞ ☞ 더하기 위치... 화음 2000.12.03 3933
1609 기타내부에 칠을 하면... 2001.05.06 3934
1608 ☞:안녕하세요..명노창입니다. 명노창 2000.08.04 3935
1607 ☞ 이마이 기타마니아 2000.11.28 3935
1606 중요한건 습도가 얼마나 되느냐죠. 2001.07.13 3936
1605 뒷판사진 file 일랴나 2000.12.28 3936
1604 ☞ 앗...그래였나? ("@") 2000.11.27 3936
1603 중국이야기가 궁금타? 음반짱님.... 곰팡이 2000.11.12 3936
1602 ☞ ☞ 기타 제작자 이야기(3) 기타마니아 2000.11.19 3936
1601 이런.................... 이재화 2000.10.13 3937
1600 궁금한것이 있어서요....... 이재화 2000.10.11 3937
1599 아래 글 올린 왕 초보 입니다.. 전우화 2000.11.03 3937
1598 브리지 12홀 제작 2 file 2020.08.29 3939
1597 [초보]질문있습니다 기타치고시퍼 2001.03.29 3943
1596 연이은질문]Paul Fischer에 대해... 형서기 2000.10.21 3943
1595 그 사람이 그 사람이우...왕야맹 형서기 2000.11.12 3944
1594 음질의 이중성. 1 날카론시각. 2001.08.27 3945
1593 7 2001.06.22 3945
1592 직업때문에 연주회 구경 못가는 심정 백영업 2001.03.17 3945
1591 수님~! 3 박카스 2001.06.22 3946
1590 이마이딜러가 그만뒀다고 그러네요.... 2000.12.11 3946
1589 질문요. 1 방문객 2 2001.04.08 3947
1588 기타줄을 새로 바껐는데여... 4 ... 2001.05.10 3949
1587 어린칭구가 연주할 기타는 얼마나 작아야죠? 김종표 2001.03.02 3949
1586 ☞ 아래 글 올린 왕 초보 입니다.. 1 樂 前 孤 鬪 2000.11.05 3949
1585 ☞ ☞ 제글이 없어 졌네요..... 명노창 2001.02.03 3950
1584 수제품기타의 정의는? 으랏차차 2001.03.16 3951
1583 여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만... 미니압바 2001.01.29 3951
1582 Frank Bungarten의 악기 기타마니아 2000.10.24 3951
1581 ☞:내가 원하는 기타는... 김남호 2000.08.27 3954
1580 ☞:앞판은 세상에서 가장연한 나무로 그리고 옆판과 뒤판은 대리석을 얇게 짤라서.... 개풀 2000.08.31 3955
1579 어린이용 기타아 문병준 2001.03.02 3955
1578 네크의 두께.. 2 으랏차차 2001.04.20 3956
1577 로제트사진 file 일랴나 2000.12.28 3956
1576 ^^;;;; 으랏차차 2001.01.28 3957
1575 요즘은 장마철이라 습도가 높져... 1 2001.07.02 3958
1574 기타를 사랑한다 하면서도 maria 2001.03.15 3958
1573 ☞ ☞ 정말 스페인에 가면 바로 살수..... 간절한 2001.03.29 3959
1572 whammy bar acoustic guitar 1 persecutaa 2019.11.08 3961
1571 ☞ 마린 나온거 있습니다..... 덜렁이 2001.02.18 3964
1570 기타만들고파~ ganesha 2000.07.04 3966
1569 ☞ 가오리가 쓰는 기타가? 왕초보 2001.04.05 3967
1568 Boaz Elkayam_Recording Guitar file gaspar 2000.12.28 3967
1567 귀찮기는요. 기쁘게 보내드리죠. 가스파르 2000.10.12 3967
1566 ☞ ☞ 타우너를 우습게 알다니 ...이노옴! 형서기 2000.11.12 3967
1565 이마이.. 관둔게 아니래요.. 오모씨 2000.12.11 3969
1564 제가요 기타를 배우는 데요... 기타리스트 리 2001.01.28 3970
1563 앞판사진 file 일랴나 2000.12.28 3971
1562 앞판사진 file 일랴나 2000.12.28 3972
1561 기타사고 싶어요 구경본 2001.01.20 3972
1560 ☞ 수님만 보세요... 곰팽이 2000.10.30 3972
1559 ☞:음메 어려운거...... 명노창 2000.09.16 3973
1558 수님감사함다. 곰팽이 2000.11.05 3975
1557 ☞ 8현사랑. 피어리나 2001.03.17 3977
1556 기타 계간지가 있다고 들었는데.. 윤성규 2001.03.13 3980
1555 줄감개가 기타음색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파뿌리 2001.02.15 3981
1554 네크가 휘는경우는요? 망상 2000.12.27 3981
1553 자문자답 병서기 2001.08.31 3982
1552 개풀님~ 하하 ...다혈질이시져? 개풀 2000.08.18 3983
1551 베르나베 아자씨.... 음.. 할아버진가?? file 변소반장 2000.12.05 3985
1550 이런 이재화 2000.10.13 3987
1549 이그나시오 로자스가 어리 갔나 했더니... 매냐 2001.08.29 3988
1548 수님께선 어쿠스틱 기타 제작은 안하시나요? ^^;;;; 짱팔이 2001.07.11 3990
1547 알고 싶어요 평민 2000.11.18 3994
1546 ☞뜨아..울림은 좋을것 같은데 맑지는 않을것 같다... 명노창 2001.03.10 3995
1545 ☞:홀에 대해서 질문... bronto 2000.06.15 3998
1544 외국기타의 주문방법좀 가르쳐 주셔요, 간절한 2000.11.11 4000
1543 몇가지만 더 여쭤 볼게여~~~ 3 기타랑 2001.05.18 4001
1542 기타 추천 바랍니다. 1 박재만 2001.03.28 4001
1541 베르나베라는 악기가 궁금합니다 악기사랑 2001.03.06 4004
1540 ☞ 타우너를 우습게 알다니 ...이노옴! 지우압바 2000.11.12 4004
1539 케이스를 한번 만들어보면? 3 최성우 2001.07.15 4007
1538 묀히를 아시나요? 스기 2001.01.07 4007
1537 케이스에 대한 질문. 1 최성우 2001.07.14 4008
1536 ☞ 지판을 딱을 때... 木香 2001.07.14 4008
1535 아유...그런거 지천이야요... 2001.05.06 4009
1534 궁금 guitarra 2001.02.20 4009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