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우리 모두 리얼리스트가 되자. 그러나 가슴 속에는 불가능한 꿈을 가지자."


부자나 가난한 이나 몸이 아프면 누구나 병원에 갈 수 있는 세상을 원한다. 

의료 영리화 혹은 민영화라는 이름으로 돈 있는 사람만 치료 받을수 있는
 시스템 구축에 반대한다. 세월호 정국에 국회 파행으로 어수선한 틈을 타
 의료 민영화 법을 슬쩍 추진하려는 의도를 막아내야 한다.
 혹여 그런 불상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모든 국민의 관심이 절실히 필요한 때이다.

ImageProxy.mvc?bicild=&canary=nVKHs6jlDm
▲ 의료민영화 저지 범국민운동본부 출범 건강권실현을 위한 보건의료단체연합을 비롯한 민주노총, 참여연대 등 250여 개 시민단체 회원들이 지난 3월 11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의료민영화, 영리화 저지와 의료공공성강화를 위한 범국민운동본부 출범 기자회견'을 열고 박근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원격의료와 의료영리화정책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 지난 7월에 방한했던 체 게바라의 딸 알레이다 게바라 마치(53) 박사는 대구가톨릭대에서 '나의 아버지 체 게바라, 의료 천국 쿠바 이야기'를 주제로 강연을 했었다. 강연에서 그녀는 "쿠바혁명으로 쿠바는 전 국민 무상교육과 무상의료를 실현했으며, 이것이 쿠바혁명의 가장 자랑스러운 결과"라고 말했다.


가난하고 폐쇄된, 못사는 나라라고만 알고 있는 쿠바는 현재 국민 130명 당 의사 1명이 배정돼 있고 평균수명이 78세에 이른다. 의료에 있어서는 선진국이라 할 만 하다. 또한 세계 100여 개 국가에 10만 명 이상의 쿠바 의료진이 의료봉사를 하고 있으며, 쿠바에 있는 라틴아메리카 의과대학은 외국인들에게 무료 의학교육을 실시해 매년 7000명 이상의 외국인 의사를 배출하고 있다.

이 모든 일들은 지금도 계속 되고 있는 초강대국 미국의 경제제제 하에서 이뤄진 것이다. 체 게바라의 혁명 정신이 결코 헛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일에 대해 그의 딸은 "다른 사람이 필요로 하는 것을 주는 것이 연대감이며 이는 쿠바인들이 공유하는 소중한 가치"라는 말로 설명 한다.


다시 671009

얼마 후면 그가 떠난 날이 돌아온다. 내 나이가 우리 나이로 48세이니 그가 떠난 지도 벌써 내 나이만큼의 시간이 흘렀다. 담배요금 인상에 각종 세금을 올린다는 소식에 안 그래도 팍팍한 이 나라 서민들의 삶을 생각하니 가진 자 보다는 없는 자 편에서 싸웠던 체 게바라의 '혁명의 수염'이 더욱 그리워진다.


671010-XXXXXXX

내 주민등록증의 찍혀있는 앞자리 숫자는 '671010'이다.
 그렇다면 671009는 어떤 숫자일까? 내가 태어나기 딱 하루 전 날, 
 1967년 10월 9일은 어떤 날이었을까? 

671009, 체 게바라가 태어났다

ImageProxy.mvc?bicild=&canary=nVKHs6jlDm
▲  체 게바라. 사진은 1960년 3월 5일 사진작가 알베르토 코르다(Alberto Korda)가 찍은 것
ⓒ Wiki commons

관련사진보기

프랑스의 실존주의 철학자 사르트르는 체 게바라를 "20세기 가장 완전한 인간"으로 칭송했다. 1967년 10월 9일은 영원한 혁명가 체 게바라가 세상을 떠난 날이다. 그는 아르헨티나 출신이지만 고통 받는 민중의 해방을 위해 피델 카스트로와 함께 쿠바혁명을 성공시켰다.

쿠바의 재무장관과 국립은행 총재까지 역임했지만 그는 어느 날 또 다시 한 통의 편지만 남긴 채 혁명의 길로 뛰어 들었다. 아프리카 콩고에서 게릴라 활동을 했고, 잠시 쿠바에 들렀다 최종 목적지로 향한 곳은 바로 중남미대륙의 볼리비아였다. 그는 "혁명은 개인보다 중요하고, 개인은 세계 어디든 부정이 있을 때 이와 맞서 싸워야 한다"는 신념으로 게릴라가 되어 볼리비아 정글 속으로 뛰어 들었다.

하지만 낮선 땅에서 변변찮은 무기도 지원군도 없는 투쟁은 그리 오래 버티지 못했다. 1967년 10월 9일 그는 볼리비아군에 생포 되어 차코라는 마을의 조그만 학교에서 39살이라는 젊은 나이로 총살됐다. 가슴 속에 항상 불가능한 혁명을 꿈꾸던 영원한 혁명가 체 게바라는 '671009'에 우리에게 혁명의 정신을 남기고 영원한 여행길로 떠났다. 

"우리 모두 리얼리스트가 되자. 그러나 가슴 속에는 불가능한 꿈을 가지자."

그가 던진 이 말은 나의 가슴 속에 들어와 좌우명이 됐다. 발은 항상 현실에 딛고 살지만 가슴 속에는 항상 불가능한 꿈을 꾸라는 말은 퍽퍽한 일상에 항상 에너지를 갖게 한다. 가장 이상주의자적인 삶을 살았던 사람이 가장 현실주의자였다니 조금은 의외이기도 하다. 20대 초반 우연히 접한 그와 관련된 책에서 이 문구를 발견하고 그를 좋아하게 되었고, 그 뒤로 지금까지 내 인생의 가장 강력한 나침반이 되었다. 

~ 671009 그리고 671010 ~

어쩌면 체 게바라는 나에게 운명 같은 존재일지 모른다. 혁명을 위해 태어나 혁명적으로 살다 사라진 이 사내가 죽은 다음 날, 내 인생은 시작되었으니까.

혁명의 수염. 나는 그의 수염을 이렇게 부르고 싶다. 체 게바라의 수염은 그 당시 게릴라 활동의 상징이었으며 혁명의 상징이기도 하다. 실제 그의 혁명동지 피델 카스트로는 혁명이 성공할 때까지 자신의 수염을 깎지 않겠다고 공표 했었다. 그만큼 그들에게 수염은 혁명과 연관되어 있었다.

재미있는 사실은 피델 카스트로는 쿠바 혁명 성공 후에도 수염을 길렀다. 어쩌면 그의 혁명은 아직도 현재진행형인지 모른다. 체 게바라가 살아 있었다면 50여 년의 혁명 동지인 두 남자의 수염이 볼만했으리라는 상상을 해본다. 쿠바 정권도 지금처럼 피델의 동생 라울 카스트로가 아닌 체 게바라 정권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의료민영화 문제가 수면 위로 올라오고 있다. 박근혜 정부는 의료 영역의 영리화와 민영화를 슬그머니 추진하려는 모양새다. 보건복지부는 의료법인이 수행 가능한 부대사업에 외국인 환자 유치업, 여행업, 목욕장업 등을 추가하는 '의료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을 오는 19일에 공포·시행할 예정이라고 지난 16일 밝혔다.

Comment '2'
  • 청중2 2014.09.19 18:53 (*.65.249.128)
    민영화는 부자들만이 원하는
    그야말로 천민자본주의의 가장큰 폐해

    그야말로 돈 가진자들와 재벌들이 투자하여 돈 챙길 수 있는
    가장 안정된 투자처가 병원이다

    모든걸 기득권층과 부자들에게 양보한다해도
    인간의 질병의 고통을 이용해 돈챙기는 병원 영리화만은 막아야 하는 데 ...
    상당수 궁민들이 영리화의 의미조차 모른다 ... 방송 언론에서 그 폐해를 감추기 때문이다
  • 존경 2014.09.20 03:33 (*.178.113.95)
    체게바라 진짜 존경할만한 분이네요
    이런지도자 필요한 떄입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38 지나다님과 다른 의견 23 teriapark 2010.10.06 5248
5737 이명박정부의 방송장악시도 13 지나가다 2008.12.20 5248
5736 해당화 2 file 콩쥐 2012.05.27 5248
5735 '허례허식 결혼문화' 개선될까?‥호텔 결혼식 1억원 1 속보 2011.07.13 5247
5734 영원히 살려면 2 친구 2012.07.04 5247
5733 성남 ... 울나라 쵝오의 도시. 7 언니 2015.10.23 5246
5732 외계인(다른행성인들)과의 대화. 17 콩쥐 2009.12.17 5246
5731 소설과 현실 22 아포얀도 2009.12.06 5246
5730 [re] 上善若水 1 저녁하늘 2003.05.08 5246
5729 [re] 엠티용 펜션 7 file 콩쥐 2011.09.22 5245
5728 English Cocker Spaniel - Spanky 4 file 땅콩 2010.10.08 5245
5727 옥X 난리나다 정여립 2011.03.18 5244
5726 여러분 학력위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41 지나가다 2010.06.10 5244
5725 가축사료로 만드는 육수 먹거리피디 2013.07.05 5242
5724 연애상담도 해주시나요... 25 의심남 2007.08.31 5242
5723 신사임당의 묘가 있는 자운서원앞 카페 6 file 콩쥐 2009.04.02 5241
5722 하루종일 대성당만 듣고 있어요 3 귀에 못이 2004.03.12 5241
5721 농심 너구리 7 file 너구리 2012.08.09 5241
5720 평화로 가는길은 없다- 평화가 길이다. 5 평 화 2010.11.25 5240
5719 kbs 방송.........FTA FTA 2012.05.31 5240
5718 한국의 공황은 이게 가능 2 정여립 2011.01.17 5239
5717 훈선정 2009년 5대 사건 4 2009.12.28 5238
5716 오늘 중앙일보 기사 67 file np 2006.10.25 5238
5715 [낙서] 아바이 마을... 9 file 항해사 2011.04.17 5237
5714 수님께 : 명칭 변경 부탁합니다. 5 금모래 2011.11.18 5235
5713 매카시즘 [McCarthyism] 16 volfead 2011.01.23 5235
5712 우희종 교수 “과학 배워야 할 사람은 버시바우” 8 드디어 나타났다 2008.06.05 5235
5711 일본의 피라미드 콩쥐 2014.02.11 5233
5710 의사선생님의 도움이 필요한 소녀 file 아픈소녀 2010.11.15 5233
5709 독일 유학갔다오신분이 들려주는 이야기 3 기사 2014.04.03 5232
5708 강간의 제왕=미국 8 어메리카 2011.10.07 5232
5707 정말 리얼한 그림들... 2 그놈참 2004.02.10 5232
5706 습니다 vs 읍니다 에 관한 단상 - 한글날에 47 오리베 2009.10.09 5230
5705 우연이지만.. 2 file 2013.03.14 5229
5704 독일사람들의 일반적 성격은 어떨까? 민족연구원 2015.04.09 5227
5703 재밌는 광고 1 1 오덕구 2010.11.02 5227
5702 권투든 성악이든 기싸움 필요 속보 2011.07.05 5226
5701 아는 사람 있나 찾아보삼 1 정여립 2011.03.01 5225
5700 어린학생들이 대통령에게 1 기사 2014.05.04 5225
5699 언제부터 낙서게시판이 정치게시판이 되었나요... 4 ㅠㅠ 2011.04.20 5224
5698 이구아수 폭포 동영상 하나 올려드리고 싶은데요... 5 아이모레스 2006.03.02 5224
5697 줏대없는 넘. 27 ZiO 2004.09.10 5223
5696 장도리~ file ns 2012.08.22 5223
5695 대만박물관 콩쥐 2013.10.28 5220
5694 요가 자세 도표 (3) file 거리의 악사 2011.07.11 5219
5693 브라질 미녀들 정말 4 콩쥐 2010.08.11 5218
5692 BMW는 무엇을 줄인 말이까요? 10 쏠레아 2010.02.08 5217
5691 타이야끼 (도미빵) 4 file 콩쥐 2008.06.20 5217
5690 어거스틴 리갈 8 아포얀도 2009.12.15 5216
5689 정말로 비참한 최후.. 6 file 한민이 2005.01.28 5216
Board Pagination ‹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