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우리 모두 리얼리스트가 되자. 그러나 가슴 속에는 불가능한 꿈을 가지자."


부자나 가난한 이나 몸이 아프면 누구나 병원에 갈 수 있는 세상을 원한다. 

의료 영리화 혹은 민영화라는 이름으로 돈 있는 사람만 치료 받을수 있는
 시스템 구축에 반대한다. 세월호 정국에 국회 파행으로 어수선한 틈을 타
 의료 민영화 법을 슬쩍 추진하려는 의도를 막아내야 한다.
 혹여 그런 불상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모든 국민의 관심이 절실히 필요한 때이다.

ImageProxy.mvc?bicild=&canary=nVKHs6jlDm
▲ 의료민영화 저지 범국민운동본부 출범 건강권실현을 위한 보건의료단체연합을 비롯한 민주노총, 참여연대 등 250여 개 시민단체 회원들이 지난 3월 11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의료민영화, 영리화 저지와 의료공공성강화를 위한 범국민운동본부 출범 기자회견'을 열고 박근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원격의료와 의료영리화정책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 지난 7월에 방한했던 체 게바라의 딸 알레이다 게바라 마치(53) 박사는 대구가톨릭대에서 '나의 아버지 체 게바라, 의료 천국 쿠바 이야기'를 주제로 강연을 했었다. 강연에서 그녀는 "쿠바혁명으로 쿠바는 전 국민 무상교육과 무상의료를 실현했으며, 이것이 쿠바혁명의 가장 자랑스러운 결과"라고 말했다.


가난하고 폐쇄된, 못사는 나라라고만 알고 있는 쿠바는 현재 국민 130명 당 의사 1명이 배정돼 있고 평균수명이 78세에 이른다. 의료에 있어서는 선진국이라 할 만 하다. 또한 세계 100여 개 국가에 10만 명 이상의 쿠바 의료진이 의료봉사를 하고 있으며, 쿠바에 있는 라틴아메리카 의과대학은 외국인들에게 무료 의학교육을 실시해 매년 7000명 이상의 외국인 의사를 배출하고 있다.

이 모든 일들은 지금도 계속 되고 있는 초강대국 미국의 경제제제 하에서 이뤄진 것이다. 체 게바라의 혁명 정신이 결코 헛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일에 대해 그의 딸은 "다른 사람이 필요로 하는 것을 주는 것이 연대감이며 이는 쿠바인들이 공유하는 소중한 가치"라는 말로 설명 한다.


다시 671009

얼마 후면 그가 떠난 날이 돌아온다. 내 나이가 우리 나이로 48세이니 그가 떠난 지도 벌써 내 나이만큼의 시간이 흘렀다. 담배요금 인상에 각종 세금을 올린다는 소식에 안 그래도 팍팍한 이 나라 서민들의 삶을 생각하니 가진 자 보다는 없는 자 편에서 싸웠던 체 게바라의 '혁명의 수염'이 더욱 그리워진다.


671010-XXXXXXX

내 주민등록증의 찍혀있는 앞자리 숫자는 '671010'이다.
 그렇다면 671009는 어떤 숫자일까? 내가 태어나기 딱 하루 전 날, 
 1967년 10월 9일은 어떤 날이었을까? 

671009, 체 게바라가 태어났다

ImageProxy.mvc?bicild=&canary=nVKHs6jlDm
▲  체 게바라. 사진은 1960년 3월 5일 사진작가 알베르토 코르다(Alberto Korda)가 찍은 것
ⓒ Wiki commons

관련사진보기

프랑스의 실존주의 철학자 사르트르는 체 게바라를 "20세기 가장 완전한 인간"으로 칭송했다. 1967년 10월 9일은 영원한 혁명가 체 게바라가 세상을 떠난 날이다. 그는 아르헨티나 출신이지만 고통 받는 민중의 해방을 위해 피델 카스트로와 함께 쿠바혁명을 성공시켰다.

쿠바의 재무장관과 국립은행 총재까지 역임했지만 그는 어느 날 또 다시 한 통의 편지만 남긴 채 혁명의 길로 뛰어 들었다. 아프리카 콩고에서 게릴라 활동을 했고, 잠시 쿠바에 들렀다 최종 목적지로 향한 곳은 바로 중남미대륙의 볼리비아였다. 그는 "혁명은 개인보다 중요하고, 개인은 세계 어디든 부정이 있을 때 이와 맞서 싸워야 한다"는 신념으로 게릴라가 되어 볼리비아 정글 속으로 뛰어 들었다.

하지만 낮선 땅에서 변변찮은 무기도 지원군도 없는 투쟁은 그리 오래 버티지 못했다. 1967년 10월 9일 그는 볼리비아군에 생포 되어 차코라는 마을의 조그만 학교에서 39살이라는 젊은 나이로 총살됐다. 가슴 속에 항상 불가능한 혁명을 꿈꾸던 영원한 혁명가 체 게바라는 '671009'에 우리에게 혁명의 정신을 남기고 영원한 여행길로 떠났다. 

"우리 모두 리얼리스트가 되자. 그러나 가슴 속에는 불가능한 꿈을 가지자."

그가 던진 이 말은 나의 가슴 속에 들어와 좌우명이 됐다. 발은 항상 현실에 딛고 살지만 가슴 속에는 항상 불가능한 꿈을 꾸라는 말은 퍽퍽한 일상에 항상 에너지를 갖게 한다. 가장 이상주의자적인 삶을 살았던 사람이 가장 현실주의자였다니 조금은 의외이기도 하다. 20대 초반 우연히 접한 그와 관련된 책에서 이 문구를 발견하고 그를 좋아하게 되었고, 그 뒤로 지금까지 내 인생의 가장 강력한 나침반이 되었다. 

~ 671009 그리고 671010 ~

어쩌면 체 게바라는 나에게 운명 같은 존재일지 모른다. 혁명을 위해 태어나 혁명적으로 살다 사라진 이 사내가 죽은 다음 날, 내 인생은 시작되었으니까.

혁명의 수염. 나는 그의 수염을 이렇게 부르고 싶다. 체 게바라의 수염은 그 당시 게릴라 활동의 상징이었으며 혁명의 상징이기도 하다. 실제 그의 혁명동지 피델 카스트로는 혁명이 성공할 때까지 자신의 수염을 깎지 않겠다고 공표 했었다. 그만큼 그들에게 수염은 혁명과 연관되어 있었다.

재미있는 사실은 피델 카스트로는 쿠바 혁명 성공 후에도 수염을 길렀다. 어쩌면 그의 혁명은 아직도 현재진행형인지 모른다. 체 게바라가 살아 있었다면 50여 년의 혁명 동지인 두 남자의 수염이 볼만했으리라는 상상을 해본다. 쿠바 정권도 지금처럼 피델의 동생 라울 카스트로가 아닌 체 게바라 정권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의료민영화 문제가 수면 위로 올라오고 있다. 박근혜 정부는 의료 영역의 영리화와 민영화를 슬그머니 추진하려는 모양새다. 보건복지부는 의료법인이 수행 가능한 부대사업에 외국인 환자 유치업, 여행업, 목욕장업 등을 추가하는 '의료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을 오는 19일에 공포·시행할 예정이라고 지난 16일 밝혔다.

Comment '2'
  • 청중2 2014.09.19 18:53 (*.65.249.128)
    민영화는 부자들만이 원하는
    그야말로 천민자본주의의 가장큰 폐해

    그야말로 돈 가진자들와 재벌들이 투자하여 돈 챙길 수 있는
    가장 안정된 투자처가 병원이다

    모든걸 기득권층과 부자들에게 양보한다해도
    인간의 질병의 고통을 이용해 돈챙기는 병원 영리화만은 막아야 하는 데 ...
    상당수 궁민들이 영리화의 의미조차 모른다 ... 방송 언론에서 그 폐해를 감추기 때문이다
  • 존경 2014.09.20 03:33 (*.178.113.95)
    체게바라 진짜 존경할만한 분이네요
    이런지도자 필요한 떄입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788 미녀와 야수 .^^ 8 file 2009.11.03 6055
6787 언약궤와 예수님 2 노동환 2012.12.25 6055
6786 저녁노을 2 file 콩쥐 2012.09.14 6054
6785 라면..... yo 2001.02.20 6053
6784 이거 악보 맞대요...-_-;; file 삐약이마니아 2005.02.01 6052
6783 인공날개로 하늘을.. 5 꽁생원 2012.04.22 6052
6782 성공회대학교 4 file 콩쥐 2012.09.26 6051
6781 은모래님 자중 하셔야 하겠습니다 17 아이브 2011.11.24 6050
6780 철학자들이 연구한 여자.... 30 철학연구 2011.08.01 6050
6779 돈준다고 했더니 2015.12.04 6049
6778 스타들아 이번에도 좀 나서라 6 정여립 2011.02.11 6049
6777 천국, 지옥, 원죄, 자범죄 - 불국토, 윤회, 습, 업 에 대하여 2 소르 2008.09.07 6048
6776 오사카, 교토여행 후기...오멘. 4 file 콩쥐 2008.06.20 6048
6775 눈이 엄청와요, 지금 2 file 콩쥐 2012.12.05 6048
6774 개복숭아 file 콩쥐 2012.06.10 6048
6773 그림2 3 file 2013.01.07 6047
6772 꿈해몽 부탁 - 비행기 추락 7 ganesha 2010.06.14 6044
6771 대구아가씨....2 file 콩쥐 2008.10.26 6043
6770 휴대전화 비밀번호 알아내는 법 10 아이모레스 2006.10.26 6043
6769 2009년 한의사 시험문제 19 2009.12.26 6040
6768 기타협주곡 3 file 오모씨 2004.06.10 6040
6767 대건안드레아님~ 천주교 강화성당 3 file 콩쥐 2012.06.26 6037
6766 우... 이런건... 1 랑이 2002.10.28 6036
6765 태극기... 1 휴... 2004.02.12 6033
6764 강화도 여행 혼자가도 되나요? 7 솔로 2012.06.24 6033
6763 클래식 기타도 치면 손끝이 딱딱해 지잖아요 3 AMAPULA 2012.06.25 6031
6762 소방차-통화중 대중가요 2015.04.02 6030
6761 [펌] 아버지 그리고 어머니.. 3 그놈참 2004.03.18 6030
6760 마이클잭슨이 한쪽귀를 잘라 코를 세웟다는군요... 3 file 2004.08.23 6029
6759 행복한 하루! 1 햄톨 2004.09.03 6028
6758 깨달음 주는 글 좋은글 2015.02.26 6025
6757 이 동영상 있나요? 2 file 콩쥐 2012.08.29 6025
6756 alban berg quartett 사진입니다 1 file 2008.05.16 6023
6755 요즘 환타 광고... 4 file Ceo. 2005.10.09 6018
6754 설날특집...............코페르니쿠스이후 가장 큰 발견. 4 2004.01.24 6018
6753 I DON,T HAVE A FORTUNE WITH MY NOTEBOOK ? (THE EXPECTIVE LIFE OF COMPUTER ?) ESTEBAN 2012.03.30 6017
6752 독일과 이태리 청년정책 타임즈 2015.05.19 6016
6751 어제 있었던 일 사건 2015.04.19 6016
6750 들꽃 잔잔 2015.08.31 6014
6749 즐겁게 논다는건... 4 김동현 2003.04.02 6014
6748 톨스토이의 말중에.. 3 마왕 2004.03.15 6013
6747 존엄하게 죽을 권리 - 연명치료거부사전의향서 꽁생원 2015.04.04 6013
6746 마스크의 장점과 단점(잘못 알고 있는것) 1 에스떼반 2021.01.27 6011
6745 부산 이래도 되나 1 정여립 2011.02.19 6011
6744 기타가 레파토리가 적은 악기라구 하지만.. 3 하루 2002.11.01 6011
6743 이순신 종가(宗家)의 비극 - 개인재산(소유) 국보급 문화재 관리의 문제 ? 마스티븐 2014.01.19 6010
6742 니가 가라~중동 중동건설 2015.03.21 6010
6741 과거 그리고 현재 2 file 콩쥐 2012.11.25 6009
6740 혼자보기 아까운 동영상 2 콩쥐 2014.06.09 6007
6739 닭잡기게임 오류발생.... 이런 일이... 6 file 딸기 2004.02.06 6005
Board Pagination ‹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