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한국어

쉘락과 우레탄의 각각의 장단점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흔히 쉘락칠은 자연칠이라 하여,  일반 아마추어들 사이에서 더 선호하는 마감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라미레즈나 베르나베 같은 명기 들이 우레탄 칠을 하는거보면

우레탄이 반드시 나쁜거라고만은 볼 수 없는 듯 합니다.

쉘락과 우레탄마감이 악기 소리에 있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아시는 분 있으면

지식 좀 공유할 수 있으련지요?

 

Comment '8'
  • 언니 2013.06.30 06:54 (*.172.98.150)
    수백년간 쉘락칠을
    악기에 써온것은 그 효과가 좋아서죠....
    입증할 충분한 시간이 있었다고 봐요.

    최근에 공업이 발달하면서 락커를 쓰기도 하는데
    락커는 일액형으로 칠과 신너의 구성이고,
    우레탄보다는 락커가 더 악기에 선호하는 칠이죠.
    우레탄보다 칠이 덜 딱딱해서 악기에 더 어울리는듯해요.

    더 최근에는 우레탄이라는 화학칠이 나왔는데
    칠과 경화제 그리고 신너의 이액형으로 
    대량생산등등에 편리한 화학칠이라고 보시면 되요...
    칠 자체는 우레탄이 엄청 딱딱해요.

    악기에서 추구하는게 뭔지는 원하는분들마다 다르거고요...
    딱딱하고 튼튼한 외관을 원하면 우레탄을 선호하겠죠.
    악기점에 있는 대부분의 연습용 합판악기는 우레탄입니다....
  • 가오리물낙지 2013.06.30 09:00 (*.222.86.151)
    새집님 글에서 퍼왔습니다.
    알마기타의 김희홍님의 말을빌리면
    쉘락은 기타나무표면에 멍석을 까는거고 락커는 비닐장판을 까는거고 우레탄은 시멘트를 바르는거다.
    라는 말이 실감납니다. 즉 쉘락은 좀 두텁게 올려도 멍석의 성질이 있어서
    소리가 멍석의 틈새 사이로 잘새어 나오는 구조란 거지요.(즉 나무진동을 덜 방해하는..)
    그렇지만 우레탄이란 시멘트는 아무리 얇게 발라도 시멘트의 단단함을 뚫고 나오는 소리겠지요..
    (즉 나무진동을 방해하는..)
    ---------------------------------------------
    꼭 쉘락이 좋다 우레탄이 나쁘다하는 공식은 없는 것 같습니다.
    재료의 차이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제작자의 경험 노하우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연주자이겠죠..
    제가 소장한 기타중에 쉘락 우레탄 기타가 있습니다. 앞뒤판 소재는 동일하지만 우레탄은 뒷판이 합판이네요..
    아무래도 뒷판차이때문에 정확한 비교는 어렵지만 소리는 쉘락기타의 압승입니다.
    음량, 음의 풍부함 등등 비교가 안되더라고요.. 그것이 재료의 차이인지 칠의 차이인지는 모르겠지만요..
    하나 확실한 것은 동일음을 탄현하고 앞판에 손을 대보면 위의 글처럼 쉘락기타는 진동, 소리가
    표면으로 잘 잔달되는 느낌이 있지만 우레탄은 칠때문인지는 몰라도 앞판에서 잔향이 먹히더군요..

    참 기타라는 것이 어려운 것 같습니다. 사실 칠하나로 따지기에는 변수가 너무 많아요..
    그래도 쉘락이 무엇인가 음을 방해할 요소가 적을 확률이 높은 것은 사실인듯 합니다.
    하지만 음을 방해할 요소가 적다는 것이 꼭 좋은 기타를 담보하는 것은 아닌듯하네요..
    사실 제가 주력으로 쓰는 통기타도 올합판이지만 이제까지 많은 기타와의 비교에서 좋은 성과를 내었습니다.
    결론은 기타를 스팩으로만 비교하지 말고 그냥 다 잊어버리고 쳐봐야하지 않을까 하는 점입니다..
  • 2013.06.30 11:59 (*.151.135.36)
    칠종류의 우열이라기 보다 그 음악쟝르에서 요구하는 음색문제가 아닐까 봐요.
    클래식기타에서 셀락을 최고로 치는 이유는 그 음색이 클래식음악에
    맞아서 이겠지요. 그러나 셀락칠 클래식기타를 어쿠스틱이나 쓰리핑거
    연주곡에 쳐보면 음색이 그리 딱 맞지 않는 경우도 많다는걸 알수있지요.
    오히려 우레탄칠 기타음색을 더 좋아하는 쓰리핑거 연주자도 있을 겁니다.
    칠을 실제 벗겨보면 ..셀락은 마치 풀을 칠해놓은듯이 부스러지고
    락커는 찰떡(?)을 칠해 놓은듯 끈적거리고 우레탄은 플라스틱을 입혀놓은듯 단단합니다.
    우레탄이 울림을 저해한다기 보다 딱딱한 강도에 따른 특유의 음색을 낸다는 생각입니다.
    판은 전체가 울리므로 그위에 올라앉은 칠은 같이 진동하지 울림을 저해하는 개념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우레탄 기타중도 음량이 아주 큰기타도 많음이 이를 말해주지요.
    지구의 지각판위에 14억인구가 있든 20억인구가 있던 지각의 흔들림은 별차이가 없을 겁니다.
    레셀이 우레탄 입혀놓은 라미레즈를 좋아하다고 그러던데 각자의 음색취향의 문제가 아닐까요?
  • 최동수 2013.06.30 12:27 (*.106.215.160)
    jelee님,
    1년간 근신하느라 글을 올리지 않고 눈팅만 해왔습니다.

    기타매니아의 나이도 어언 10년이 넘었으므로
    근래에 들어오신 분들이 틈을 내서 지난 내용들을 자세히 찾아보신다면
    엄청나게 많은 자료들이 누적되어 있음을 알게 될껍니다.
    이곳에는 전문적인 내용이나 주옥같은 글들이 많이 실려있지요.

    재미 있는 것은 대부분의 질문이 2,3년을 주기로 되풀이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답글을 올리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기타매니아에 한번 올린 글을 되풀이 해서
    다시 올리기가 거북스럽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의 례로 [기타이야기]란의 1373번 [명기에의 길라잡이-2008.08.09]를
    참고로 드려다 보시길 바랍니다.

    쉘락과 우레탄의 장단점에 관해서는 [Q/A] 란에도 여러가지가 실렸지만
    윗글만 읽어보셔도 어느 정도의 궁긍증은 해소되리라 봅니다.
  • 최동수 2013.06.30 12:44 (*.106.215.160)
    그런데...
    [명기에의 길라잡이]는 제목이 말하는 것처럼 기타제작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었습니다.
    당시 댓글방식을 이용하여 연재하다보니, 댓글 312개에 조회수가 14,897회가 됬군요.

    지금 들어가보니 내용이 너무 길어서 7번에 나누어서 저장 되어있네요.
    따라서 쉘락과 우레탄에 관한 내용을 찾으시려면 좀 번거롭게 되었습니다
  • 최동수 2013.06.30 12:50 (*.106.215.160)
    한마디 더 부언하고 싶은데...
    호세 라미레즈, 파울리노 베르나베나 헤르만 하우저에 입혀져있는
    우레탄 같이 보이는 칠은, 제작가별로 성분이 약간 다르기는 하지만,
    우레탄이 아니고 니트로 셀루로즈 락커입니다.
  • 검정콩 2013.06.30 15:25 (*.137.23.26)
    최선생님의 성함을 거의 1년만에 보게 되어 반갑습니다
    늘 건강하셔서
    기타계의 대선배님으로서 유익한 말씀과 경험들을 후배들에게 들려주시기를 바랍니다^^
  • 2013.06.30 23:59 (*.51.218.93)

    최선생님의 유익한 말슴과 경험담 항상감사하게생각하고 있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규입점자 신년이벤트) 기타매니아 홈 메인광고 받습니다(배너제작 가능) 23년 1월 31일까지 file 뮤직토피아 2023.01.19 57817
공지 [공지] 파일 첨부기능에 문제가 있었습니다.. 개선완료.. 뮤직토피아-개발부 2021.02.17 70952
공지 "댓글" 작성시 주의부탁드립니다. 3 뮤직토피아 2020.03.09 86417
공지 "기타메니아" 문자/로고 사용에 관한 건 뮤직토피아 2020.02.14 78152
공지 [필독 공지] 연주회 소식을 메인에 노출을 했습니다. 2 뮤직토피아-개발부 2019.11.02 82824
16677 칭구음악파티 후기 16 file 콩쥐 2012.10.29 11704
16676 최동수님 최근 제작하신 기타. 5 file 콩쥐 2013.07.01 11703
16675 분당 마마세이실용음악대안고등학교 입시설명회 file 마마세이 2012.12.27 11693
16674 파주 방문 10 file 콩쥐 2012.05.20 11691
16673 서울신문에 장대건님 기사가 크게 났네요. 4 file CCP 2013.01.21 11690
16672 이미나 교수 5 이병욱 2011.02.28 11690
16671 우리민요 아리랑 10개 언어 번역 콘서트에 초대합니다~ 3 file JS 2013.11.12 11689
16670 등대지기 악보 구합니다 koo 2014.03.29 11685
16669 멋지고 경쾌한 노랜데 혹시 이 노래 제목 아시는 분 있나요ㅠㅜ 1 준영 2011.11.26 11683
16668 손연재의 환상 2 jons 2012.08.10 11677
16667 스웨덴 음악오디션 콩쥐 2013.04.28 11670
16666 아름다운 <기타매니아> 35 금모래 2012.08.02 11659
16665 마지막 사중주........추천영화 1 file 콩쥐 2013.08.05 11655
16664 최원호 독주회 후기 3 file 콩쥐 2013.09.07 11649
16663 토스티의 "이상"비교 감상( Ideale by PaoloTosti) 스테파노,비욜링,카루소,파바로티, 도밍고 1 마스티븐 2014.03.31 11645
16662 한기연 송년모임(연주회) 10 fernando 2013.12.05 11637
16661 하은이, 하진이가 백지연의.... 5 장형섭 2012.07.03 11635
16660 "라 테라"특별 모임 후기,(임승문 선생 초청) 1 file jons 2013.09.16 11630
16659 이분이 이다 프레스티 맞나요? 1 2013.08.16 11628
16658 콩쥐님 2 재가입 2013.05.14 11623
16657 제주기타페스티발 초청연주자 사진 6 file 콩쥐 2009.05.01 11622
16656 BWV998 fugue, 흔히들 연주자가 악보를 잘못 봤다고 여겨지는 부분 29 file 최병욱 2010.08.19 11620
16655 그리알 듀오 연주회 후기 3 file 콩쥐 2013.10.06 11619
16654 포지션 마크 36 file 쥐언니 2011.04.22 11613
16653 오른손에 문제가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60 아르미 2011.11.02 11613
16652 2013학년도 2학기 대림대학교 평생교육원 기타합주과정 강좌 개강. 과천돌이 2013.09.02 11610
16651 안산에서 모임 가지실분을 찾습니다. 1 진태권 2012.05.29 11609
16650 부산에 고충진 선생님 레슨받을수 있나요 3 dapsiprian 2014.01.10 11609
16649 슈퍼칩을 장착한 박규희 1 콩쥐 2012.07.19 11606
16648 클래식기타 전공하시는분들께 여쭤보고싶은게있습니다 6 수험생 2013.08.25 11594
Board Pagination ‹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572 Next ›
/ 57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