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13.03.31 20:24

동이의 뜻

(*.172.98.142) 조회 수 6309 댓글 2

http://www.youtube.com/watch?v=sbJCsl0KVN4&list=PL06768C3740D04ACC&index=1

 

 

지난번  한번  토론을 했던  동이.

 

바쁜분들은 9분대부터  보시면 될듯.

Comment '2'
  • 묘향씨 2013.04.01 18:11 (*.42.248.225) Files첨부파일 (1)
    진태하씨는 언어학자 인가본데요,,
    [夷] 란 글자가 최초에 만든사람이 어떤 의도를 가지고 만들엇느냐 보다 훨씬 중요한것은 어떤의미로 사용됫느냐! 라 봅니다.

    우선요,, [동이] 란말이 나오는 울나라나 중국문헌을 보자면요,,
    울나라는 삼국사기(12세기) 에 나옵니다,, ( 것두요 중국문헌의것을 인용하려다보니 할수없이 기록한거구요)

    중국은,, 서주시대(기원전 1046~ 기원전 776) 부터 금석문에 나오고요 史書로는
    논어,예기,사기, 전한서,후한서, 산해경,남제서,위서 등 오래전부터 기록되어있읍니다.
    그러면 [동이] 란말이 어디서부터(누구에의해) 씌여진 말인지 이해하시겠지요?

    그리고요,, [夷] 자가 활 잘쏘는 이란 의미라며는
    주나라(기원전 1046~ 기원전 776) 금석문( 구리판)에 기록되있는 동이,서이,북이, 회이 이런거는 어찌해석을 합니까?

    동쪽에 활 잘쏘는, 서쪽에 활잘쏘는, 북쪽에 활~~~~, 이렇게 해석을 합니까?
    차이나족만 활을 지지리도 못쏴서 이렇게 기록했읍니까? ---- 아닌거 아시죠!!! ---

    또요 [夷]자가 오랑케 이자인데 오랑케란 말은 우리나라에서 만 쓰이는거다! ,,, 진태하 씨가 그러는데요
    그러니까 오랑케란 의미는 우리나라에서만 쓰이고 원래는 그게아니다. 이거죠! (은근히 활 잘쏘는 이란 말을 합리화 하려는듯)
    말 장난 하는것 같기도하고요,, ( 중국에서도 오랑케란 의미로 씌여 왔읍니다)

    또 하나 참고 할것은 중국서 시대에따라 [동이] 의 의미가 달라졎고요,,

    --------------------------------------------------------------------------------------------------------------------

    왜! 일부 사람들이 [동이] 란말에 집착을 하는가?
    나름 생각을 해봤읍니다. 충분히 이해는 합니다.

    우리민족의 화려한 고대사를 위해선 [동이]란말이 꼭(반듯이) 필요하거든요
    중국이 우리를 동이 라불렀잖아요,,

    [ 여기가 중요한건데요,,, 선진시대 (진나라 통일前)의 동이와 통일왕조 후의 동이는 완전 다르거든요
    통일 후에 비로서 우리를 동이족이다 칭한겁니다.

    통일 이전은 지네덜 차이나족끼리도 동이란 말을 쓴겁니다.]


    그니까 이걸 구분을 해야되는데,,, 동이란 말만 나오면 전부 우리민족과 관련있다이다 이러는거죠,,
    몰라서 안하는건지, 어쩐건지 ,,,,

    또요 동이족이 우리 한민족 만을 뜻하는것도 아니잖아요,,


    대체로 화려한 우리의 역사를 주장하는 단체나, 기타 사람들에의해서 [동이] 란 말이 자주 씌여지는데요,,
    한번 곰곰히 생각을 해봐야 되는것 아닙니까?


    차이나 족들에의해 씌여지기 시작한 단어,, [동의] 란 말을 ,,, 우리가 무분별하게 사용하며
    중국사서에 동의란말만 보면 저거 우리꺼다 주장을 하면요,, 중국사람들이 어ㅉㅣ생각할지요,,

    강단 학자중에서도 재야로분류되는 윤내현 교수도 그정도는 다 구분을 하드라구요,,
    동이를 구분 뫁하는( 안하는건지 몰것지만요) 사람들은 소위 환빠로 불리는 사람들 일겁니다.
  • 묘향씨 2013.04.04 08:38 (*.42.248.215)
    사견을 달자면요,,,

    [夷] 란말에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한부분도 분명있음니다.
    그런데 그것은 나름 어쩔수없는 이유때문일거라 봅니다.

    차이나족들 후손들은,, 자기 조상들이 동이니,서이니 하며 서로 안좋은 표현을 해가며 으르렁 거렷지만
    합쳐진 이후에는 다같은 자기들 조상들인거죠!

    그래서 이[夷] 란 글자에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한게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조상들이 오랑케 비슷한의미로 서로 사용했으니까요)
    그부분을 희석시키기위해서,,

    통일왕조가 성립하며 그때부터 우리 예맥,韓,등을 가리키는 고유명사가 된거구요,,
    ( 말갈도 포함되구요 말갈은 후에 북방민족으로 분류하기도 했구요)

    이때는 사마천의 황제사상,중화주의 사상등에 입각하여 자신들 이외에는 모두 야만스러운,, 그랫던거죠
    통일왕조 이후 우리민족을 동이라 부르기 시작했지만 얕잡아보고 부른게 명확합니다.

    ---------------------------

    긍정적인 의미는,,

    다시 반복하는것 같지만요,, 우리민족을 동이라부르기 이전에 지덜끼리 동이니,서이니 하던부분을 희석시키기위해
    긍정적인부분을 부여한것같구요,,( 우리민족을 염두에 두고 긍정적인 점을 부여한게 아니라,,)

    근데 우리가 그부분을 잘 이해를 뫁해서 동이는 좋은 말이니 어쩌니,, 중국 사서에 좋은의미가 있느니,어쩌니
    그러는것 갔읍니다.

    좀 이해가 가셧는지요,,
    아닌것 같다하면,, 다른 의견을 같고 계시면 말씀을 해주시고요,,
?

  1. 인턴, 레지던트

    Date2013.06.04 By콩쥐 Views5186
    Read More
  2. 껌 한통 다 먹더니....

    Date2013.06.03 By콩쥐 Views4964
    Read More
  3. 방사능 공포

    Date2013.06.03 By꽁생원 Views5467
    Read More
  4. 바둑은 왜 9단까지?

    Date2013.06.02 By콩쥐 Views5608
    Read More
  5. 팥빙수의 계절이 돌아왔어요.

    Date2013.05.31 By콩쥐 Views5144
    Read More
  6. 동네에 유물이 발견

    Date2013.05.31 By콩쥐 Views4948
    Read More
  7. 각나라별 대학등록금

    Date2013.05.30 By콩쥐 Views6773
    Read More
  8. 천원식당

    Date2013.05.28 By꽁생원 Views5566
    Read More
  9. 유세차

    Date2013.05.24 By목성 Views4859
    Read More
  10. 해외에서 만난 한국인

    Date2013.05.20 By꽁생원 Views6360
    Read More
  11. 낚시, 이정도는 잡아야........

    Date2013.05.17 By낚시 Views5879
    Read More
  12. 스페인어

    Date2013.05.17 By스페인 Views5644
    Read More
  13. 할머니와 전화

    Date2013.05.11 By콩쥐 Views5456
    Read More
  14. 노래와 영상

    Date2013.05.11 By노래 Views5488
    Read More
  15. 손연재

    Date2013.05.10 By콩쥐 Views6025
    Read More
  16. 소수(prime number) 동영상 어디있는지 아세요?

    Date2013.05.09 By콩쥐 Views5027
    Read More
  17. 출근길

    Date2013.05.09 By콩쥐 Views5314
    Read More
  18. 한반도의 공룡........ebs

    Date2013.05.09 By콩쥐 Views8267
    Read More
  19. why must we eat the animals?

    Date2013.05.05 Byanimal Views5384
    Read More
  20. 시골 닭가족 ,병아리

    Date2013.05.05 By시골 Views5761
    Read More
  21. 섬소년님 사진

    Date2013.05.03 By콩쥐 Views6149
    Read More
  22. 미니어쳐 바이올린

    Date2013.05.01 By최병욱 Views6528
    Read More
  23. 드라마인지 홈쇼핑인지

    Date2013.05.01 By쇼핑 Views6755
    Read More
  24. 저가 항공사 요금의 함정 ? Vueling-The Good, Rayan Air -The Bad

    Date2013.05.01 By마스티븐 Views8473
    Read More
  25. 일현 기타

    Date2013.04.29 By꽁생원 Views5991
    Read More
  26. 클래식 기타아 연주와 함께하는 노래,스페인어권의 음악, 언어에 관심있는분들을 위한 카페를 개설 했습니다

    Date2013.04.29 By마스티븐 Views5650
    Read More
  27. 강미진의 오랜습관

    Date2013.04.28 By콩쥐 Views6489
    Read More
  28. 원근법

    Date2013.04.25 By콩쥐 Views5329
    Read More
  29. 문익점과 목화

    Date2013.04.22 By실과 실크 Views5369
    Read More
  30. 지구인이라면 꼭 보아야할 다큐 !!!

    Date2013.04.10 ByESTEBAN Views5698
    Read More
  31. 선진국의 위엄

    Date2013.04.09 By꽁생원 Views9116
    Read More
  32. 학습과 세월

    Date2013.04.08 By한여름 Views5544
    Read More
  33. 멕시코 요리 Fish Tacos ( Tacos de Pescado)

    Date2013.04.07 By조국건 Views7107
    Read More
  34. 물수건

    Date2013.04.05 By수건 Views5118
    Read More
  35. Voodoo Chile-Jimi Hendrix / Gayageum ver. by Luna

    Date2013.04.01 By묘향씨 Views7047
    Read More
  36. Date2013.04.01 By콩쥐 Views5299
    Read More
  37. 동이의 뜻

    Date2013.03.31 By콩쥐 Views6309
    Read More
  38. 유투브 동영상 나오게 하는 법

    Date2013.03.30 By꽁생원 Views6932
    Read More
  39. 아이패드의 진화

    Date2013.03.30 By정말 Views5559
    Read More
  40. 왜 그럴가요...

    Date2013.03.29 By매직 Views5334
    Read More
  41. 화가의 물감

    Date2013.03.23 By콩쥐 Views5995
    Read More
  42. 피카소와 기타

    Date2013.03.20 By리브라 Views13447
    Read More
  43. 우연이지만..

    Date2013.03.14 By Views5250
    Read More
  44. 우리의 몸

    Date2013.03.14 By콩쥐 Views5680
    Read More
  45. 수업

    Date2013.03.13 By콩쥐 Views5024
    Read More
  46. 기타라서 안심

    Date2013.03.12 By콩쥐 Views5874
    Read More
  47. 찬드라세카르

    Date2013.03.12 By콩쥐 Views6232
    Read More
  48. 안또니오 데 또레스 고향 집(공방)방문기 -현재는 CASA MUSEO로 명명이 되어 있습니다.

    Date2013.03.12 ByESTEBAN Views5365
    Read More
  49. 사랑

    Date2013.03.10 By콩쥐 Views5887
    Read More
  50. 파이 이야기

    Date2013.03.05 Byganesha Views5649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