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지난주 금요일  PADRE  de la Guitarra Espanola Moderna(현대 스페인 기타의 아버지)라고 칭하는

안또니오 떼 또레스의 고향 의 살던집(공방)과 1999년에 세워진

그의 기념 흉상위에는 그의 유명한 작품 또레스가 마치 사자가 표효 하듯하는 소리를 낸다고 하여

Leon(사자)이라고 이름이 붙혀진 사자 머리가 기타아의 헤드머신에 올려져 있는데

독특한 기념비 를 보러 바람도 쏘일겸 .MONUMENTO TORRES 2.jpg

최동수 선생님께서 기타아에관한 책을 집필중이신데

말라가에서 알메리아까지 제가 가장 가까이 산다고 다녀 오기를 부탁 하시길래

요즘 답답한 일로 어디 머리 식힐 일이라도 없을까 하던 차에

기꺼이 다녀 오겠다고 여행길에 나섰습니다.

 

지도상의 거리로는 200Km 가량이지만 일부 고속도 구간 이외에는

주요 해안가 마을을 거의 다 지나면서 승객을 태우느라 정차하고

또 겨우 200km주행 거리인데 중간 지점에서 무려 30분이나 휴식을 하길래

이렇게 가까운 거리에서 뭘 그렇게 오래 정차 하느냐고 물으니

이게 규칙 이랍니다.(안전운행을 위한???)

말라가의 동쪽 끋 마을이 Nerja(유럽의 발코니) 라고 불리는 마을을 지나면

그라나다 지방으로 들어서는 첫 도시가

Almunecar그 유명한 Andres Segovia 콩쿠르가 열리는 곳이죠,

이곳을 지나 해안 도로로 드라이빙 하기에도 좋아 보이는 곳입니다만

탁 트인 푸른 바다만 바라보다가 아차 순간 잘못하면 위험해질

해안 절벽 바로 옆을 달리는 구간도 알메리아 지방에 들어가기까지 이어 집니다.

 

알메리아는 이베리아 반도의 중심부에 위치한 수도 마드리드로의 접근성으로 보면

가장 동남쪾 끋에 위치한 두메산골 같은 위치 이네요,

우선 고속철이 말라가까지 연결 이후 동쪽의 알메리아(Almeria)와

서쪽의 까디즈(Cadiz) 까지 연결이 안되니 접근성으로 보면 그렇습니다.

지형적으로 보면 아주 오래된 나이를 많이 먹은 지역으로

산에는 나무 한포기 안 보이는 황무지 같은 전경 이 이어 집니다.

 

오히려 마드리드나 바르셀로나 발렌시아 등지에서 비행기로

알메리아 공항까지 날아오면 공항에서 또레스의 기념비가 있는곳까지는

택시로도 그렇게 요금이 나오지 않을만한 거리이니 혹

여행계획이 있는분들은 참고 하시고...

이렇게 버스로 알메리아 시내 항구와 바로 옆에 붙어 있는

버스터미널에 도착하니 무려 5시간이 걸리네요,(말라가로 돌아 가는길은

정차 구간이 많이 줄어 들지만 그래도 4시간이 거렸습니다.)

 

항구 바로 앞에 버스터미널과 열차 역이 붙어 있고

해변까지는 역사위의  구름다리를 거쳐 도보로 약 5분 거리

터미널을 나오면 또레스의 기념비가 있는

Plaza canada(까냐다-특수문자 타이핑이 안되어서..) de San Unrbana까지 가는

22번 버스가 평균 70분 간격으로 한대 있고

그곳에서 시내 안쪽으로 3-4분 걸어가면 20번 버스가 있는데

좀더 자주(평균25분?) 있습니다.

버스로 약 40분 가량이면  Antonio de Torres의 CASA MUSEO와 기념비가

있는 마을 "까냐다 데 산 우르바나"(Canada de San Urbana)에 도착하니

 피곤할만도 했지만 원래 겨울철에 비가 자주 오던것이

 1주 내내 비가 오다가 Almeria 가는 날만 햇살이 창창한 다소 더운듯한

봄날씨 덕에 깨끗한 사진을 얻게 되어 다행으로 생각 했고 해바라기가

육체에 비타민 공급과 함께 피로 회복에도 명약인가 봅니다..

(1주일 단위 장기 에보도 평소보면 비교적 잘 맞길래

호우주의보가 내려 일부 구간은 인명피해도 났었지만  예보를 믿고

표를 미리 사두고 그날 갔다가 돌아오고 나니 다시

비가 오기 시작하더군요, 

 

22번 버스가 교회 앞의 조그만 광장에 또레스의 기념비가 있는곳

맞은편 길에 정차하니 찾으러 걸을일도 없어서 좋았습니다.

CASA MUSEO도 바로 옆길 안쪽 50여 m만 들어가니 있습니다.

이 CASA MUSEO는 13:30분경이면 문을 닫으니( 시에스타를 위해?)

그 전에 도착하도록 해야 겠지요, 

 

우선 광장에 있는 또레스의 기념비부터 근접, 전경과 함께, 흉상부분만 접근하여

촬영을 마치고 CASA MUSEO로 향했습니다.

인터넷이나 여러 책자등에 나와있는 정보가

이 CASA MUSEO의 번지수가 80으로 나와 있는데 잘못된 정보여서

하마터면 코 앞까지 와서 못보고 갈뻔 했습니다.(58번지)

골목길을 아래 위로 오가면 찾다가 누가 오길래 이야기를 하니

그 사람이 바로 CASA MUSEO의 관리와 또한 Antonio de Torres를 기리는

사람들의 협회 회장이 자기 아내라고 그러면서

이미 문을 닫았는데 열어 주고서 죽 설명을 하면서 필요한 촬영을 모두 할수 있게

다행이고 감사하게 생각 했지만

 

Antonio de Torres의 유품이라고는 단 두개 남아 있는 작업 연장,

그리고 다목적용으로 쓰는 가구 뿐이였고 오래된 사진 자료 몇점과 기념패, 감사패..

MUSEO박물관이라는 이름을 붙이기에는 너무 초라하고 창피하기도 하고

또한 안타까워 보였습니다.

 

Antonio de Torres의 증손자까지 제작을 했었는데

일본의 재벌 수집가에게 이미 많이 넘어가 있었지만

그래도 증조 할아버지의 작품을 비롯 상당수가 남아 있었지만

끈질긴 인사와 찾아 오면서 증손자가 사망 몇년전에는

백지 수표를 내 밀면서 원하는대로 쓰라고 하니

결국 남아 있던 모든 안또니오의 작품들을 비롯해

원래 그곳에 있어야 할것은 정작 텅빈 모습이여서 서글픈 생각까지 들더군요,

 

좋은 면으로 말해주면 돈많은 재벌이 문화적인 투자에 아끼지 않으니

온갖 방법으로 부를 늘리고 세금 않내고 후세에 물리는 한국의 재벌을 생각하면

훨씬 바람직하기도 하지만 일본의 한 두 재벌급 수집가들에 의해

원래 있어야 할곳에 있을때 그 가치가 더 빛이 나는것이 모두 다 사라지고 없으니

또한 그 몇몇 수집가들에 의해 유럽의 악기 값들이 대폭(특히 알려진 명기급)

오르게 되는데 공헌을 하였으니 정작 연주를 위해 필요한 많은 아티스트들이

악기 구입에 더 어려워지게되는 상황을만든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고..

돌아 오는 길이 이런저런 생각에 다소 씁쓸 했습니다.

 

1주일 가까이 구름끼고 비가 계속 오다가

구름한점 없었던 눈부신 푸른 하늘을 보며 해변가 바람을 맞으며

잠시 산책을 하다가 돌아갈 시각이 다 되어

말라가로 향하는 버스에 몸을 실었습니다.

저녁 노을과 구름 사이로 마치 바다에 스포트라이트를 쏘듯이

떨어지는 신비해보이는 햇살과 아름다운 저녁 노을의 모습으로  위안으로 삼으며

무사히 돌아 왔습니다.2013-03-08 14.07.24.jpg

Antonio de Torres 흉상부분 최접근 촬영

 

2013-03-08 14.13.36.jpg

                           EL AYUNTAMIENTO DE ALMERIA

                      a D. Antonio de Torres Jurado

                          (1817-1899)

                       genial guitarreo

                   Padre de la guitarra espanola moderna

                 Hijo insigna de la Canada de San Unrbano

               San Unrbano의 아들  현대 스페인 기타아의 아버지 천재 기타아 제작가

                Antonio de Torres를 기리며 라고 쓰여 있군요,

 

 

2013-03-08 14.15.26.jpg

Comment '3'
  • 콩쥐 2013.03.12 08:01 (*.172.98.142)
    esteban님이 젤로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계시네요...
    부럽습니다.
  • 박물관의 기타사진은 없지만(촬영이 금지된 것인지) . . 전설적 제작가를 향해 가까히 가셨다니, 몇가지 사진 만으로 감동이 됍니다 ...

     

    사진, 2장 활성화 합니다 ..

     

     2013-03-08 14.05.26.jpg 

     

    2013-03-08 18.44.30.jpg

  • ESTEBAN 2013.03.12 18:40 (*.58.250.82)
    정확한 명칭이 "CASA MUSEO"입니다.
    몇년전에 증손자가 8순이 넘어 사망하기 전에 일본의 재벌수집가의
    백지수표에 그때까지만 해도 남아 있던것이 모두가 넘어가고 난
    빈집이나 다름 없었습니다.
    현재 8순의 증손녀가 살아 있다는데
    황금 앞에 누구나 아무리 귀한 가치가 있는 조상의 명품도
    견뎌 나지를 못하고 넘어 가고 말았네요,
    유명한 Leon(사자)라고 별명이 붙은 작품의 실물크기와 같은 사진만
    남아 있고 그외에
    오래된 사진 자료 몇점, 기타아는 단 한대도 없고
    광장의 기념상위에 올려진 Leon("사자"-같이 표호 하듯하는 소리를 낸다고 하여
    그렇게 이름을 붙였다고 합니다.)명품 기타아도 Antonio는 연주가인 자기 친구가
    가져 가길 바랬는데 1년동안 그냥 빌려서 쓰다가 돈이 없어 이 전설의 명기는
    결국 돈만은 다른 수집가에게 넘어가고 말았다네요,

    플라멩코를 좋아하는 애호가들이 모여서 가끔 연주가들을 초청하여
    연주 모임을 가지는 정도....
    알메리아 시에서도 다 넘어가고 난 뒤에 박물관이라는 조그만 현판하나
    붙히고 기념상 하나 광장에 세운것인데 조금만 서둘러 증손자가 살아 있을때
    단 한대만이라도 시 예산으로 구입하여 보존을 할수 있었더라면...
    여러모로 아쉽고 씁쓸한 생각이 드는 방문 이였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37 조중동의 종편 진출을 반대하는 이유 하나 29 file 꽁생원 2011.01.01 5253
6236 조중동 중 중이 중인가? 4 쏠레아 2009.12.11 4155
6235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6 file 콩쥐 2005.12.12 3696
6234 조정된 노을 1 file niceplace 2004.10.02 3389
6233 조율기 - 299$ file 꽁생원 2013.12.25 5659
6232 조원진 이완영 의원 1 국정조사 2014.07.12 5248
6231 조용한가 했더니 조용 2014.06.06 3327
6230 조언을 구합니다. 5 팝콘 2004.06.18 3805
6229 조씨 드디어 존경심...... 19 희경쓰 2004.03.03 5028
6228 조선총독부 최후의 25일 1 총독부 2015.08.15 3621
6227 조선일보에서 퍼왔습니다. 8 file 지나가다 2008.06.01 4762
6226 조선일보가 분명히 미국소 안전하다고 했죠? 5 file 바른언론 2008.05.13 4058
6225 조선일보 홍보국(?)과 통화-좀 웃자구요!-펌 괴담아니네! 2008.06.05 3430
6224 조선일보 일본판 보신 적 있으세요? 9 고도의삽질 2007.03.06 3551
6223 조선인 일본인 비교... 속보 2011.07.09 5077
6222 조선이 있다. 1 2003.09.16 3921
6221 조선의 힘! 4 file 오모씨 2004.10.21 3700
6220 조선닭 27 file 콩쥐 2011.06.24 6840
6219 조선, 이래놓고도 돈받고 신문팔 생각하나(오마이뉴스 기사) 18 정천식 2004.04.20 4003
6218 조삼모사-음악캠프편 4 file 정호정 2006.06.16 7099
6217 조모님 근황 3 각시탈 2004.03.10 3960
6216 조만간 다가올 대재앙 8 file 꼭두각시 2004.03.23 4038
6215 조롱이와 따쥐 따쥐 2014.06.30 3196
6214 조깅할만한곳 발견했떠여. 3 file 2005.06.14 3051
6213 조깅하시는 분들을 위한글입니다. 김종표 2001.03.02 4803
6212 조깅을 대신하여.. ganesha 2001.03.01 3920
6211 조깅은. 으랏차차 2001.02.19 3975
6210 조금 있으면 대한민국 총인구는 50만! 15 금모래 2009.07.30 4630
6209 조금 웃기네요 5 file humanist 2003.04.12 5098
6208 조그만 하프시코드 3 SPAGHETTI 2009.03.20 3454
6207 조국건님의 러시안 로망스 글과 관련하여(뽀루꾸) 41 뽀루꾸 2011.01.14 5263
6206 조국건님 아들 케빈의 사진 2 file 콩쥐 2009.09.07 4205
6205 조갑제 - "나라가 망하려면 신문이 하자는대로 하면 된다" 2 집행자 2008.09.16 4153
6204 젤리 file 콩쥐 2015.03.20 5400
6203 제주의 바다 3 file 콩쥐 2009.06.01 3910
6202 제주올레 걷기... 우리시대 새풍속도. 1 file 콩쥐 2009.06.23 4298
6201 제주에 가고프네요... 1 file 콩쥐 2014.07.08 2933
6200 제주도에 가면 올라가봐야하는 오름. 9 file 콩쥐 2009.11.12 4492
6199 제주도를 다녀왔어요 5 밀롱가. 2008.06.01 5864
6198 제주도가 중국 땅이 돼가고 있다 심각하다! 제주도 2015.12.13 3189
6197 제주도 올레길 6 file jazzman 2009.06.22 4585
6196 제주도 돌멩이 8 file 콩쥐 2009.06.24 4147
6195 제주대학교의 자랑....석조물 1 file 콩쥐 2009.06.01 4766
6194 제주대학교 자랑.... 석조물 1 file 콩쥐 2009.06.01 4858
6193 제주걷기여행 file 콩쥐 2009.06.23 3594
6192 제주 올레길 사진 몇장... 2 file jazzman 2009.06.23 4577
6191 제주 올레길 사진 (5) 2 file jazzman 2009.06.23 4377
6190 제주 올레길 사진 (4) 1 file jazzman 2009.06.23 4211
6189 제주 올레길 사진 (3) 1 file jazzman 2009.06.23 3938
6188 제주 올레길 사진 (2) 2 file jazzman 2009.06.23 3248
Board Pagination ‹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