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160.123.162) 조회 수 5174 댓글 8

baejrokdam.jpg



한라산에 올랐습니다. 저는 등산을 그리 잘 하지도 못하고 그리 많은 산을 다녀보지도 못했지만, 한라산은 참 영산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당일치기를 할 수 있다고는 하지만, 정상까지 오르내리려면 하루 종일을 걸어야 하니 그리 부담없이 쓱 다녀올 수 있는 산행은 아니지요.


3년전, 초등학교 4학년인 아들과 함께 한라산에 오를 때는 제가 끌고 올라 갔는데... 이젠 중학생이 되어서 사진에 보시다시피 저랑 키도 비슷비슷한 지경이고 (사진에선 제가 좀 구부정하게 하고 있어서 그런지 저보다 더 커보이지요) 늙은 애비(?)를 냉정하게 버리고 저혼자서 막 쓱쓱 올라가버리네요. 저도 연식에 비해선 체력이 그렇게까지 허접하진 않다고 자부하는데 도저히 못 따라가겠어서, 야!! 천천히 좀 가!! 하는데도 들은 척도 않고 그냥 가버립니다. 매정한 놈 같으니... ^^;;;;


숙소에선 감기 기운이 있다는 둥 그냥 안가면 안되냐는 둥 뻘소리를 해대다가 막상 등산로에 오르니 경쟁심에 불타서 산짐승처럼 내달리네요. 추월을 용납하지 않겠다면서... 결국 정상까지 오르면서 우리를 추월한 사람들은 해병대 분들 10 여명 정도 뿐입니다. 아, 참, 이 분들은 사람이 아니라 군인이네요. ㅋㅋ


정상에 올라서 하늘이 도우사 백록담이 고스란이 다 보이는 인증샷을 찍을 수 있었습니다. 3년전에는 그냥 안개 말고는 아무 것도 안보이는 상황이었지요.


성판악 코스를 왕복했는데 (내려올 때 관음사 코스를 가볼까 생각했지만 렌터카가 성판악에 있는지라) 스스로 놀랍게도 8시간이 채 안걸려서 왕복을 했네요. 지난번에는 왕복하는 데 9시간 좀 넘게 걸렸었는데... 이거 체력 좋다고 자랑하는 거 같이 되었는데, 실은 너무 무리를 해서 지금 아주 골골하는 상태입니다. ㅋㅋ


저로서는 엄청난 오버페이스를 한 셈이라 내려오면서는 무릎도 막 아프고, 발이 꼬여서 자빠지기 까지 하는 주접에다가... (다행히 나무 데크 위에서 넘어져서 크게 다치진 않았습니다. 돌 밭에서 굴렀으면... 어휴... -_-;;;) 아들녀석은 통통 뛰어 내려가는데 저는 무릎이 시큰거려 쌍으로 스틱을 짚으면서도 어정어정 내려오니 완전 할아버지가 되버린 것 같은 느낌... 다행히도 중간에 스트레칭 좀 하고 경사가 덜해지니 그럭저럭 참고 갈만한 정도로 되더군요. 아들 녀석은 아빠만 좀 제대로 내려왔으면 더 빨리 주파하는 건데, 하면서 구박해대고... 예라, 이놈아, 너도 내 나이 돼봐라... -_-;;;;;


아들 자랑만 한 셈이 되었나요? 상당히 힘들었지만, 아직 엔진이 완전 녹슬진 않았다는 걸 확인하고...

담엔 그 힘들다는 관음사 코스를 한번 올라볼 수 있을지...


소박한 꿈이 있다면 체력을 오래오래 잘 보존하여 손자까지 3 대가 한라산을 한 번 올라봤으면 하는... 너무 야무진 꿈일까요. ^^

Comment '8'
  • jazzman 2012.11.12 21:56 (*.160.123.162)
    결정적 순간에 눈을 감아버린 아들 녀석의 손에 들린 것은 바로... '건빵' 봉지입니다. ^^;;;;
  • 콩쥐 2012.11.13 06:08 (*.172.98.197)
    허 ..아드님이 벌써 아빠만큼 컷군요....
    몇년전만해도 정말 아동이엿는데. 좋은시간 갖으셧네요.
  • 주짓떼로 2012.11.13 11:06 (*.143.225.116)

    처음 한라산 백록담에 올랐던게 1980년도니...벌써 32년이 지났네요....
    그 후로 한번도 백록담을 구경을 못했는데....
    덕분에 구경 잘했네요....

    그 때는 백록담에 물이 가득해서 장관이었는데....엄청 깊을거란 생각을.....
    물이 많이 없네요...

    백록담 화구 안에 수풀과 나무들도 많이 우거지고 무성했었는데.....
    심지어는 작은 동물들도 많이 살았었지요.....

  • jazzman 2012.11.14 14:29 (*.241.147.40)
    여름철 비가 많이 올 때는 물이 제법 차지만 보통 겨울철이 되면 보시는바와 같이 물이 거의 마른다고 하네요. 제가 올라간 날 한라산 정상 기온은 거의 0도 가까운 상태였고 (해안가는 15-6도 정도) 군데군데 눈도 소량 있을 정도의 날씨이니 저런 황량한 모습일 수 밖에요. 저 사진 찍은 뒤 불과 10분만에 구름이 밀려들기 시작했는데, 햇볕이 안들고 바람이 좀 불기 시작하니 순식간에 무지하게 추워지더라구요.
  • jazzman 2012.11.14 14:33 (*.241.147.40)
    저는 1985년에 대학생 때 한번 오른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는 가장 짧은 코스인 영실코스로 정상까지 오를 수 있었죠. 지금은 영실 코스로는 윗세오름까지만 오를 수 있다고 하더군요.
  • 주짓떼로 2012.11.14 17:02 (*.143.225.116)
    윗새오름이 정상을 오르기 위한 입구이자 만남의 장소인데.....
    영실 코스로는 정상까지 못오르는군요....새로운 사실이네요....
    풍경은 영실코스가 장관인데.....

    저도 바쁜 아들녀석 데리고 건빵 한봉지씩 들고 추억의 백록담을 한번 보고 싶네요.....
    언젠가는요....
  • jazzman 2012.11.15 09:31 (*.241.147.40)

    아... 네... 자연 보호를 위해 등산로를 폐쇄한지 꽤 오래 된 것 같습니다. 서쪽과 남쪽의 영실, 어리목, 돈내코 코스는 모두 윗세오름까지만 가능한 걸로 되어 있더군요.

    현재 백록담까지 오를 수 있는 등산로는 동북쪽 방면의 성판악 코스와 관음사 코스 뿐입니다. 비교적 평탄한 성판악 코스로 올라가서 경치가 더 좋은 관음사 코스로 하산하는 경로를 많이 추천하시더군요. 근데 성판악에 렌터카가 주차되어 있으니 어쩔 수 없이 올라온 길로 도로 내려가는 거죠. 관음사로 내려가서 택시 타고 성판악으로 이동할 수도 있지만 하산 후의 지친 몸을 이끌고 그렇게 하려면 그것도 영 피곤한 일이라...

    성판악 코스는 비교적 평탄한 편이라 무난하지만 정상 직전의 가파른 계단길 부분을 제외하곤 계속 숲속을 걷는 길이라 탁 트인 경치를 볼 수 있는 곳이 거의 없어서 조금 지겹게 느껴지기도 하더군요. 특히나 지쳐있는 상태의 하산길은요. 평균적인 경사도는 그리 높지 않아도 울퉁불퉁한 돌길이 많아서 제대로된 등산화는 필수입니다. (슬리퍼, 구두는 금지라고 안내문에도 나와 있습니다. ^^;;;;;) 3년전에는 무난하게 다녀왔는데, 요번엔 오버페이스를 해버린 후유증으로 감기가 걸려 골골하는 중입니다. 근데, 오르내릴 때는 고통스러운데, 좀 지나고 나면 또 가고 싶어지는 게 등산의 묘한 매력인 거 같아요. 변태가 되가는 건가...^^

  • 주짓떼로 2012.11.15 09:37 (*.143.225.116)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38 Sitar Boy 19 file ganesha 2009.12.10 5473
1437 1000원짜리 선물?!? 7 nenne 2005.04.02 5474
1436 라면 3 file 콩쥐 2012.04.27 5481
1435 명언 5 file 꽁생원 2011.08.03 5483
1434 디게 재밌어유!!! 21 . 2004.01.12 5484
1433 여러분들은 참패당하셨습니다. 4 찬찬 2011.11.04 5484
1432 [공지] 로그인제의 방식에 대한 의견수렴 42 은모래 2011.11.25 5484
1431 뻘쭘한 동영상.......우유마시는소녀 3 file 소녀 2010.10.05 5485
1430 노래와 영상 노래 2013.05.11 5486
1429 음악 취업자가 들려주는 얘기 취업 2015.09.21 5486
1428 프랑스의 대입(고졸자격)시험문제 5 콩쥐 2013.09.08 5487
1427 섬에서의 하루(1) 17 file 콩쥐 2011.06.16 5489
1426 논문 검색하다... 1 file 김동현 2004.01.15 5493
1425 김제동 최근 강의 <사람이 사람에게> 1 스골 2009.10.17 5493
1424 임재범, UC버클리서 열창…기립박수 받아 file 가요 2011.09.22 5493
1423 양평고에 나타난 고양이 대가족 양평고 2014.07.05 5493
1422 그림 9 1 file 2013.12.04 5493
1421 장독대 1 file 콩쥐 2012.06.04 5494
1420 천하의 사기꾼을 풀어줘 금모래 2013.02.15 5494
1419 요즘 방학이라 다들 떠났군요.... 5 file 콩쥐 2009.07.21 5494
1418 서울대 6 file 콩쥐 2010.04.03 5494
1417 108배의 의미 1 파랑새야 2013.09.23 5495
1416 익명성이 사이트를 좀먹고있습니다. 17 익명 2011.11.23 5495
1415 저녁 사진 5 file 콩쥐 2012.11.16 5497
1414 어느목사가 주는 조언 13 고민 2012.10.01 5498
1413 45년전에 마약을 정기 복용한 경험 30 Esteban 2008.07.20 5498
1412 운영자님 보세요... 11 file 2011.11.25 5498
1411 신의 수 콩쥐 2012.09.04 5499
1410 물방울 file 땡땡이 2011.08.05 5499
1409 기타와 잘 어울리는 하모니카 - Dash - 시골농부 2015.03.30 5499
1408 도굴지도 콩쥐 2013.10.01 5499
1407 6.17 국회. GMO 추방 공동대책위원회 구성 및 식약처 시행령 긴급 대책 회의에 초대합니다. 1 마스티븐 2016.06.10 5501
1406 세종대왕의 '칭구' 2 피아꼴 2011.12.27 5502
1405 L.A. 먹을꺼.. 2 뽀짱 2002.10.04 5502
1404 두얼굴 2017.03.10 5502
1403 가곡 감상 3 아포얀도 2011.01.28 5504
1402 아~~ 4 pepe 2004.02.29 5505
1401 희귀한 과거 사진들 1 file 꽁생원 2014.07.18 5505
1400 장님의 그림. 3 file 콩쥐 2010.09.05 5506
1399 老子 - 上善若水(道德經 八章) 13 磨者 2009.05.15 5508
1398 쏠레아님만 보세요. 15 file chokukkon 2010.02.18 5508
1397 정치 사회 문화 한국계 미국인 리더들의 협회 NetKAL 3 file SPAGHETTI 2011.01.03 5508
1396 통계로 본 우리나라 좋은나라? 1 콩쥐 2014.02.11 5508
1395 생일상 7 file 콩쥐 2011.01.19 5510
1394 박정권 역사공부 2015.06.26 5511
1393 反나르시즘... 5 지얼 2004.03.19 5512
1392 진격의 거인 1 콩쥐 2013.07.23 5512
1391 나는 조선의 옻칠장이다 - 전용복 4 고정석 2009.03.28 5513
1390 종북은 실제로 존재하는가 8 드뷔시 2012.05.25 5515
1389 [re] 홍콩서 만난 하까란다물방울 ? 1 file 2004.09.20 5517
Board Pagination ‹ Prev 1 ...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