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12.09.09 16:49

한국의 중산층

(*.172.98.197) 조회 수 5728 댓글 15

중산층의 기준

△ 한국의 중산층 기준 (직장인 대상 설문결과 )
1. 부채없는 아파트 30평 이상 소유
2. 월급여 500만원 이상
3. 자동차는 2,000 CC급 중형차 소유
4. 예금액 잔고 1 억원 이상 보유
5. 해외여행 1년에 한차례 이상 다닐 것.

△ 프랑스의 중산층 기준 (퐁피두 대통령이 Qualite de vie ‘삶의 질’에서 정한 프랑스 중산층의 기준 )
1. 외국어를 하나 정도는 할 수 있어야 하고
2. 직접 즐기는 스포츠가 있어야 하고
3. 다룰 줄 아는 악기가 있어야 하며
4. 남들과는 다른 맛을 낼 수 있는 요리를 만들 수 있어야 하고
5. '공분' 에 의연히 참여할 것
6. 약자를 도우며 봉사활동을 꾸준히 할 것

△ 영국의 중산층 기준 (옥스포드 대에서 제시한 중산층 기준 )
1. 페어플레이를 할 것
2. 자신의 주장과 신념을 가질 것
3. 독선적으로 행동하지 말 것
4. 약자를 두둔하고 강자에 대응할 것
5. 불의, 불평, 불법에 의연히 대처할 것

△ 미국의 중산층 기준 (공립학교에서 가르치는 중산층의 기준 )
1. 자신의 주장에 떳떳하고
2. 사회적인 약자를 도와야 하며
3. 부정과 불법에 저항하는 것
4. 그 외, 테이블 위에 정기적으로 받아보는 비평지가 놓여있을 것

(  한국인을 이해하기 좋은 기사라서 퍼왔습니다)

Comment '15'
  • 프리덤 2012.09.09 18:45 (*.206.69.175)

    참 서글프지만..... 어쩌다가 20년 남짓 기간 동안에 한국이 이리 되었는지 참....ㅠ.ㅠ

  • 콩쥐 2012.09.09 19:31 (*.172.98.197)
    불가능해보이는 한국기준 말고
    프랑스기준에 비추어도
    역시 중산층은 어렵네요.....ㅎㅎ
  • 대건안드레아 2012.09.09 19:59 (*.193.47.168)
    한국이라는 나라가 슬프네요.
    짐은 하루층이네요
    부채있는 아파트에
    월급여 반도 안되고
    어~자동차는 되네 아니다 네차 1998cc라 안되고
    통장은 항상 마이너스고
    여행은 매년 방콕이니!
    하류층이네
  • 콩쥐 2012.09.10 05:08 (*.172.98.197)
    프랑스기준에 의하면
    대건안드레아님은 중산층......맞죠?
  • 武俠 2012.09.10 11:18 (*.143.225.116)
    좋은 글이네요....
    한편으론 서글픕니다...
    한국은 너무 앞만보고 달려온것 같습니다....

    아침에 차타고 가던중 라디오에서 한국이 OECD국가중 8년째
    자살률 1위를 지키고 있다고 하더군요....
    학생은 성적및 진학관계로....성인은 경제문제로...
    노인은 생활비와 우울증 문제로.....

    TV를 켜면 아이돌들이 나와 거의 벌거벗고..춤추고 노래하고...
    삼촌팬들이라 칭하는 연령층에서 환호하고...
    가수 이은미는 그들을 간접적인 변태자들이라 일컫더군요...
    사실 가족들하고 보기에 좀 민망하긴 합니다....
    옛날사람이라 그런지...
    그게 대세인가 보다 하긴하는데....연예 엔터테이먼트가 상업성이긴 하지만...

    아 그리고 인터넷켜면...왜그리 광고란이나 옆란에 보기민망한 성인광고와 사진과 글들이
    즐비한지....
    청소년들에게 너무 쉽게 노출돼있습니다...
    초등생들도 학교 홈페이지 들어가기위해 인터넷 켜면 검색창화면 옆에 선정적인 광고와
    사진과 글들이 즐비합니다....성인들도 보기에 낯뜨거운데.....
    정부에서 강력히 정비해야하지 않을까요....

    언제부터인가 모르게 성푝행이라는 용어가 생겨났습니다...
    통상쓰였던 용어인 강간,,혹은법률용어인 강간을 순화해서 언론에서 만들었다는 생각도 들고....
    하지만 성폭행이라는 용어는 너무 포괄적이라.....정도의 심각성을
    잃게 만드는 효과도 있습니다....
    중범죄자를 경범죄자처럼 순화해서 들리게 하는...또는 심각성을 줄게하는 역효과도 있습니다...
    요새 왜 그렇게 성인,,미성인을 안가리고 성폭행범이 횡행하는지...
    일그러지고 왜곡된 사회가 그런자들을 잉태하는 것인가요...

    혼란스러워서 주절돼봤습니다...

    윗글의 중산층의 기준은 각 나라의 성격이 잘 나타난 것 같습니다....
    프랑스의 기준은 프랑스 답군요....
    우리나라도 가치 기준도 언제면 저렇게 바뀔지...언젠가 그렇게 되기를 기대해보면서....
    긍정적으로....
  • 콩쥐 2012.09.10 11:28 (*.172.98.197)
    무협님
    성적인 문제를 뉴스의 제일 큰 사건으로 다루는 검은집단이 있습니다.
    그들은 정치를 좌지우지하는 세력입니다. 언론조작을 밥먹듯이하는 세력.
    시민의 눈과 귀를 언뚱한곳으로 쏠리게하는 세력이 실제 존재합니다.
    아무도 그들은 잡을수없습니다 워낙 세력이 커서...
  • 최병장 2012.09.10 20:26 (*.77.121.75)

    우린 말을 믿지않아....증거를 대봐....증거를....어두움의 증거를 데려오란말야

     

    -푸른거탑 중 대사인용-

     

  • 武俠 2012.09.10 21:37 (*.143.225.116)
    최병장님...혹시 성찰님 아니신가요?
    아이피가 익숙하네요....
  • jazzman 2012.09.10 17:08 (*.241.147.40)

    글쎄요, 제가 좀 삐딱한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보는 관점에 따라서는...

    한국인이 물질적인 것 밖에 모르고 속물이다... 이렇게 보일 수도 있지만, 어찌보면 다른 나라 기준들은 전혀 솔직하지 않고 위선적이고 좀 기만적인 데도 있습니다. 프랑스 기준대로 외국어 하나 할 줄 알고, 스포츠도 한가지 이상 즐기고, 악기도 한가지 다루고... 등등 하려면 돈이 엔간히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기본적인 먹고살 걱정은 전혀 안할 정도는 되어야 가능한 일일텐데... 돈은 별로 없어도 저게 다 가능한 사회라면 정말 천국이 따로 없다고 봐야지요.

    미국 기준도 자신의 주장에 떳떳하고, 사회적 약자를 돕고 부정과 불법에 저항한다... 이거는 빈민가에 살아도 가능할 수도 있는 일인데, 물질적 기반을 다 부정하고 니가 맘만 그렇게 먹으면 중산층이다, 이런 건 전형적인 허위의식입니다. 실제론 아무 것도 손에 쥔게 없어도 니가 주인이다 이런 식의... 대개 기득권층의 논리이지요.

    제가 너무 삐뚜러진 것일까요? ㅋㅋ

    한국의 기준이 중산층의 기준으로서는 조금 과한 것 같기는 한데요, 실질적인 기준이라기 보다는 '이정도는 되어야 한국에서 그럭저럭 꿀리지 않고 살 수 있다'는 정도의 희망사항인듯... -_-;;;;;; 일단 월수 500 이상이면 우리나라 근로자들 평균 임금보다 훨~~씬 높은 것 같습니다.

  • 프리덤 2012.09.10 17:37 (*.206.69.175)
    유럽의 경우..... 국가간에 밀집된 탓도 있지만 외국어 한가지는 기본적으로 다 교육을 받고 하지요.... 유독 프랑스어를 고집하고 외국인한테도 불어로 이야기 하려고 고집하는 프랑스의기준이라는것이 좀 아이러니지만 프랑스 국민들도 외국어를 못해서 그러는것은 아니라지요....

    스포츠의 경우 한국은 공교육이 무너지면서 체육과목도 도외시 되었지만 유럽/미국/일본 등 거의 모든 선진국의 경우 공교육의 일환으로 1인 1레포츠는 다 즐기고 배웁니다. 학교도 방과후 활동이라던지 특별활동으로 스포츠를 익히고 권장하지요.

    악기도 위 와 같은 맥락으로 이해 하시면 됩니다.

    1960년대 세계 최빈곤국의 하나였던 한국이
    1970년대 묻지마 식 희생을 강요하면서 산업화를 시작했고
    1980년대 독재철권통치하에서 재벌특혜가 주어지면서 급속적인 외형부풀이기 와 글로벌화가 시작되고

    1990~2012 불과 20년 동안에 한국 사회는 물질풍요의 시대를 맞으면서 반대로 정신피폐의 시대도 같이 왔습니다.

    재즈맨님이 한국의 시각으로 외국의 기준을 보시면서 그렇게생각하시는 것도 당연할겁니다. 거의 대부분의 한국인이 그리생각할지도 모르지요...
    저로서도 과거의 저라면 그리 느꼈을지도....외국에서 15년을 지내다보니 시야가 바뀌더군요,

    성남에 가면 외국인학교 가 있습니다.
    외국식으로 원어로만 수업을 진행하고 외국의 학제를 따르고 수업형태도 그러합니다.
    그 학교에 가보면 매 학기마다 특별활동으로 악기 와 스포츠를 한가지씩 합니다.

    삐딱하게생각하시면 그 비싼 학비를 내는 학교니 그런 것 아니냐 부정할수도 있지만.....요점은 외국의 학교들은 그런 식으로 운영되고 있고
    그런 교육을 받은사람들이 외국은 사회로 진출해서 시민사회를 구성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 jazzman 2012.09.10 21:41 (*.160.123.162)
    제가 드리고 싶은 말씀은요, 경제적인 기반 없이 문화만 향유하는 중산층이란 있을 수 없다는 말씀입니다. 한국만 유독 월수가 얼마가 차가 뭐고 적어놔서 속물처럼 보이지만, 한국에서 저정도 사는 사람이면 외국어 하나를 못할까요, 스포츠나 음악을 안즐길까요. 물론 경제적으론 넉넉해도 문화를 누릴 줄 모르는 사람도 있겠지만, 그거야 한국만 그럴까요. 그리고 다시 말씀드리지만 본문의 소위 한국의 기준이란 걸 만족하는 사람은 경제적으로는 중간 계급도 아니구요, 대충 상위 20% 안에는 드는 정도 아닐까 싶은데요. 특히 여유 자금이 1억원 이상, 이런 조건 만족하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싶은데요? 그냥 하도 살기가 퍽퍽하니 돈 걱정 좀 안하고 살았으면 좋겠다는 희망사항 정도로 보입니다. 너무 속물이라 비하할 것 없지 않나 싶네요.

    그리고 한국은 중산층이란 게 지금 실체가 있는지도 잘 모를 지경인데 뭐라 정의를 해야할지도 참 어려울 것 같네요.
  • 오리베 2012.09.10 18:10 (*.208.228.134)

    다른 나라는 시민들에게 물어본게 아니라 중산층은 이러이러해야 한다는 당위성으로서 기준을 나타낸거군요. 반면 우리나라는 시민들에게 물어봤으니 당연히 생활에 밀접한 경제력 기준으로 응답하겠지요.

    단지 한가지 눈여겨 볼 것은 한국은 왜 시민들에게 설문으로 물어봤을까? 당최 중산층이 당연히 가져야 할 덕목으로 논의되는 것 자체가 아예 없다는 얘기로 이해됩니다. 이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형성해서 학교에서 윤리 교육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보는데요, 요즘은 뭘 가르치는지 모르겠으나 옛날에는 그저 교사들도 이해못하는 유럽의 사상가들의 철학에 대해 단편적 지식을 외우게 하거나 우리 전통 충효사상 대개 이런 것들. 오늘의 현실에 별 도움 안 되는 내용입니다.

    산업화의 명암 속에 전 국민이 나만 돈벌면 된다는 부동산 광란과 내새끼 지상주의 부정부패 천민자본주의 온갖 폐해를 다 겪어 왔고 아직도 겪고 있으면 이제는 중산층의 덕목으로든 시민 윤리든 부족했던 의식이 되풀이되지 않게 다음 세대에게는 어릴 때부터 생활 윤리를 학교 교육으로 가르쳐야 할 때가 되지 않았나 합니다. 이런건 보수나 진보나 별 이견은 없겠지요.

     

     

    * 그리고 일단 말부터가 우리말 중산층이란 단어 내에 재산이 그 안에 들어가 있으니 재산 기준으로 생각하는게 우선일 수도 있지요.  영어의 middle class 는 재산에 한정되지 않으니 여러가지 요인을 생각하게 되겠지요.

  • teriapark 2012.09.10 18:35 (*.253.28.151)

    중산층(middle class)는 미국이든 유럽이든 경제적인 용어입니다.

    저거 누군가가 꾸며낸 거라는데 100원겁니다.

    (그 옛날 빌게이츠가 말하길 시리즈 처럼.)


    콩쥐님은 그 '기사'의 출처를 댈 수 있어요?

  • 콩쥐 2012.09.11 05:44 (*.172.98.197)
    http://www.enjoyaudio.com/zbxe/?mid=freeboard&document_srl=4049230
    teriapark 님 이곳에서 퍼왔습니다...
    첫번째 댓글입니다.


    째즈맨님이나 프리덤님이나 오리베님이나 댓글이 모두가 수긍이 가네요.....
  • 프리덤 2012.09.11 12:00 (*.206.69.175)
    중요한 것은 위 기준 같은 것이 아니고....

    90년 이전 성장을위주로 하던 시절에만 해도 설문조사 하면 70%이상이 " 나는 중산층 " 이라는 답을 내었었는데.....

    90년 이후 물질풍요를 누리는 요즘에는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여기지도 못하고 "나는 빈곤층" 이라고 한다는 것...!


    그런 답을 낸 사람도 분명 과거보다는 더 훌륭한 물질풍요를 누리고 사는 사람 일터인데..............무엇이???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88 여전히 음악게시판은 시끄럽네요. 4 알로에 2012.09.02 5114
1487 건축가 정기용 콩쥐 2012.09.04 5373
1486 신의 수 콩쥐 2012.09.04 5429
1485 음악만큼 좋은 종교는 없습니다 1 음악종교 2012.09.04 4622
1484 유기농에 대한 생각. 8 이민재 2012.09.04 4675
1483 세계로 강남스타일 1 2012.09.04 5269
1482 유기농에 대한 저의 생각 8 초보농군 2012.09.04 5802
1481 전기요금 누진제 전기세폭탄 2012.09.05 5118
1480 군대 군대 2012.09.06 5903
1479 사람 값 친구 2012.09.06 5335
1478 요즘 일어나는 사회현상 관련하여....고찰 8 성찰인 2012.09.06 5200
1477 JIKAKA 의 황당한 결정에 넋나간 우리국군 1 넋나간 국민 어이 해야 할까요? 2012.09.06 5525
1476 주화입마 9 칸타빌레 2012.09.07 6788
1475 미리 가 본 여행 2 file 콩쥐 2012.09.08 5022
» 한국의 중산층 15 콩쥐 2012.09.09 5728
1473 전기요금 16 콩쥐 2012.09.09 5285
1472 다수결의 원칙이 적용될수없는 영역. file 콩쥐 2012.09.10 6810
1471 내려받았다 지워도? 포르노 단속 1 쿨피스 2012.09.10 5368
1470 선인장은 몇년이나 사나요? 7 file 칸타빌레 2012.09.13 6438
1469 저녁노을 2 file 콩쥐 2012.09.14 6013
1468 최진기........학원강사 1 콩쥐 2012.09.15 6099
1467 밤에 찍은 사진 1 file 콩쥐 2012.09.19 5591
1466 청사 [History of Qing, 清史] 에 관하여 7 file 묘향씨 2012.09.19 5611
1465 환단고기의 정확성---천문과학적으로 설명하다 16 ESTEBAN 2012.09.21 5964
1464 응급실에 갔는데 돈이 없으면,,, 14 콩쥐 2012.09.22 6649
1463 시골의 토요일 4 file 콩쥐 2012.09.23 5252
1462 20대 "슬픔"에 관한 경험. 12 file 콩쥐 2012.09.24 5726
1461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게습니다...보험관련 6 보험 2012.09.24 5120
1460 성공회대학교 4 file 콩쥐 2012.09.26 6020
1459 이문열,김지하,조정래,이외수,공지영 file 콩쥐 2012.09.26 8560
1458 선거 1 투표 2012.09.28 4760
1457 콩쥐님에게 6 ESTEBAN 2012.09.28 5777
1456 화합-물처럼 바람처럼 ........................섬집아이 명절 2012.09.30 5652
1455 추석날에 뜬 보름달 2 file 콩쥐 2012.10.01 6283
1454 어느목사가 주는 조언 13 고민 2012.10.01 5444
1453 물위를 걷는사람 세상에 2012.10.01 5258
1452 기타레타 듀오 ~~~~ 1 file 콩쥐 2012.10.02 5461
1451 감익는 가을 1 file 콩쥐 2012.10.02 5316
1450 역사 강의 3 file 콩쥐 2012.10.05 5278
1449 건축가 승효상 강의 file 콩쥐 2012.10.05 6547
1448 도올 강의(시국난타전) 3 꽁생원 2012.10.06 6533
1447 금오 김홍경 한의학 강의 콩쥐 2012.10.07 8507
1446 불산이란 무엇일까요? 생활안전 2012.10.08 6422
1445 중국 양자강지역.. 남경, 양주, 여요, 소주, 상하이, 태주 1 file 콩쥐 2012.10.09 6244
1444 부인 권력서열 1위 3 콩쥐 2012.10.09 5107
1443 정인보...우리민족의 호칭 194종 2 콩쥐 2012.10.10 5068
1442 아름다운 꽃 6 file 금모래 2012.10.10 5192
1441 잘못했습니다. 1 정말 2012.10.11 6628
1440 위안부 기림비를 철거하기 위한 일본의 몰염치 한 청원 저지하기 위한 서명운동(미국 뉴져지 팔리세이즈 에 위치) 2 ESTEBAN 2012.10.12 5705
1439 3대 단군 가륵의 통치기간 내용. 19 콩쥐 2012.10.14 5928
Board Pagination ‹ Prev 1 ...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