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12.07.05 06:23

황칠

(*.172.98.197) 조회 수 14496 댓글 2
전자파 완전 흡수하는 '신비의 금빛 도료'이자
벌레를 쫒고 안식향(安息香)을 뿜는 자생수종 황칠나무  
 
전자파를 완전히 흡수해버리는 일종의 스텔스 원료이자
이를 가공한 도료는 매우 환상적인 금빛색상을 일구어내기에 '신비의 도료'로 알려진 원료. '황칠'(黃漆).

옻칠에만 익숙한 우리에겐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중국의 역사가들은 이를 한결같이 한반도 서남해안에서만 나는 '신비의 도료'라고 적고 있다.
중국 25사와 영파사지(英坡寺誌), 책부원구(冊府元龜) 등 각종 역사책들은 진시황제가 '불로초'라 믿으며
해동국에서 가져온 나무가 바로 '황칠나무'이며
통일신라 때 해상왕 장보고의 교역상품 중 최상품이 황칠액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황칠나무가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전자파를 완전히 흡수한다는것이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발견임과 동시에 한국에게는 최고의 호기가 될것이다.
지금의 전장은 진화하고 있다. 차츰차츰... 스텔스화된 병기로 육-해-공 전장에 배치 되어질 것이다.

이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스텔스 기능... 그 중에서도 단연 스텔스화 시키기 위한 원리.
즉, 스텔스의 원리인 것이다. (현재 스텔스 기술을 완전히 보유한 나라는 미국과 일본 두 나라 뿐이다.
프랑스와 독일, 영국등은 기초적인 스텔스 기술을 보유 했을 뿐이다.)

그런데 한국은 이제 그 답을 일부 얻어 냈다.
황칠이란 나무가 스텔스 효과가 아주 탁월한 완전한 전자파-흡수재이기 때문이다.

스텔스 폭격기의 원조 도장사가 일본인인 것을 아는 사람은 다들 아실것이다.
(최초로 스텔스 기술이 나온곳은 다름 아닌 일본이다.)
(일본은 1930년대 후반에 군비를 확장하면서 자신들의 취약점인 레이더에 잘 노출되지 않는 항공기 제작을 위해
가볍고 전파의 흡수능력을 가진 재료의 발굴에 힘을 쏟게 된다.
그 결과 당시 일본의 식민지인 조선에서 자생하는 나무에서 그 답을 얻게 된다.
그리고 황칠이란 나무를 조선에서 일본으로 가져가서 성분분석과 그 효능을 테스트하게 된다.
또, 이 나무를 이용하여 레이더에 잘 걸리지 않는 항공기, 이른바 스텔스 항공기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을 한다.
그러나, 그 당시의 일본의 공업력으로서는 그 문제를 풀어내지 못하였다.)

그리고 이제 일본이 일제시대를 거쳐 1970년대까지 황칠을 훔쳐간 사실들이 속속 확인되고 있다.
왜? 일본은 '황칠'이란 나무를 그리도 꾸준히 도둑질하였을까?

황칠나무란... 위에서 밝힌바와 같이 전자파 즉, 모든 전파를 완전히 흡수하는 타고난 전파 흡수재이니 만큼...
그들은 레이더에 잘 포착되지 않는 항공기를 제작하기 위해 '황칠'이란 재료를 사용하여
항공기의 스텔스도료로 사용하고자 수십년간 암암리에 도둑질을 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이제 그들에게 문제가 생겼다.
그들은 이미 황칠의 비밀을 풀었지만, 그들이 훔쳐간 일본의 황칠나무에서는 더이상의 수액이 나오지 않고있다.
이는 지질학상으로 한반도의 지질과 화산재로 주로 구성된 일본지질과의 차이가 엄격히 나기때문에
더 이상의 수액이 나오지 않는 것이다.

한국에서 자생하는 황칠같은 경우에는 수백년간 계속 수액이 나왔던 것과 비교해서
일본의 것이 1세기도 안되어서 수액이 더 이상 안 나온다는 것은
일본의 지질이 한국의 황칠이 주로 자생하는 '전라남도 완도 상황봉'과 '보길도', '진도 첨찰산', '해남군 두륜산' 등
'전남도서지역'과 '해안 일대' 19개 지역의 토양과 지질 특성이 판이하게 차이가 났으므로
일본의 황칠나무는 제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이제 '종의 운명'을 다하게 된것이다.

이제 우리에게 기회가 왔다.
앞으로 스텔스화된 병기가 육-해-공 전장에서 활약하게 될 가까운 미래에도 우리는
'황칠'이란 원료를 잘만 활용하면 우리의 기술로 나름대로의 스텔스 기술을 보유하고 활용할 날도 머지 않을 것이다.
 
 
 

 

황칠나무는 두릅나무과의 상록 활엽교목으로 전남 도서지역과 해안 일대 19개 지역에서 자생한다.
옻나무가 검은색 도료라면 황칠나무는 노란색도료로 사용되어왔는데
탁월한 약성이 발견되어 남쪽 지방에서는 황칠나무를 이용하여 '활칠백숙'이 미식가들로 부터 인기가 높다.

 

활칠나무는 암, 간장질환, 독제거, 당뇨개선, 중풍, 오십견에 효과가 있으며,

최근에는 황칠환을 개발하여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황금빛의 비색과 상상을 초월하는 내열성과 내구성, 벌레를 쫓아내고 정신을 맑게 하는 안식향이 있어
황칠을한 가구재는 고가에 팔린다.

 

풍습성(風濕性)으로 인한 반신불수, 사지마비동통에 유효하다.
생리 불순에는 이 약물 20g에 물 500ml를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얼마전에 완도에 있는 황칠 나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될 정도니 그 효능과 염험함은 이루말할 수 없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두릅나무과(科)에 속하는 난대성 상록교목(常綠喬木)인 황칠나무에서 채취되는 우리 나라 고유의 전통 수지도료(樹脂塗料).

황칠나무는 아열대성 식물로 그 분포지는 제주도·완도·보길도·어청도·진도·홍도·거문도와

보령의 연열도 등 주로 남부지방 해안이나 섬지방에서만 자생하고 있다.

황칠은 정유성분(精油成分)이 주성분으로 되어 있으며,

담황색의 진한 유상액체(油狀液體)로서 상쾌한 향기를 지니며 맛은 쓰다.

 

황칠 안에 들어 있는 정유는 주로 고불점(高弗點) 부분으로,

그 주성분은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이며, 그 밖에 알코올·에스테르 등이 함유되어 있다.

황칠 정유의 세스퀴테르펜은 D2, 0.9215 ; ∩2, 1,5052 ; α2, -0°87이라는 특정 수치를 지니며,

이중결합이 두 개가 있는 양(陽)이온과 비슷한 쌍환성(雙環性) 스퀴테르펜으로서,

이의 염화수소(鹽化水素) 화합물은 결정성(結晶性)을 만들지 않는다.

 

황칠을 칠할 때 사용하는 용제(熔劑)는 알코올·아세톤·에스테르·벤·신나(시너) 등 유기용매이며,

광택은 무광택으로서 내열성·내습성에 침투력이 뛰어나다.

색상은 황금색이나 목재에 칠하면 무늬(木理)가 선명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투명도가 약한 도료로 한다.

황칠을 칠한 후 건조시킬 때는 17∼23℃의 온도가 적합하며, 금속에 칠할 때는 금속을 불에 달구어 칠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건조 시간은 약 4시간 정도로 한다. 황칠의 채취 시기는 1∼11월이나 장마철에는 피한다.

채취 방법은 V자형 특수 손칼로 황칠나무에 一자, V자, O자형으로 약간 깊이 골을 파 놓으면 그 골에 황칠이 고이게 된다.

채취 시간이 많이 걸리고 채취량이 적어 황칠을 얻는 데 어려움이 있다.

 

황칠에 대한 기록으로는, 중국 당(唐)의 <통전 通典>에

“백제 서남지방 바다 가운데 세 섬에서 황칠이 나는데,

6월에 백류(白流)를 채취하여 기물에 칠하면 금빛과 같아서…”라 기록되어 있다.

송(宋)의 유서인 <책부원구 冊府元龜>에는 “당 태종이 정관(貞觀) 19년(서기 645년, 백제 의자왕 9년)에

백제에 사신을 파견하여 금칠을 채취해서 산문갑(山文甲)에 칠하였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또 북송의 손목(孫穆)이 지은 <계림유사 鷄林類事>에 ‘칠왈황칠(漆曰黃漆)’이라 대역함으로써

당시 고려에서는 칠이라 하면 으레 황칠을 대표로 하는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한편 <계림지 鷄林志>에는 “고려의 황칠은 섬에서 난다. 6월에 수액을 채취하는데 빛깔이 금과 같으며,

볕에 쪼여 건조시킨다. 본시 백제에서 나던 것인데,

지금 절강(浙江) 사람들은 이를 일컬어 신라칠(新羅漆)이라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1541년(중종 36)에 간행된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언해 牛馬羊渚染疫病治療方諺解>에는,

"제주에서는 나나니란 이름을 황칠이라 하고, 북나무진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곧 <계림유사>의 황칠과 <계림지>의 황칠을 동일 물질로 본 것으로 일반적인 옻칠과 다른 것임을 분명히 하였고,

황칠은 한반도 어디서나 채취되는 것이 아니고 오로지 섬지방, 특히 제주도의 특산품임을 명기하였다.

 

<참고문헌> 고려나전칠기연구(곽대웅, 미진사, 1984)
<참고문헌> 한국의 목공예(이종석, 열화당, 1988)
<참고문헌> 한국칠기이천년(국립민속박물관, 1989)
<참고문헌> 전통과학기술 조사연구(국립중앙과학관, 1991) 

    
 
[ 황칠관련 방송 ]
 
1. EBS
- 잊혀져 가는 것들(황칠), 방영일자: 2003년 10월 25일(전체 8분 28초)
2. KBS
- 한국의 미(황칠을 찾아서), 방영일자: 1992년 9월 13일(60분)
- 한국의 미(금빛으로 빛나다, 황칠), 방영일자: 2003년 7월 28일(23분 59초)
- 세상의 아침(내나무 갖기), 방영일자:2006년 4월 6일(2부 7시)
3. MBC
- 특선 MBC 다큐멘터리(황칠, 그 천년의 신비) 방영일자:1999년 7월 28일(44분 56초)
- 테마기획 정보뱅크(황칠) 방영일자:1999년 4월 14일(10분 10초)
 
 
[ 황칠의 효력 ] 
황칠은 금칠이란 도료적 특성, 안식향으로서의 기능 외에도 다음과 같은 기능성 약리 효과가 있습니다.
 
황칠이 함유하고 있는 각 성분 별 약리 효과
* 알파-Cubebene : 간질,신경장애,불면증,실신,히스테리,편두통,우울증 치료에 쓰임
* 베타-Elemene : 중앙신경계와 호르몬계를 자극하여 남성 호르몬계와 우울증 치료에 사용
* 베타 -Selinene : 식욕자극제,구토와 설사, 임신중의 구토에 효과
* 알파-Muurolene : 소화기 질환,강장제,발한제 감정완화와 진정제에 쓰임
* Germacrene D : 신경통,얼경불순,두통,혈뇨치료,및 지혈
* 베타-Sitosterol :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 ("시토닐" 현대약품)의 주요성분
 
1. 간세포 보호 효과 (특허출원:2002-18063호)
- 간세포 보호효과를 갖는 황칠 추출물,분획물 및 이들을 함유한 약학 조성물
 
2. 골조송증 및 치주 질환 (특허출원: 2002-15621)
- 경 조직 재생 및 증식효과를 가지는 황실 추출물, 황칠 분획물 및 이를 함유한 약학 조성물, 경 조직을 재생하고
현재까지 연구되어 온 것 (염증치유인대 세포증식, 치은 세포증식)과 달리 조골세포의 증식을 증가시켜 치료하는 물질.
 
3. 항산화 효과
- 천연 항산화제로 사용되는 a-Tocopherol과 같은 항산화 효과(노화방지)를 나타냄.
 
4. 번열제거, 술해독, 안질 및 황달치료, 화상치료, 나병 치료에 효과
- 이시진, 본초강목, 중국 문광 도서
 
5. 안식향 효과
- 갑작스런 가슴아픔(卒然心痛), 어린이 복통(小兒腹痛), 어린이 경기(小兒驚邪), 관절통(歷節風痛)
- 이시진, 본초강목, 중국 문광 도서
 
Comment '2'
  • 비밀금붕어 2012.07.05 12:37 (*.107.55.43)
    콘서트급 고가 기타 마감을 황칠로 한 번 해보심 좋겠네요. 도료값이 기타한대당 한 500만원정도 들어간다고 하던데... 여유있으신분... 황칠게시물이 보여 점심시간을 이용 제가 아는 교수님 황칠 논문(천연칠이라면 흔히 옻칠을 떠올릴 것이다.그러나 한반도에서 자생하는 황칠나무에서만 유일하게 분비되는 황칠이 있다. 황칠은 옻칠처럼 나무에 상처를 내면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서 나무가 분비하는 유백색의 액체이다. 이것들이 굳으면 옻칠은 검게 변하고 황칠은 노랗게 변한다.황칠은 양이요, 옻칠은 음이다. 황칠은 햇빛에 경화시키고, 옻칠은 어둡고 습한데서 경화시킨다...)을 오랜만에 꺼내 봤습니다. 황칠매니아.. 차도 황칠차... 제기타 마감도 황칠 아주 쬐금(돈이 딸려서...) 들어가있는 ㅎㅎㅎ
  • 2022.01.03 13:42 (*.245.82.194)
    황칠은 양
    웃칠은 음 이군요

    좋은 이야기 잘 들었어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34 난 현악기에서 나는 쇠소리가 시러여. 지영이 2000.10.09 5257
933 난 이런 기타가 조아 file 기타리스트 리 2001.01.28 4816
932 나일론현/스틸현 12 쏠레아 2010.02.22 10854
931 나일론+스틸기타 file gaspar 2001.01.30 5083
930 나의 습도 유지방법(계속) 6 file phr 2006.12.12 6664
929 나의 습도 유지방법 4 file phr 2006.12.12 6486
928 나의 습도 유지방법 1 file phr 2006.12.12 6118
927 나의 새로운 애인 브라만... 7 으랏차차 2002.09.08 7451
926 나의 베르나베는 이렇게 1 LAEL 2001.03.18 4513
925 나의 기타 수집걸 2001.04.06 4252
924 나의 결정~! 으랏차차 2001.02.03 3954
923 나무의 특성 (PDF 자료) 2 file bluejay 2008.08.13 7479
922 나무의 세포벽은 무엇으로든 간에 채워지는것이 좋을까요? 명노창 2000.11.02 4852
921 나만의 50만원대 수제기타 벤치마크 으랏차차 2001.02.01 5439
920 나도,,, 25 loveromero 2001.08.02 4165
919 꿈은 이루어진다. 5 file 기타바이러스 2016.12.10 6509
918 꼬벨라리 자살한지 한참&#46124;는데..... 명노창 2000.06.14 5594
917 깔레바로형 기타-Contreras file 가스파르 2000.09.23 6469
916 까를로스 보넬이 기타를 내놓았더군요.... 2000.11.15 4236
915 김희주양 클래식기타독주회(현 서울음대2년재학중) 1 guitar~ 2001.04.16 4179
914 김해부근 기타제작공방 2 alexia 2022.11.01 2108
913 기타현의 장력 비교. 1 언니 2013.08.22 12255
912 기타현에 대한 글 콩쥐 2015.11.23 6963
911 기타현 쌩뚱맞게 거는방법. 12 file 콩쥐 2008.02.22 8972
910 기타현 가격표. 2004.08.01 7089
909 기타학원아시는 분 꼭 글좀 남겨주세요! 소정이 2000.12.02 3888
908 기타플랜 구하는 곳 7 토토 2004.04.21 5555
907 기타프렛에 관해 여쭙겠사옵니다. 8 연리지 2004.02.26 5398
906 기타평가의 기준. ... 프리드리히. file 2016.08.08 7144
905 기타통속의 먼지를 털어주면 어찌될까? 18 2005.06.19 8309
904 기타케이스...skb 2 목향. 2001.04.22 5166
903 기타케이스 만들기 [일본어] 1 옥용수 2004.04.11 7147
902 기타줄의 장력...무게 입니다.. 2 기타매냥 2004.01.27 7272
901 기타줄을 새로 바껐는데여... 4 ... 2001.05.10 4000
900 기타줄에 대한 글들이 많은데여.. 7 고정욱 2001.06.18 4611
899 기타줄과 관련된 질문이 있습니다. 1 persecutaa 2020.03.08 4389
898 기타줄 장력의 차이? 문병준 2001.05.17 4811
897 기타줄 장력에 대한 자료입니다 5 단조 2002.07.30 6337
896 기타줄 소리에 대한 단상 2 기타줄 2004.07.25 6485
895 기타줄 비교 4 최창호 2004.06.02 9311
894 기타줄 바꾸고 싶은데 뭘로하죠? 5 노경문 2001.06.30 4842
893 기타조율에 대한 여러분의 경험과 의견을 듣고 싶어요 ^.^ 16 백철진 2004.02.08 6055
892 기타제작콩쿨은 아무도 .. 방문객 2001.04.01 4269
891 기타제작에 관한 책.1 2000.11.29 5749
890 기타제작에 관심있는 분들 2 file gaspar 2001.01.11 4949
889 기타제작아카데미에서 제작한 스페인식 네크의 근접사진 1 file 백철진 2008.11.29 9708
888 기타제작가 콩쥐님 보세요. 52 file 쏠레아 2010.02.25 16785
887 기타재료.... 3 궁굼아 2007.11.18 6156
886 기타재료 콩쥐 2010.01.31 9639
885 기타인의 필수품 습도측정기. 1 file 2006.07.03 6918
884 기타이야기는아니지만 스트라디바리... file 하카란다 2006.05.29 5592
883 기타의 크기 ( 현장, 넥두께, 상현주현폭 ) 4 콩쥐 2007.12.01 19706
882 기타의 진한 향..어디서나는걸가요? 18 띠용 2004.01.24 6131
881 기타의 좋고 나쁨에 대하여.. 9 차차 2003.07.14 5786
880 기타의 재료는 꼭 나무이어야만 하는가? CC 2000.06.08 4826
879 기타의 장력이 센 이유는? 87 궁금 2008.08.09 15212
878 기타의 장력과 헤드각도 9 철공소사장 2006.01.15 6196
877 기타의 음향판에 관하여 최동수 2008.05.29 8210
876 기타의 음량증가를 위한 증폭장치...........데스데리님의 글을 퍼왔습니다. 5 2004.04.11 5655
875 기타의 음량에 대한 한탄, 억울함... 19 쏠레아 2008.09.08 11790
874 기타의 음량 6 쏠레아 2010.02.28 13861
873 기타의 외부도장에 질문드립니다 5 철공소사장 2005.06.12 5070
872 기타의 액션 - Action Calculator 3 file bluejay 2006.07.15 5527
871 기타의 액션 3 쏠레아 2010.03.08 10246
870 기타의 액션 5 file bluejay 2006.07.15 6573
869 기타의 앞판이 이러면 어떨까..??? 변소반장 2000.11.20 5288
868 기타의 순결? 말괄량이 2000.06.12 4815
867 기타의 수명에 관한 토론글입니다.(알마기타 펌) 2 무저갱 2007.05.16 13305
866 기타의 수리와 관리 16 file 최동수 2008.07.19 10249
865 기타의 소리 교정..(수 님께..) 3 으랏차차 2001.05.18 4508
864 기타의 성능 (jeffrey elliot) 1 2012.04.09 11355
863 기타의 과학(2) 39 쏠레아 2008.08.11 9447
862 기타의 과학 30 쏠레아 2008.08.11 12599
861 기타의 공명은 제갈공명인가? 5 돌모기 2012.06.14 12481
860 기타의 가격은 어떻게 산정될까요? 5 빌라바보스 2020.03.15 5085
859 기타의 6번줄 변칙튜닝에 대해.. 3 으랏차차 2001.10.16 4746
858 기타의 사이즈 조정은 어디까지 1 2021.03.23 3883
857 기타왔습니다 3 박카스 2001.06.22 4069
856 기타와 초음파진단기 8 돌파리 2012.06.12 11410
855 기타와 장마 2 새내기 2001.06.25 4118
854 기타에이드에 관한 안내글. 콩쥐 2006.12.22 5454
853 기타에서의 공명현상 7 쏠레아 2008.09.18 11445
852 기타에서 일어나는 재미있는 현상. 15 쏠레아 2008.09.08 7969
851 기타에서 부채살은 무슨 역할을 하나요? 인성교육 2002.01.06 4814
850 기타에서 4 궁금 2004.06.16 4550
849 기타에 현을 매었을 때.... 2 늦깎이 2001.05.24 3979
848 기타에 부착시키는 암레스트의 사진입니다. 3 file 데스데 리 2004.10.14 13974
847 기타에 관해서 3 황선동 2005.01.21 5305
846 기타수명은 200년 이상 file 2024.02.07 1004
845 기타수리 감사하답니다.. 형서기 2000.07.23 5142
844 기타사이즈 작은거함만저보고싶네 6 기타사이즈 2007.12.10 8151
843 기타사고 싶어요 구경본 2001.01.20 4039
842 기타보관 시 적정온도는 어떻게 되나요? 3 초보 2004.02.10 6505
841 기타박물관 ......placio de la guitarra(동경) 6 file 2004.10.11 6448
840 기타메이커 빠진거 확인부탁여.. 형서기형 후배 2000.09.01 4653
839 기타맹글고 싶어하는분...명단. file whisky 2000.09.02 4287
838 기타매냐를 들르는 모든 사람들에게.. 2 기타는내친구 2004.03.01 4819
837 기타만들고파~ ganesha 2000.07.04 4028
836 기타만드는 나무는 나무의꿈 게시판에 있어요. 2002.02.14 5557
835 기타리스트의 악기들 자료모음2005.6.....(퍼온글) 궁금이 2005.08.15 6711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