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12.07.05 06:23

황칠

(*.172.98.197) 조회 수 14571 댓글 2
전자파 완전 흡수하는 '신비의 금빛 도료'이자
벌레를 쫒고 안식향(安息香)을 뿜는 자생수종 황칠나무  
 
전자파를 완전히 흡수해버리는 일종의 스텔스 원료이자
이를 가공한 도료는 매우 환상적인 금빛색상을 일구어내기에 '신비의 도료'로 알려진 원료. '황칠'(黃漆).

옻칠에만 익숙한 우리에겐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중국의 역사가들은 이를 한결같이 한반도 서남해안에서만 나는 '신비의 도료'라고 적고 있다.
중국 25사와 영파사지(英坡寺誌), 책부원구(冊府元龜) 등 각종 역사책들은 진시황제가 '불로초'라 믿으며
해동국에서 가져온 나무가 바로 '황칠나무'이며
통일신라 때 해상왕 장보고의 교역상품 중 최상품이 황칠액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황칠나무가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전자파를 완전히 흡수한다는것이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발견임과 동시에 한국에게는 최고의 호기가 될것이다.
지금의 전장은 진화하고 있다. 차츰차츰... 스텔스화된 병기로 육-해-공 전장에 배치 되어질 것이다.

이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스텔스 기능... 그 중에서도 단연 스텔스화 시키기 위한 원리.
즉, 스텔스의 원리인 것이다. (현재 스텔스 기술을 완전히 보유한 나라는 미국과 일본 두 나라 뿐이다.
프랑스와 독일, 영국등은 기초적인 스텔스 기술을 보유 했을 뿐이다.)

그런데 한국은 이제 그 답을 일부 얻어 냈다.
황칠이란 나무가 스텔스 효과가 아주 탁월한 완전한 전자파-흡수재이기 때문이다.

스텔스 폭격기의 원조 도장사가 일본인인 것을 아는 사람은 다들 아실것이다.
(최초로 스텔스 기술이 나온곳은 다름 아닌 일본이다.)
(일본은 1930년대 후반에 군비를 확장하면서 자신들의 취약점인 레이더에 잘 노출되지 않는 항공기 제작을 위해
가볍고 전파의 흡수능력을 가진 재료의 발굴에 힘을 쏟게 된다.
그 결과 당시 일본의 식민지인 조선에서 자생하는 나무에서 그 답을 얻게 된다.
그리고 황칠이란 나무를 조선에서 일본으로 가져가서 성분분석과 그 효능을 테스트하게 된다.
또, 이 나무를 이용하여 레이더에 잘 걸리지 않는 항공기, 이른바 스텔스 항공기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을 한다.
그러나, 그 당시의 일본의 공업력으로서는 그 문제를 풀어내지 못하였다.)

그리고 이제 일본이 일제시대를 거쳐 1970년대까지 황칠을 훔쳐간 사실들이 속속 확인되고 있다.
왜? 일본은 '황칠'이란 나무를 그리도 꾸준히 도둑질하였을까?

황칠나무란... 위에서 밝힌바와 같이 전자파 즉, 모든 전파를 완전히 흡수하는 타고난 전파 흡수재이니 만큼...
그들은 레이더에 잘 포착되지 않는 항공기를 제작하기 위해 '황칠'이란 재료를 사용하여
항공기의 스텔스도료로 사용하고자 수십년간 암암리에 도둑질을 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이제 그들에게 문제가 생겼다.
그들은 이미 황칠의 비밀을 풀었지만, 그들이 훔쳐간 일본의 황칠나무에서는 더이상의 수액이 나오지 않고있다.
이는 지질학상으로 한반도의 지질과 화산재로 주로 구성된 일본지질과의 차이가 엄격히 나기때문에
더 이상의 수액이 나오지 않는 것이다.

한국에서 자생하는 황칠같은 경우에는 수백년간 계속 수액이 나왔던 것과 비교해서
일본의 것이 1세기도 안되어서 수액이 더 이상 안 나온다는 것은
일본의 지질이 한국의 황칠이 주로 자생하는 '전라남도 완도 상황봉'과 '보길도', '진도 첨찰산', '해남군 두륜산' 등
'전남도서지역'과 '해안 일대' 19개 지역의 토양과 지질 특성이 판이하게 차이가 났으므로
일본의 황칠나무는 제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이제 '종의 운명'을 다하게 된것이다.

이제 우리에게 기회가 왔다.
앞으로 스텔스화된 병기가 육-해-공 전장에서 활약하게 될 가까운 미래에도 우리는
'황칠'이란 원료를 잘만 활용하면 우리의 기술로 나름대로의 스텔스 기술을 보유하고 활용할 날도 머지 않을 것이다.
 
 
 

 

황칠나무는 두릅나무과의 상록 활엽교목으로 전남 도서지역과 해안 일대 19개 지역에서 자생한다.
옻나무가 검은색 도료라면 황칠나무는 노란색도료로 사용되어왔는데
탁월한 약성이 발견되어 남쪽 지방에서는 황칠나무를 이용하여 '활칠백숙'이 미식가들로 부터 인기가 높다.

 

활칠나무는 암, 간장질환, 독제거, 당뇨개선, 중풍, 오십견에 효과가 있으며,

최근에는 황칠환을 개발하여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황금빛의 비색과 상상을 초월하는 내열성과 내구성, 벌레를 쫓아내고 정신을 맑게 하는 안식향이 있어
황칠을한 가구재는 고가에 팔린다.

 

풍습성(風濕性)으로 인한 반신불수, 사지마비동통에 유효하다.
생리 불순에는 이 약물 20g에 물 500ml를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얼마전에 완도에 있는 황칠 나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될 정도니 그 효능과 염험함은 이루말할 수 없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두릅나무과(科)에 속하는 난대성 상록교목(常綠喬木)인 황칠나무에서 채취되는 우리 나라 고유의 전통 수지도료(樹脂塗料).

황칠나무는 아열대성 식물로 그 분포지는 제주도·완도·보길도·어청도·진도·홍도·거문도와

보령의 연열도 등 주로 남부지방 해안이나 섬지방에서만 자생하고 있다.

황칠은 정유성분(精油成分)이 주성분으로 되어 있으며,

담황색의 진한 유상액체(油狀液體)로서 상쾌한 향기를 지니며 맛은 쓰다.

 

황칠 안에 들어 있는 정유는 주로 고불점(高弗點) 부분으로,

그 주성분은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이며, 그 밖에 알코올·에스테르 등이 함유되어 있다.

황칠 정유의 세스퀴테르펜은 D2, 0.9215 ; ∩2, 1,5052 ; α2, -0°87이라는 특정 수치를 지니며,

이중결합이 두 개가 있는 양(陽)이온과 비슷한 쌍환성(雙環性) 스퀴테르펜으로서,

이의 염화수소(鹽化水素) 화합물은 결정성(結晶性)을 만들지 않는다.

 

황칠을 칠할 때 사용하는 용제(熔劑)는 알코올·아세톤·에스테르·벤·신나(시너) 등 유기용매이며,

광택은 무광택으로서 내열성·내습성에 침투력이 뛰어나다.

색상은 황금색이나 목재에 칠하면 무늬(木理)가 선명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투명도가 약한 도료로 한다.

황칠을 칠한 후 건조시킬 때는 17∼23℃의 온도가 적합하며, 금속에 칠할 때는 금속을 불에 달구어 칠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건조 시간은 약 4시간 정도로 한다. 황칠의 채취 시기는 1∼11월이나 장마철에는 피한다.

채취 방법은 V자형 특수 손칼로 황칠나무에 一자, V자, O자형으로 약간 깊이 골을 파 놓으면 그 골에 황칠이 고이게 된다.

채취 시간이 많이 걸리고 채취량이 적어 황칠을 얻는 데 어려움이 있다.

 

황칠에 대한 기록으로는, 중국 당(唐)의 <통전 通典>에

“백제 서남지방 바다 가운데 세 섬에서 황칠이 나는데,

6월에 백류(白流)를 채취하여 기물에 칠하면 금빛과 같아서…”라 기록되어 있다.

송(宋)의 유서인 <책부원구 冊府元龜>에는 “당 태종이 정관(貞觀) 19년(서기 645년, 백제 의자왕 9년)에

백제에 사신을 파견하여 금칠을 채취해서 산문갑(山文甲)에 칠하였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또 북송의 손목(孫穆)이 지은 <계림유사 鷄林類事>에 ‘칠왈황칠(漆曰黃漆)’이라 대역함으로써

당시 고려에서는 칠이라 하면 으레 황칠을 대표로 하는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한편 <계림지 鷄林志>에는 “고려의 황칠은 섬에서 난다. 6월에 수액을 채취하는데 빛깔이 금과 같으며,

볕에 쪼여 건조시킨다. 본시 백제에서 나던 것인데,

지금 절강(浙江) 사람들은 이를 일컬어 신라칠(新羅漆)이라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1541년(중종 36)에 간행된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언해 牛馬羊渚染疫病治療方諺解>에는,

"제주에서는 나나니란 이름을 황칠이라 하고, 북나무진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곧 <계림유사>의 황칠과 <계림지>의 황칠을 동일 물질로 본 것으로 일반적인 옻칠과 다른 것임을 분명히 하였고,

황칠은 한반도 어디서나 채취되는 것이 아니고 오로지 섬지방, 특히 제주도의 특산품임을 명기하였다.

 

<참고문헌> 고려나전칠기연구(곽대웅, 미진사, 1984)
<참고문헌> 한국의 목공예(이종석, 열화당, 1988)
<참고문헌> 한국칠기이천년(국립민속박물관, 1989)
<참고문헌> 전통과학기술 조사연구(국립중앙과학관, 1991) 

    
 
[ 황칠관련 방송 ]
 
1. EBS
- 잊혀져 가는 것들(황칠), 방영일자: 2003년 10월 25일(전체 8분 28초)
2. KBS
- 한국의 미(황칠을 찾아서), 방영일자: 1992년 9월 13일(60분)
- 한국의 미(금빛으로 빛나다, 황칠), 방영일자: 2003년 7월 28일(23분 59초)
- 세상의 아침(내나무 갖기), 방영일자:2006년 4월 6일(2부 7시)
3. MBC
- 특선 MBC 다큐멘터리(황칠, 그 천년의 신비) 방영일자:1999년 7월 28일(44분 56초)
- 테마기획 정보뱅크(황칠) 방영일자:1999년 4월 14일(10분 10초)
 
 
[ 황칠의 효력 ] 
황칠은 금칠이란 도료적 특성, 안식향으로서의 기능 외에도 다음과 같은 기능성 약리 효과가 있습니다.
 
황칠이 함유하고 있는 각 성분 별 약리 효과
* 알파-Cubebene : 간질,신경장애,불면증,실신,히스테리,편두통,우울증 치료에 쓰임
* 베타-Elemene : 중앙신경계와 호르몬계를 자극하여 남성 호르몬계와 우울증 치료에 사용
* 베타 -Selinene : 식욕자극제,구토와 설사, 임신중의 구토에 효과
* 알파-Muurolene : 소화기 질환,강장제,발한제 감정완화와 진정제에 쓰임
* Germacrene D : 신경통,얼경불순,두통,혈뇨치료,및 지혈
* 베타-Sitosterol :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 ("시토닐" 현대약품)의 주요성분
 
1. 간세포 보호 효과 (특허출원:2002-18063호)
- 간세포 보호효과를 갖는 황칠 추출물,분획물 및 이들을 함유한 약학 조성물
 
2. 골조송증 및 치주 질환 (특허출원: 2002-15621)
- 경 조직 재생 및 증식효과를 가지는 황실 추출물, 황칠 분획물 및 이를 함유한 약학 조성물, 경 조직을 재생하고
현재까지 연구되어 온 것 (염증치유인대 세포증식, 치은 세포증식)과 달리 조골세포의 증식을 증가시켜 치료하는 물질.
 
3. 항산화 효과
- 천연 항산화제로 사용되는 a-Tocopherol과 같은 항산화 효과(노화방지)를 나타냄.
 
4. 번열제거, 술해독, 안질 및 황달치료, 화상치료, 나병 치료에 효과
- 이시진, 본초강목, 중국 문광 도서
 
5. 안식향 효과
- 갑작스런 가슴아픔(卒然心痛), 어린이 복통(小兒腹痛), 어린이 경기(小兒驚邪), 관절통(歷節風痛)
- 이시진, 본초강목, 중국 문광 도서
 
Comment '2'
  • 비밀금붕어 2012.07.05 12:37 (*.107.55.43)
    콘서트급 고가 기타 마감을 황칠로 한 번 해보심 좋겠네요. 도료값이 기타한대당 한 500만원정도 들어간다고 하던데... 여유있으신분... 황칠게시물이 보여 점심시간을 이용 제가 아는 교수님 황칠 논문(천연칠이라면 흔히 옻칠을 떠올릴 것이다.그러나 한반도에서 자생하는 황칠나무에서만 유일하게 분비되는 황칠이 있다. 황칠은 옻칠처럼 나무에 상처를 내면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서 나무가 분비하는 유백색의 액체이다. 이것들이 굳으면 옻칠은 검게 변하고 황칠은 노랗게 변한다.황칠은 양이요, 옻칠은 음이다. 황칠은 햇빛에 경화시키고, 옻칠은 어둡고 습한데서 경화시킨다...)을 오랜만에 꺼내 봤습니다. 황칠매니아.. 차도 황칠차... 제기타 마감도 황칠 아주 쬐금(돈이 딸려서...) 들어가있는 ㅎㅎㅎ
  • 2022.01.03 13:42 (*.245.82.194)
    황칠은 양
    웃칠은 음 이군요

    좋은 이야기 잘 들었어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4 이작펄먼의 바이올린. 2001.02.28 4174
233 ☞ 사용소감 4 Lew 2001.06.14 4174
232 장마철엔 조심해야죠........ 1 2001.06.26 4172
231 ☞ 베르나베 연습용은 하청... ^_^ 2001.03.19 4169
230 고맙습니다. 명노창 2000.10.09 4167
229 앞판 사진 file 일랴나 2000.12.28 4166
228 ☞ ☞ ☞ ☞ ☞ 저도 한벌 안될까요?? 왕초보 2001.02.03 4165
227 무대용과 녹음용 악기의 차이?? 4 일랴나 2001.04.09 4165
226 아름다운 CF 한편... 木香 2001.04.13 4165
225 ☞ 네크가 휘는경우는요....... 2000.12.27 4164
224 ☞ ☞ ☞ 앙...으랏차차님 이구나..... 명노창 2001.03.26 4164
223 기타와 장마 2 새내기 2001.06.25 4164
222 수님 반갑습니다....그리구요.. yosip 2001.03.14 4160
221 스테판 슈미트의 악기를 알고싶읍니다. 매니선 2001.02.25 4158
220 ☞ 폴피셔 누구까?....퍼온글(붙이는 재미에) 2000.11.17 4154
219 같이 잠수함 타게요.. 지우압바 2000.10.31 4153
218 웅수엉아 봐주십시요 이영남 2001.01.27 4148
217 베르나베라는 악기가 궁금합니다 악기사랑 2001.03.06 4145
216 몬테로 부쉐모델 쓰시는 분 안계시나요? 간절한 2001.03.29 4145
215 ☞ 하현주를 낮추면??? ... 글쎄요...??? pepe 2001.05.07 4139
214 타우너를 우습게 알다니 ...이노옴! 센빠이 2000.11.12 4138
213 이런이런... 악보네방장 2000.10.10 4138
212 네크가 휘는경우는요? 망상 2000.12.27 4132
211 ☞ photo of my guitar-1 으랏차차 2001.03.26 4132
210 기타도료에 관한 사소한 질문입니당-특히 수님께 여쭙니다용??? 3 간절한 2001.05.05 4131
209 묀히를 아시나요? 스기 2001.01.07 4130
208 ☞ Jeffrey Elliott 헤드부분 file 일랴나 2001.01.27 4129
207 ☞: 전 명노창님 욕한적 없는데요? 흐흐흑... 개발 2000.09.01 4129
206 제발 귀 좀 귀울여 주심 안될까요? 전우화 2000.11.03 4128
205 ^^;;;; 으랏차차 2001.01.28 4127
204 ☞ 타우너를 우습게 알다니 ...이노옴! 지우압바 2000.11.12 4124
203 궁금 guitarra 2001.02.20 4123
202 기타왔습니다 3 박카스 2001.06.22 4123
201 최근에 기타제작 콩쿨이 있었다는데.. 방문객 2001.03.31 4122
200 여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만... 미니압바 2001.01.29 4118
199 ☞ 수님만 보세요... 곰팽이 2000.10.30 4117
198 친구가 기타샀다. 3 매냐 2001.08.29 4116
197 ☞ 가오리가 쓰는 기타가? 왕초보 2001.04.05 4115
196 수제품기타의 정의는? 으랏차차 2001.03.16 4114
195 개풀님~ 하하 ...다혈질이시져? 개풀 2000.08.18 4112
194 ☞ 전문 제작가인 웅수엉아에게 상의해보세요... 명노창 2001.01.27 4111
193 저도 칠이넘 어려워요......... 2001.02.16 4110
192 내가 가지고 싶은 기타..이런 기타가 있나여? 형서기 2001.01.02 4109
191 ☞ 지판을 딱을 때... 木香 2001.07.14 4109
190 수님감사함다. 곰팽이 2000.11.05 4108
189 Frank Bungarten의 악기 기타마니아 2000.10.24 4105
188 케이스를 한번 만들어보면? 3 최성우 2001.07.15 4102
187 자문자답 병서기 2001.08.31 4102
186 ☞ 이마이 기타마니아 2000.11.28 4100
185 whammy bar acoustic guitar 1 persecutaa 2019.11.08 4099
184 외국기타의 주문방법좀 가르쳐 주셔요, 간절한 2000.11.11 4098
183 케이스에 대한 질문. 1 최성우 2001.07.14 4098
182 베르나베 아자씨.... 음.. 할아버진가?? file 변소반장 2000.12.05 4096
181 이런....................아항.. 지영이 2000.10.13 4095
180 제가요 기타를 배우는 데요... 기타리스트 리 2001.01.28 4095
179 기타사고 싶어요 구경본 2001.01.20 4094
178 아유...그런거 지천이야요... 2001.05.06 4094
177 몇가지만 더 여쭤 볼게여~~~ 3 기타랑 2001.05.18 4093
176 이그나시오 로자스가 어리 갔나 했더니... 매냐 2001.08.29 4093
175 브리지 12홀 제작 2 file 2020.08.29 4092
174 앞판사진 file 일랴나 2000.12.28 4091
173 기타 추천 바랍니다. 1 박재만 2001.03.28 4090
172 ☞ 8현사랑. 피어리나 2001.03.17 4088
171 ☞:홀에 대해서 질문... bronto 2000.06.15 4084
170 수님께선 어쿠스틱 기타 제작은 안하시나요? ^^;;;; 짱팔이 2001.07.11 4083
169 기타 계간지가 있다고 들었는데.. 윤성규 2001.03.13 4082
168 기타 앞면에 사용되는 원목관련 문의드립니다 3 릿지우드 2020.08.17 4080
167 기타를 사랑한다 하면서도 maria 2001.03.15 4080
166 음질의 이중성. 1 날카론시각. 2001.08.27 4080
165 어린칭구가 연주할 기타는 얼마나 작아야죠? 김종표 2001.03.02 4079
164 ☞:내가 원하는 기타는... 김남호 2000.08.27 4079
163 ☞뜨아..울림은 좋을것 같은데 맑지는 않을것 같다... 명노창 2001.03.10 4078
162 ☞ ☞ 정말 스페인에 가면 바로 살수..... 간절한 2001.03.29 4076
161 요즘은 장마철이라 습도가 높져... 1 2001.07.02 4076
160 이런.................... 이재화 2000.10.13 4075
159 Boaz Elkayam_Recording Guitar file gaspar 2000.12.28 4074
158 기타만들고파~ ganesha 2000.07.04 4073
157 정말 감사합니다 일랴나 2000.12.29 4072
156 줄감개가 기타음색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파뿌리 2001.02.15 4070
155 네크의 두께.. 2 으랏차차 2001.04.20 4070
154 이런 이재화 2000.10.13 4069
153 ☞ 마린 나온거 있습니다..... 덜렁이 2001.02.18 4066
152 알고 싶어요 평민 2000.11.18 4063
151 직업때문에 연주회 구경 못가는 심정 백영업 2001.03.17 4063
150 로제트사진 file 일랴나 2000.12.28 4062
149 ☞ ☞ 제글이 없어 졌네요..... 명노창 2001.02.03 4062
148 귀찮기는요. 기쁘게 보내드리죠. 가스파르 2000.10.12 4058
147 제 기타가 이상해여....ㅜ.ㅜ 7 고정욱 2001.06.26 4058
146 수님~! 3 박카스 2001.06.22 4058
145 ☞ ☞ 기타 제작자 이야기(3) 기타마니아 2000.11.19 4057
144 7 2001.06.22 4057
143 연이은질문]Paul Fischer에 대해... 형서기 2000.10.21 4053
142 ☞ ☞ 더하기 위치... 화음 2000.12.03 4053
141 ☞ 앗...그래였나? ("@") 2000.11.27 4053
140 앞판사진 file 일랴나 2000.12.28 4053
139 부럽당...정말 부럽죠? sophia 2000.10.22 4051
138 기타줄을 새로 바껐는데여... 4 ... 2001.05.10 4051
137 이마이딜러가 그만뒀다고 그러네요.... 2000.12.11 4050
136 카즈오 사또 시몬(?)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5 청년 2001.04.10 4050
135 아래 글 올린 왕 초보 입니다.. 전우화 2000.11.03 4049
Board Pagination ‹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