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최동수2008.08.25 14:57
B-1, 4, 6, 및 10 해당 : 완전한 밸런스는 가능한가(Wolf vs Sharp Tone)
Tap tone의 비밀

Tap Tone이란 말하기는 쉬워도 실제로 악기를 Tapping하여 Tuning하는 일은 그리 간단하지 않습니다.
외국에도 재료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Tapping 하는 제작가는 있어도,
제작도중에 Tapping하여 Tuning하는 이들은 드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 그 성과조차도 아직까지는 의문스럽습니다.

공연히 과학 들추기를 좋아 하는 이들의 화제 깜으로는 안성맞춤 격이기도 하지요.
스트라디바리우스가 과학적 산물이 아닌 것처럼, 미술이나 공예를 과학으로 다루려는 사람이,
저에게는 예술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으로 보입니다.

Tap Tone에 관해서는 저의 주관적인 견해를 피하고 싶으므로,
여러 제작가들의 문헌에서 발췌하여 요약하도록 하겠습니다.
읽으신 분들이 신중히 판단하고 및 적용하시기를...


B-A. Overholtzer의 Tap Tones :

“Tap Tone”이란 바이올린이나 기타 제작가가 특정한 나무가 어떤 음질(음색, 음조, 울림)을 갖고 있는지
알기 위해 나무를 두드려 보는 것을 의미한다.

나무의 음질을 결정하는 요소로는 크기, 모양 및 밀도가 주로 연관된다.
그 외에도 나무의 음향을 바꾸는 다른 몇 가지가 있으니 노출기간도 그 하나이다.
목재의 표면을 Scrapping 하자마자 바로 Tapping 하면 Scrapping 한지 오래된 것과 다른 톤을 내게 되는데
주위의 공기에 의해서 표면이 변질강화 되는 까닭이다.
마찬가지로 마감도장도 당연히 Tap Tone에 영향을 끼친다.
나무의 형태도 음향에 영향을 준다.

제작 중에 전후측면을 얇게 다듬어서 음질을 조절하는 제작가도 있지만,
줄을 맨 다음에도 Scraping 또는 Sanding하므로서 음질을 향상시키려는 제작가도 더러 있다.
솔직히 나도 그 중의 하나이지만, 그렇게 해봐도 음질의 향상은 극히 미미할 정도이다.
나는 일련의 Tuning작업을 염두에 두고 전후측면판을 미리 약간 두껍게 처리하기도 한다.

기타의 마감도장이 음질에 크게 영향을 주므로, 칠하기 전의 두께로 음질을 예상하기란 정말 어려운 일이다.
Violin & Guitar Makers Association의 멤버이며 잘 알려진 바이올린 제작가인
Ben Harrison은 청각장애인이다.
그는 전후판을 Tapping하여 부드러운 진동이 느껴질 때까지 다듬는다는 것이다.
악기를 Tuning 해본 사람은 이 부드러운 느낌의 진동의 의미를 이해할 것이다.

현의 튜닝과 마찬가지로 나무의 튜닝 시에도 2개의 다른 음조가 겹쳐 나올 때 어떤 범위 내에서는
부드럽게 들린다.
이는 대부분의 화음이 부드러운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예를 들어, 6번현(E)의 5번째 Fret(A)을 퉁겨서 5번 개방현(A)과 음조가 같아지면
부드러운 소리(공명)가 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다시 말해, 각각 다른 크기나 두께의 나무판을 동시에 Tapping 하여 부드러운 진동이 느껴지는
나무끼리 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람들은 내가 정말 기타에 들어가는 모든 구성재를 일일이 Tapping하는지 궁금해 할 것이다.
나는 전후측판 뿐아니라 부챗살, Transverse Bar, Lining Block, Tail Block, Bridge는 물론
Neck까지 모든 부품을 Tapping 한다.
각 부품의 형태가 음조를 결정하므로 마무리는 일일이 수작업을 한다.

사람들은 나의 Tuning의 비밀을 알고 싶어 할 것이다.

만천하에 공개하건데, 나는 기타를 구성하는 어떤 부품의 음조를 분석하는데 관해
눈꼽만큼의 지식도 갖고 있지 않다.
나는 단순히 기타목공일 뿐이고, 나무를 오랜 세월동안 다루어왔으며,
책에 있는 원리원칙대로 나무를 선정 할 뿐이다.
그러나 그렇게 만든 기타가 국제 바이올린 및 기타 제작가협회 경선대회에서 1969년에
Grand Champion의 영예를 받은 걸 어쩌랴?

Helmholtz, 음향학계의 최고 권위자인 그의 문헌에서 효과적인 공명에 관한 필요조건도 다 읽어봤고,
그와 톤에 관한 모든 것을 토론하기도 하였다.
그는 서로 다른 2개의 판재 간에 가장 큰 공명을 얻으려면 이론상 2장이 정확히 같은 음조로
튜닝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Helmholtz의 이론에 따르려면 기타의 모든 부품이 같은 음조가 되어야 된다는 것인데,
그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므로,
부드러운 소리가 차선책이 되는 것이다.

만약 발현공명의 제일 큰 역할을 하는 전후측면조차 공명이 안 된다면
명기는 되지 못할 것이 분명하다.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