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쏠레아2005.09.16 09:15
참고하세요 ^^

난을 제대로 기른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한 뼘 크기밖에 안 되는 난분 속의 조화를 알 수만 있다면 잎끝 하나 상하게 하지 않고 난을 기를 수 있으련만 그렇지 못하여 애를 태우고 있다.
난 잎도 잎이지만 꽃을 피우기는 만만치 않아 난을 길러도 꽃을 피워보지 못했다는 얘기를 자주 듣는다. 난에 관심이 별로 없는 사람도 난 꽃의 향기에는 반하지 않을 수 없다. 더더구나 자기가 직접 난을 길러 꽃을 피웠다면 그 감격스러움은 어디에 비할 바가 아니다.

우리는 흔히 난 가게에서 꽃이 잘 피어있는 난을 구입하게 된다. 남이 피워낸 난 꽃이긴 하지만 이를 감상하기에 앞서 꽃이 피기까지의 과정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난이 꽃을 피우기 까지의 준비과정을 살펴보면 난 꽃을 감상하는데 재미를 더하기 때문이다.

난 꽃이 피려면 꽃눈이 형성되어야 한다. 자생지에선 기후의 변화 등으로 십중팔구 꽃눈이 트지만 집에서 기르는 난은 꽃눈 틔우기를 하지 않으면 꽃이 피지 않는다. 물론 꽃눈 틔우기를 하지 않았다고 하여 전혀 꽃이 안 피는 것은 아니지만 대개 피지 않는다.
화아분화(花芽分化)라고 하는 꽃눈 틔우기는 인위적으로 적당한 시기에 물주기를 중단하고 햇볕의 양을 늘리는 등 평소에 관리하는 것보다 악조건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즉 평소보다 조건이 나빠지어 고통을 느끼게 되면 종족보존이라는 삶의 본능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꽃을 피우게끔 유도하는 것을 두고 꽃눈 틔우기라 일컫고 있다. 자생지에서 보면 짐승에 의해 잎이 잘려 몽당빗자루처럼 된 난에서 피어난 꽃이 주위에 있는 성한 잎의 난에서 피어난 꽃보다 꽃대의 수도 많고 꽃의 색깔도 아름다운 것을 더 많이 볼 수 있으며 새촉 또한 실하게 나온다. 열악한 상태에서 아름다운 꽃이 핀 것은 바로 종족보존의 본능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꽃눈을 틔우려면 난의 종류에 따라 물을 짧게는 1주일 길게는 한 달 정도 주지 않고 오전에 햇볕을 충분히 쬐여 온도를 높이고 습도는 낮게하여 주어야 한다.
동양란에 있어 꽃눈 틔우기를 하는 시기는 대체로 다음과 같다.
건란(建蘭), 옥화(玉花) 등의 하란(夏蘭)은 4월 중에 꽃눈 틔우기를 실시하면 55일 정도 지나 꽃이 피며, 관음소심(觀音素心) 등 추란(秋蘭)은 5월 중순부터 6월에 실시하여 90∼100일이 경과하면 개화하며, 한란(寒蘭)은 6∼7월에 실시하여 110일이 지나면 꽃이 핀다.
음력 세모에 꽃이 피는 보세(報歲)는 7월 중에, 봄에 꽃이 피는 춘란은 장마가 끝나는 시점인 7월 말에 실시하여 장장 240여 일이 지난 다음에 3월에 꽃이 핀다.
풍란과 석곡은 10월에 실시하여 230여일 정도 지나 다음해 6월에 꽃이 핀다.
꽃눈 틔우기를 했다고 해서 저절로 꽃이 피는 것은 아니다. 꽃대가 살아남도록 알맞는 관리를 하여야 한다.
봄에 꽃이 피는 식물들은 대체로 가을에 꽃망울이 생겨서 서너달 정도 지난 이듬해 봄에 꽃이 피지만, 난은 이들보다 2배∼3배 이상의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난이 꽃 피는데 왜 이렇게 긴 시간을 요하는 지는 알길이 없다. 굳이 이유를 찾는다면 난이 갖고 있는 식물적인 생리 때문이 아닌가 하고 짐작만 할 따름이다.
춘란의 꽃이 피기까지의 긴 시간동안 꽃대의 관리 문제는 많은 인내를 필요로 하고 있다. 난을 기르는 것을 두고 기다림을 익히는 일이라고 하는 것은 어쩌면 꽃대를 관리하는 것을 두고 말하는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

우리 춘란의 꽃을 피우는 것은 어떤 의미에선 꽃을 만들어 낸다고 할 수 있다.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