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한국어
최동수2011.09.10 14:25
3-6. 부챗살과 상목의 디자인 사례(1958년 이전 것은 제외함).

3-6-1 : 여러 제작가들의 디자인 사례 :

- 하현주 직하부에 횡상목 설치 :
Robert Bouchet(1967), Daniel Friedrich(1969), Robert Holroyd(1983).
Richard Schneider(1973).

- 브릿지 하부에 덧판 부착 :
Arcangel Fernandes(1958) Iganacio Fleta(1960), Hernandez y Aguado(1963)
Miguel Rodrigues(1976), Robert Ruck(1981), Masaru Kono(1963).
Richard Brune(1986), Paulino Bernabe(1994).

[주] 현대에도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덧판을 붙인 악기가 많음

- 브릿지 하부에 아무것도 부착하지 않음 :
Mauel Velazquez(1966), O.Raponi, Jose Romanillos(1980), David Rubio(1981),
Martin Fleeson(1981), Hermann Hauser 2,3세, Jose Ramirez 3세.

- 아랫상목 자체를 비스듬히 설치 : Robert Ruck(1981), Robert Holroyd(1983),
Martin Fleeson(1981). John Gilbert(1985)

- 구부러진 아랫상목 설치 : Herman Hauser 2,3세(1989).

- 경사진 상목을 추가 설치 : Ignacio Fleta(1960)

- 경사진 상목을 아랫상목의 중간까지만 추가 설치 : John Gilbert(1985).
Miguel Rodriguez Jr., Jose Ramirez 3세

- 부챗살을 브릿지를 중심으로 앞뒤로 나누어 설치 :
Richard Schneider(1973), Thomas Humphrey(1990). Simon Marty

- 부챗살을 격자형으로 설치 : Greg Smallman(1987), Jim Williams(1992)

- “八” 자형 작은 상목의 각도를 줄이고 짧게 설치 :
Hermann Hauser 2세, Arcangel Fernandes(1958), Jose Ramirez Ⅲ(1960),
Miguel Rodriguez Jr.(1976),

[주] : 플라멩코 기타에 이런 사례가 많음

- 八 자 상목을 아예 없이함 : Herman hauser 3세(1989),Dake Traphagen,
Paulino Bernabe(1994), O.Rapony(1974), Daniel Fridrich(1969), Robert Bouchet.
[주], 대부분의 플라멩코 기타에도 설치하지 않음.




3-6-2. Kasha Design 검토 :

음향학자인 Dr.Michael Kasha는 기타제작가인 Richard Schneider와 공동 연구 끝에
과학적 개념에 입각하여 전혀 새롭고 획기적인 기타의 설계를 완성시켰다.
이 설계에 의하여 Schneider는 “Wanda"라는 이름의 기타를 제작한바, 이미 세계적인
명기의 반열에 올라있다.

Kasha Design에 대해 설명하자면 워낙 그 내용이 방대하므로 추후에 다루기로하고
여기서는 그 특징적인 요약만 하고자 한다.

- 브릿지의 형태가 비대칭형으로, 이를 근간으로 하여 구부러진 상목과 아래위로
나누어진 많은 수의 부챗살이 전적으로 음향이론에 따라 배열된다.

- 네크, 지판의 경사, 브릿지 하현주의 높이 및 음향판의 작동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발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 심지어, 기타에서 금기시 하던 관습을 깨고, 머리와 몸통의 아랫지주에 금속체를
묻어 탄현에 대한 관성까지 증진시켰다.

- 측판의 아랫몸통 쪽에 손이 들어갈 수있는 여닫이식 개구부를 만들고, 이를 통하여
자유스럽게 내부 부챗살을 튜닝하였다.

- 고유 음조를 후판이 음향판보다 반음을 낮도록 G 및 G#을 살짝 비켜서 조율하였다.
- 현장을 670mm까지 늘렸다.


[평가] :
- 브릿지 부위에서 부챗살을 윗몸통과 아랫몸통의 양쪽으로 나누는 것은 참신한
발상 이다.

이 경우 균등한 배치가 아니므로 발현 에너지의 배분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이렇게 부챗살이 나뉨으로서 저음의 발현 시 상당히 큰 반응을 보여준 것은
확인 되었다.
상하로 나뉜 부챗살이 음향판의 비틀림에 견디는 구조적으로도 안정적이었다는
것을 체험하게 되었다.

- 그러나 음질의 균형과 발란스는 우수하나, 음색이 특히 더 좋아진 것은 아니고
음량도 늘어나긴 하였지만 엄청나게 커진 것은 아니었다.


현대 기타의 상목이나 부챗살의 배치야말로 오랜 세월을 거치며 오늘에 이르렀듯이,
Kasha Design도 차후 많은 실험과 경험을 거쳐 개량을 거듭하여, 더 큰 음량으로의
증대 뿐아니라 음질의 조율을 할 수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음은 괄목할만하다.




3-6-3. Greg Smallman Design 검토 :

Greg Smallman의 기타는 음향판이 아주 가벼운 대신 측판과 후판은 이중판구조로
아주 탄탄하고 무거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가 자기류의 기타를 설계하기 전에 그는 세계적인 명기들의 디자인대로 부챗살을
모든 종류대로 다 만들어서 실험 해보았다고 한다.
그러나 크게 달라지는 게 없더라는 얘기다.

심지어는 부챗살이 향공을 건너지르도록 해봐도 별로 달라지지 않더라는 것이었다.

한번은 기타를 아주 탄탄하게(Tight) 만들었더니 소리가 빵빵거리더라는 것이다.


Smallman 기타의 특징을 대충 요약하면 :

- 전체 무게는 명기들의 평균무게(1600gr.) 보다 훨씬 무거운 2400gr. 정도 된다.

- 음향판의 고유음정을 G내지 G#의 중간 정도로 조율을 한다.

- 음향판 재료는 주로 Red Cedar만 사용한다.

- 부챗살 대신 80⁰ 각도의 18개의 부챗살로 대칭형 격자를 짠다.

- 부챗살은 다듬기 전에 3×8mm로서 부드럽고 탄력 있는 Balsam wood를 사용하며,
하측에는 Carbon Graphite Fiber를 부착한다.

- 음향판의 두께는 아주 얇은바, 브릿지 근처 중앙부위는 1.6mm정도이고 ,양쪽 변은
0.6mm밖에 안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물론 이 부분도 하부면에 Carbon Graphite Fiber로 보강 하였다.

- 측, 후면은 음향판의 진동에 의해 발생된 음압의 반사작용에 주안점을 두어 탄탄하게
제작하여, 공기의 진동을 모두 반향 시키도록 한다.

- 전면판의 아래에 두께 13mm정도의 두꺼운 내수합판을 사용하여 측판의 변형이 거의
없도록 고착시키고, 그 위에 전면판을 부착하였다.

- 네크도 기울기를 지판 위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조정나사를 심었다.

Smallman의 악기는 전통적인 설계와는 거의 반대방식으로 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인 명기의 반열에 올라있는 것이다.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