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이거... 기억 나시죠??



악보래요....





[도깨비 뉴스]

네티즌들의 갖은 추측을 낳게 했던 ‘죽음의 왈츠’ 악보. 지난 28일 ‘이 악보 대로 연주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라는 제목의 도깨비뉴스 기사가 소개된 후 이 악보는 많은 네티즌들 사이에 화제가 됐으며 또 실제 이런 악보가 있는지 없는지 궁금증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작곡가 겸 편곡가인 최완규(31세)씨가 궁금해 하는 독자들을 위해 위 악보에 대한 정보를 전화로 알려 줬습니다.  최완규씨에 설명에 따르면, ‘죽음의 왈츠’라는 제목이 붙은 이 악보는 연주자를 위한 악보가 아니라 곡의 흐름을 알기 위해 ‘지휘자 용’으로 만든 것이라고 합니다. 음악용어로 ‘콘덴스 스코어(condense score)’라고 하네요.

콘덴스 스코어는 편곡을 개괄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기본 구성은 ‘고음부와 저음부에 의한 2단 표기’되는 것을 비롯해, 각 섹션(악기)별로 몇 단의 보표를 사용하기도 하나 그 형태는 일정하지 않다고 합니다. 즉, 편곡자에 따라 달라 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위 ‘죽음의 왈츠’ 악보를 보면 오선이 2단으로 된 것도 있고, 3단으로 된 것도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 악보 중간 중간에는 악기 이름이 나오기도 하는데 이것은 악기별로 어떻게 연주되는 것인지 그 선율의 흐름을 읽을 수 있게 적은 것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한 명의 연주자가 위 악보대로 연주하는 것이란 처음부터 맞지 않는 일이었습니다.

최완규씨는 “편곡하는 사람들은 위 악보를 보고 선율의 흐름을 알 수 있겠지만, 아마 편곡이나 지휘자 외의 사람들은 잘 알 수 없었을 것”라고 말했는데요. 그도 그럴 것이 콘덴스 스코어는 주로 현대곡에 많이 쓰인다고 합니다. 또, 우리나라에서는 콘덴스 스코어의 사용이 드문 편이라고 합니다.

끝으로 최완규씨는 위 악보에 대해 “콘덴스 스코어는 주 흐름만 읽을 수 있기 때문에 위 악보에 대해서 가장 정확히 알고 있는 사람은 편곡한 사람 본인 뿐”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악보 대로 연주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이게 정녕 악보란 말입니까?”
최근 인터넷 게시판을 돌아 다니는 악보 한 장에 네티즌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하얀 오선지 위에 빽빽이 들어 찬 음표들, 암만 눈을 휘둥그레 뜨고 바라봐도 시선을 어디에 둬야할지 당혹스럽기만 하다.
음악에 문외한인 사람들이 보기엔 ‘악보’라기 보다는 오히려 ‘설계도면’ 쪽에 가까워 보일 수도 있겠다. 과연 저 악보대로 연주하는 사람이 있을지…

“악보를 보고 있자니, 눈이 뱅글뱅글 돕니다”  “상상을 초월하는 악보네요”  어지럽게 '정리'된 음표와 음악기호에 네티즌들은 “도저히 피아노 칠 엄두조차 나지 않을 것 같다”고 입을 모은다.

네티즌들 사이에 ‘죽음의 왈츠’라는 곡으로 알려진 위 악보는 한 달 전부터 부쩍 게시판에 많이 올라오고 있다. 이 악보는 어느 곳에도 ‘출처와 설명’이 달려있지 않아 네티즌들은 악보에 대해서 갖은 추측을 하고 또 해설을 곁들이고 있다. 네티즌들의 추측과 해설이 재미 있고 기발하다.

네티즌들이 쏟아낸 추측 중 우선, “연주하기 위해 만든 악보가 아니라 그냥 전시하기 위해 그린 악보일 뿐”이란 의견이 눈에 띈다. 다음카페 엽기혹은진실의  ‘o0WaterMelo’님은  위 악보에 대해 “연주하려고 만든 악보가 아니라 그냥 악보 자체의 미를 위해서 만든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네이버 블로거 ‘흰둥이’님도 “어릴적 레슨실의 한쪽 벽면에 거대한 고딕양식의 중세 성을 위 악보처럼 그려놓은 걸 본 적이 있습니다. 연주하는 악보가 아니라 그냥 예술작품으로 표해놓은 악보였어요”라며 “위 악보 역시 단지 눈으로 즐기기 위한 그림이 아니겠냐”는 글을 남겨 ‘o0WaterMelo’님의 의견에 동조하기도 했다.


이와는 조금 다르지만, “사람이 연주하기 위해 만든 악보는 아닌 것 같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다음카페 ‘엽기혹은진실’의 ‘민트소다’님은 “손가락이 20개가 아닌 이상 위 악보대로 연주는 못할 것 같다. 미디(midi/ 컴퓨터 음악) 전용으로 만든 음악이 아닐까 싶다”는 의견을 조심스럽게 내놓았다.


“실제 미국의 어떤 사이트에서는 위 악보를 컴퓨터에 집어 넣으니 첫 소절 연주 후 컴퓨터가 멈춰버렸다”는 설도 많이 퍼져 있다. 그 만큼 이 곡이 복잡하고, 난해하다는 것을 돌려서 표현한 것일 수 있으나 일부 네티즌들은 “저런 곡 정도면 충분히 컴퓨터가 다운될 수도 있겠다”며 고개를 끄덕인다.

유머사이트 웃긴대학(http://www.humoruniv.com)에는 한 네티즌이 위 악보를 직접 컴퓨터로 돌려 본 것이라며 ‘음악파일’을 올려 관심을 끌기도 했었다. 웃긴대학의 'krout'님이 “위 악보의 midi파일을 받아서 직접 큐베이스라는 전문 시퀀스 프로그램에 넣고 돌렸는데 컴퓨터는 아무 문제가 없었다”는 글을 올려 화제가 된 것.

  
http://web.humoruniv.com/board/humor/read.html?table=pds&pg=4&number=137477


그러나  'krout'님이 올려 놓은 음악파일을 들은 한 네티즌은 “악보랑 음악이랑 다른 것 같습니다. 피아노를 12년간 쳤는데 악보에 비해 음악이 단순하다”며 이의를 제기하기도 했다.

온갖 추측이 난무하고 있는 두 장의 악보. 과연 진실은 무엇일까.
위 악보에 대해 S대학 음대 피아노학과에 문의해 봤더니, 익명을 요구하는 피아노학과의 조교는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악보 중간에 나오는 66/66이라는 박자도 이상하고 음역이 너무 넓어서 두 손으로 악보대로 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물론 두 사람이나 세 사람이 함께 칠 수도 있겠지만, 왈츠 곡이 될 것 같진 않다”고 밝혔다.
또, “악보 위에 적혀 있는 ‘Arranged by Accident’는 ‘우연히 편곡됐다’라는 의미이며, 작곡가로 표기되어 있는 John Stump는 처음 들어봤다”고 설명했다.



--------------------------------------------------------------------------------------------------


어째... 의문이 더 깊어진 것만 같은.......


시퀀싱했다는 화일도 악보랑 다른 곡 같은데...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937 2012년에는 더욱 발전하는 기타매니아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 바투뱅 2011.12.31 5985
6936 돈준다고 했더니 2015.12.04 5984
6935 들꽃 잔잔 2015.08.31 5984
6934 여초 김응현 1 file 콩쥐 2013.01.04 5984
6933 도끼질 4 file 콩쥐 2013.03.05 5984
6932 울 고모부가 울집 개 먹었어요. - 펌 14 오모씨 2004.08.11 5983
6931 친구 2012.02.10 5982
6930 눈물이 납니다.. 3 김동현 2003.04.01 5979
6929 브라만 입고있는 이효리. 13 file 콩쥐 2008.02.23 5978
6928 존경받던 태국 왕 1 2017.04.30 5977
6927 안철수 무릅팍도사 10 철수 2011.11.14 5977
6926 [다큐]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12 찬찬 2010.12.26 5977
6925 10조가치의 대담. 1 자료 2012.12.05 5977
6924 [re] 안타까운 토고의 뒷이야기(펌) 5 file 콩순이 2006.06.17 5974
6923 닭도 추워서 8 file 콩쥐 2011.12.16 5972
6922 요즘 뜨는 경음악 음악 2015.09.16 5971
6921 질문 - 파가니니가 사용한 기타 2 SPAGHETTI 2009.11.08 5971
6920 닭잡기게임 오류발생.... 이런 일이... 6 file 딸기 2004.02.06 5971
6919 연설 방해에 대처하는 오바마 방식 4 꽁생원 2013.12.04 5969
6918 오늘 선물드립니다. 4 file 금모래 2011.10.27 5969
6917 ioc위원 2 콩쥐 2012.08.16 5968
6916 대건안드레아님~ 천주교 강화성당 3 file 콩쥐 2012.06.26 5967
6915 태극기... 1 휴... 2004.02.12 5967
6914 내가 살고 싶은 마음의 고향 같은 곳(Meeting of The Waters)강물이 만나고 계곡으로 둘러 쌓인 곳 5 file ESTEBAN 2012.06.30 5967
6913 함부로 해부하기전에... 자연이라는 의미를 알아보기... pepe 2002.10.19 5966
6912 독일과 이태리 청년정책 타임즈 2015.05.19 5965
6911 바닷가에서의 연주 바닷가 2015.09.09 5965
6910 마약먹이고 성폭행 2 이런 2011.08.20 5965
6909 혹시 그 곡 아세요? 금모래 2009.01.20 5965
6908 니말 듣고 두딸 낳았대 3 꽁생원 2012.02.24 5960
6907 섬소년님 사진 2 file 콩쥐 2013.05.03 5955
6906 기타 칠 때 담배 피면 안되는 이유. 21 지어 ㄹ 2004.03.15 5954
6905 존엄하게 죽을 권리 - 연명치료거부사전의향서 꽁생원 2015.04.04 5950
6904 아파트 file 보기엔 2015.07.26 5949
6903 휴대전화 비밀번호 알아내는 법 10 아이모레스 2006.10.26 5947
6902 행복한 하루! 1 햄톨 2004.09.03 5947
6901 외계인은 존재하는가? 8 외계인 2012.07.10 5946
6900 개복숭아 file 콩쥐 2012.06.10 5946
6899 미국이 미치는 지대한 영향 기사 2014.08.20 5944
6898 bam case 콩쥐 2017.07.14 5943
6897 저녁노을 2 file 콩쥐 2012.09.14 5942
6896 퍼시발 VS 야마시타 1 전투 2015.05.01 5938
6895 gmland 2003.03.26 5938
» 이거 악보 맞대요...-_-;; file 삐약이마니아 2005.02.01 5937
6893 깨달음 주는 글 좋은글 2015.02.26 5936
6892 마스크의 장점과 단점(잘못 알고 있는것) 1 에스떼반 2021.01.27 5935
6891 독일문화 들여다 보기 1 탐방 2015.04.23 5935
6890 니가 가라~중동 중동건설 2015.03.21 5935
6889 언약궤와 예수님 2 노동환 2012.12.25 5935
6888 [펌] 아버지 그리고 어머니.. 3 그놈참 2004.03.18 5935
Board Pagination ‹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