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41.147.40) 조회 수 9289 댓글 19
기타와는 별로 상관 없긴 하지만, 음악을 사랑하시는 분들이 득시글(?)대는 기타 매냐이니 걍 한번 물어보렵니다. 아들 녀석에게 피아노를 배우게 해볼까 생각 중인데요, (클래식 기타는 이놈이 영 흥미를 보이질 않아서... 평소 제가 하도 버벅거리면서 연주를 해서 완전 나쁜 인상을 심어준 것 같습니다. -_-;;;;;) 제가 아는 피아노 전공자 한 분은 '반드시' 진짜(?) 피아노, 즉 어코스틱 피아노를 중고로라도 장만하여 배우게 하라고 권하더군요.

하지만, 차지하는 공간이나 가격 등을 볼 때는 디지털 피아노가 분명 좋은 대안일 것 같은데... 물론 디지털 피아노와 어코스틱 피아노 여러 가지 차이점이 있겠습니다만... 피아노를 처음 배우기 시작할 때 반드시 어코스틱 피아노로 해라, 디지털 피아노는 못쓴다... 라는 말에 대해 어찌 생각하시는지요.

(흐유... 집이 워낙 난장판이라 사실 피아노 놓을 곳도 마땅치 않답니다. ^^;;;;)

기타와 관련된 문제는 아니지만, 매냐님들의 고견을 들어봤으면 합니다.
* 수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6-01-30 09:04)
Comment '19'
  • op15 2006.01.20 16:23 (*.125.250.1)
    저도 피아노는 문외한인지라 딱부러지게 답은 못해드리겠으나, 글을 읽어보니 문득 이런 생각이 듭니다. 여기가 피아노 마니아 사이트고, 어떤 칭구(!)가 "기타를 사려는데, 원목으로 만든거 살까요 아니면 그냥 전자클래식기타 살까요?"하고 묻는다면 뭐라고 답할까... 저는 당연히 원목기타 구입하라고 충고할건데요... 피아노의 경우는.. 글쎄 잘 모르겠네요. ㅋ~ 후다닥~~~
  • 콩쥐 2006.01.20 16:23 (*.80.15.75)
    피아노를 어려서 배운분들은 기타를 얼마나 잘 연주하는지....
    요즘 어린친구들이 기타연주 잘하는거 순전히 피아노 조기교육때문인거같아요...
    피아노배우는거 정말 음악에 도움되는거 같습니다...
    그 음악적 표현이 기타만은 못하더라도 기초공사로 아주 좋아요....
  • 꿈틀 2006.01.20 16:51 (*.253.39.27)
    디지털 피아노는 실력이 어느정도 이상되면 안친다고 하던데요, 애들은 민감해서..조율만 좀 안되어도 이거 '이상해 엄마' 하고 안친다고 합니다.
  • 쏠레아 2006.01.20 17:05 (*.148.24.189)
    음정면에서는 전자피아노가 정확합니다. 음색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일반 피아노는 조율을 게을리하면 엉터리 음이 귀에 익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더 큰 문제는 기계적인 부분에 있습니다.
    해머로 현을 때리는 메카니즘을 그대로 구현하는 값비싼 전자피아노라면 모를까
    보통의 전자피아노는 건반 터치감이 일반 피아노와 현저히 다릅니다.
    피아노 전공시킬 정도의 목적이라면 절대로 전자피아노 권하지 않습니다.
  • 정모씨 2006.01.20 17:31 (*.150.96.152)
    우선 피아노 학원에 열심히 보내보시고~ 잘다니고 흥미있어하면 제대로 된 피아노 사주심이 어떨런지요?

    괜히 먼저 사주었다가 장식품에 공간만 차지하면 애매할듯 한데요?
  • 전자피아노 2006.01.20 17:39 (*.200.196.228)
    현재 야마하 P-250 유저로써. 저도 한때 님과 같은 고민을 했습니다.
    제가 원하는 건 피아노 연습 뿐 디지털 피아노(이하 디피)의 다른 신디사이즈나 모듈, 미디아웃, 애프터 터치등 아무것도 필요가 없었습니다. 미디작업도 좀 해서 마스터 건반으로 쓸수도 있으면 더 좋았지만요.

    피아노와 가장 유사한 느낌을 갖는 디지털 피아노의 요건은 무엇일까.
    많이들꼽으시겠지만 음색이 첫째가 될것이고. 두번째는 터치입니다.

    디지털 샘플링 기술이 많이 발전되어 요즘 디피들 보면 수억짜리 그랜드 피아노를 샘플링한데다가
    여러가지 최신기술을 많이 적용하여 웬만한 업라이트보다는 음색이 좋습니다.(사람들이 좋다는 악기에 한해)

    이렇다보니 문제가 되는 것은 터치인데, 아시다시피 싸구려 마스터 건반이나 키보드들은 무슨 내가 건반을
    누르는 건지 무슨 버튼을 누르는 건지 진짜 칠맛이 안나죠.
  • 이문제도 2006.01.20 17:42 (*.200.196.228)
    커즈와일, 야마하등 많은 회사들이 연구에 연구를 거듭하여 피아노와 유사한 터치를 끊임 없이 연구했습니다. 제가 이것 저것 많이 쳐봤는데... 야마하 P 시리즈가 터치가 지존이더군요..
  • 야마하 2006.01.20 17:46 (*.200.196.228)
    야마하 P 시리즈는 디지털 스테이지 피아노라는 컨셉으로 개발한 물건인데요 터치가 묵직하니 아주 좋습니다. ( 업라이트보다 더 무겁습니다.. ) 최상위 기종은 P-250으로 ( P-300이 나왔을 지도 모릅니다..; ) 수억짜리 야마하 그랜드 피아노를 멀티 레이어 샘플링해서 피아노 소리만큼은 지존입니다. 일렉 피아노 소리도 전부 야마하의 명성에 걸맞게 최고입니다. (XG 사운드가 포함되있긴한데 미디작업 외에는 쓸일이 없음)
  • 그리고 2006.01.20 17:53 (*.200.196.228)
    전공생인 제 친구도 터치가 괜찮다고 하더군요. 물론 진짜 피아노보다 못합니다, 하지만 상당히 유사합니다.
    P시리즈중 P-250과 P-80(이었나 P-100이었나..기억이^^;) 는 자체 앰프까지 내장되어 있습니다... 가격대는 최상위 기종인 P-250이 200~300만원정도로 업라이트 피아노 새거 살 비용을 생각한다면 그렇게 비싼것도 아닙니다... 중고는 저도 구해봤는데 이게 물건이 좋아서 인지 워낙 안나오는 놈이더군요...
  • 저도 2006.01.20 17:55 (*.200.196.228)
    꽤나 많이 고심했던 문제라 너무 말이 많아 졌네요..^^;;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아이모레스 2006.01.20 19:15 (*.158.255.76)
    저도 결국 장식품이 되고 말았지만... ㅋㅋㅋ 그래도 그만한 장식품도 없던데요??^^
    예전에 큰녀석이 피아노를 시작할 때 롤랜드 디지털-피아노를 하나 사주었습니다...
    저는 피아노를 칠 줄 몰라서도 그랬겠지만... 훨씬 실용적이드라구요??

    건반 터치도 거의 차이가 없고 (피아노 문외한인 저같은 사람의 의견임...)
    그리고... 일단 이사다닐 때마다, 번거롭게 조율할 필요가 없으니 편리하고...
    옮길 때 따로 사람을 부르지 않아도 좋구... ㅋㅋㅋ 제가 아르헨티나에서 브라질로
    이사(?)올 때는요... 제가 잠깐씩 드나들 때 일단 건반만 떼어서 미리 비행기 짐칸에
    싣고 왔다는 거 아닙니까?? 건반 무게만 해도 왠만한 애들 무게드라구요??
    글쿠 발받침은 나중에 자가용으로...^^

    요즘 우리 큰녀석이 피아노를 치지는 않아도 가끔 시간이 날 때마다
    지 혼자 둥당거리면서 치니... 뭐 아주 장식품만도 아니네요...^^
    한밤중에는 헤드폰을 끼고 피아노를 칠 수도 있으니 이웃에 방해도
    되지 않으니 쓸만하구요...

    저도 큰녀석이 정말 피아노를 사랑했다면... 나중에 진짜 피아노를
    사주려고 했었는데... 뭐... 이제는 사줄 필요없게 되었네요??^^
  • np 2006.01.20 21:12 (*.168.0.213)
    저도 재즈맨님과 같은 고민하다가 10년전에 영창 (커즈와일) 디지탈을 구입했습니다.

    당시 거의 재래식 피아노가격에 육박하는 가격을 주고요 ... 암튼 이사다닐때 편리하고

    제가 듣기에는 소리도 좋은 것 같은데 ... 아이가 내공이 늘어나면서 ...불만을 갖기시작...

    재래식 피아노를 어디서 하나 얻어서는 디지탈은 거의 손을 안대는 군요.

    암튼 디지탈로 시작하시는 것도 좋을 듯한데 ... 디지탈 중에 쓸만한 것으로 고르시는 것이 좋은 듯함다.

    기타도 처음 시작하고 내공이 늘면 결국은 한두번은 바꾸듯이 어차피 바꿀 것을 예상하며 ...

    그런데 바꾸는 것은 자녀가 피아노 실력이 상당히 늘었다는 뜻이므로 그것도 좋은 일인것 같고요.
  • =_= 2006.01.20 23:46 (*.205.40.158)
    혹시 아파트 사시면, 학원에 보내서 배우게 하시면서 저녁에 집에서 헤드폰끼고 연습할 수 있게 하는게 좋을 것 같은데요. 피아노는.. 이웃들에 소음문제로.. 엄청 항의받는 경우가 많아서요. 제가 아는 분은 피아노전공시킬 딸 때문에 이사를 가기도 했죠. 그런데, 이웃을 엄청 욕하더라고요. 제가 보기엔.. 어느 정도선에서 양해를 해주면 좋을 것 같기도 하고, 어느정도가 넘을 땐 문제가 될 것 같기도 하고..

    그리고, 전 박스형 피아노는.. 치고싶은 마음이 전혀 안들더라고요. 어릴 때부터.. ;;
    이름모를 독일산피아노부터 해서, 쉼멜, 영창, 삼익.. 피아노 순으로 집에 있는데.. 제가 못쳐서 그렇긴 하지만.. 피아노 전공하던 외삼촌이 와서 쳐도.. 음악은 좋은데.. 음색이 답답해서. 못견디겠더라고요.

    그러다가 연주회장에서 그랜드피아노 들으면.. 차원이 너무 달라서(물론 좁은 방과 연주회장의 차이는 있지만요.) 이런게 피아노구나 싶다가도 집에서는 건드리기도 싫으니..
    5만원짜리 프레스 방식으로 만든 바이올린과 올드명기까지는 아니어도, 백만원이 넘던 스즈끼 바이올린(거품가격이었긴 하지만) 소리의 격차처럼..

    정명훈씨 어머니 책에서 본 바로는.. 정명훈씨도.. 박스형 피아노를 못견뎌해서(그렇다고 제가 그 거장과 동일시하는것 아닌것 아시죠 --?) 피아노를 게을리하더래요. 그래서 큰맘 먹고 집에다 그랜드피아노를 들여다줬더니 피아노를 달고 살더라고.. ;;

    피아노 터치감은 학원에서 배우고, 최대한 피아노건반 터치감과 비슷한 것으로 집에서 쓰는게 어떨지..생각은 해봅니다만, 사람마다 다 주관이 다르겠죠.. ;;

    그래도 전공할 가능성이 보인다면, 음... 역시 박스형피아노로 시작해야겠죠?
  • ;; 2006.01.20 23:58 (*.63.219.221)
    잠깐 제 경험을 말씀드린다면,,

    제가 초등학교 시절에 피아노 학원을 잠깐 다녔었는데, 그 때 학원에 디지털 피아노가 있었거든요.
    초등학교 다닐 때니 약 16,7년 전이군요.. (벌써.. 내 나이가.. ㅡㅡ;)
    그러니깐 그 때 학원에 있었던 디지털 피아노도 거의 초창기 모델이 아니었을까 싶어요.

    여튼.. 그 때 제가 피아노를 그닥 잘 치는 것도 아니었고 체르니 30번 정도 칠 때였는데도,
    디지털 피아노는 별로 치고 싶지 않더라고요.
    물론 그 피아노가 신기하긴 했지만요.. 역시 터치감이..

    요즘 나오는 디지털 피아노는 그 때보다야 많이 개선되었겠지만,
    그래도 터치감이 업라이트 피아노와 완전 같아지진 않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 jazzman 2006.01.21 00:29 (*.207.66.33)
    오오... 많은 리플이... T_T
    어코스틱 피아노로 시작하게 쪽이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은 드는군요. 하지만 아파트라 소음 문제도 무시할 수는 없겠고... 좀 더 고민해 봐야겠습니다.

    뭐, 전공 문제야 아무 생각이 없습니다. 그저 최소한 음악을 즐길 수 있는 사람이 됐으면 하는 생각에서 시켜봤으면 하는건데... 알 수 없죠 뭐, 좀 하다 거들떠도 안볼지... 저도 초등학교 때 학원에서 피아노를 배웠습니다만, 한동안 치고 나서는 그담에 웬일인지 피아노를 만지기도 싫어지더라고요. 그래서 순식간에 다 까먹었는데... 그래도 그때 경험이 음악에 좀 가까워질 수 있었던 계기는 됐던 것 같기도 하고...

    암튼 여러분들 조언 감사합니다. ^^
  • 나잡아봐라 2006.01.21 02:53 (*.102.98.115)
    저도 피아노를 사려고 가까운 사람중 피아노 전공을 하고 피아노 학원을 운영중인 사람에게 물었었습니다....

    딱 한마디 "그냥 피아노 사세요..."ㅡ.ㅡ;;;;

    그친구 하는 말이 터치, 여음 등 차이가 무지 크다고 하네요...

    만약 가격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면 중고피아노 쓸만한거 120만원이면 산다고 하던데요

    게다가 요즘은 피아노도 방음 장치를 해서 헤드폰을 꼽고 칠 수 있다고 합니다..

    비용은 잘 모르겠네요 ^^;
  • sdsd 2006.01.21 12:14 (*.12.69.98)
    디지털도 되고 어쿠스틱으로도 되고...
    한대로 둘다 되는 게 있는 것 같던데..
    그런건 어떤가요?
  • W.A.Mozart 2006.02.04 02:10 (*.120.10.160)
    일반 피아노에 헤드폰 꼽고 칠 수 있는거 있습니다. 하지만 별로 추천해드리고 싶진 않네요.

    그게 해머가 현을 치는 것을 중간 지점에서 막아버려서 소리가 안나게 하는건데

    그거 끼면 피아노 해머 다망가집니다. 게다가 터치는 디지털이랑 별반 다를게 없게 되구요.

    집에 50만원씩이나 주고 설치했는데 몇일 썼더니 건반 하나가 소리를 못내더군요.

    뜯어보니 해머가 이상한 위치를 때리고 있어서 조율사 불러서 고쳤는데 그 조율사가 하는말이

    그거 쓰면 피아노를 다 망친다는군요. 그래서 돈만 날리고 안쓴다는 ㅠㅠ
  • 스타 2006.02.04 13:42 (*.23.98.105)
    아파트에서 사시면 디지털 피아노가 연습하기엔 좋습니다. 볼륨을 조절하는 잇점이 있구요..
    단돈 주택에 사신다면 음색, 터치등을 고려하여서 원목 피아노를 구입하는것도 좋은 방법이구요

    요즘 디지털 피아노는 예전과 달리 기술의 발전으로 음색은 말할것도 없이 터치감 또한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커즈와일의 디지털 피아노를 권장해드리고 싶네요.. 후에 다방면으로 사용할 잇점이 상당수 존재 합니다.
    제가 올려놓은 곡중에 커즈와일의 K2600으로 작업한 뉴에이지 배경음악을 칭구음악듣기에서 들어보실수 있습니다. ㅎㅎ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13 오늘의 명언 한마디 보시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 모모 2024.04.24 307
1412 한국의 음악논문을 찾아볼 수 있는 곳 하나 소개합니다. 변종현 2023.11.04 1098
1411 2023 론 브랜튼의 재즈 크리스마스 whomre 2023.10.09 1263
1410 2023 김제 기타페스티벌 1 file Jo 2023.04.05 1597
1409 주윤발 휠체어 춤신 음악제목 민트짱구 2023.02.02 1742
1408 손톱 다듬기.....이건화 2 2023.01.27 1769
1407 안녕하세요 서울기타콰르텟 한형일입니다 file 10현 2022.11.14 1915
1406 이필수님 초청 화성학강의 2022.09.27 1939
1405 ☞ 전 실제로 가봤는데여.... 음... 2001.01.19 3859
1404 우와~ 고맙습니다~ 라라 2000.11.30 3927
1403 저도... 지우압바 2000.11.27 3939
1402 밑에분과 다른 견해... 으랏차차 2001.02.21 3941
1401 낙제점 나올거 같아 불안해요. 2000.12.03 3941
1400 왜 아무도 답을 안 주시죠. 그러면 곡 올린 왕초보님께 부탁을.... illiana 2001.01.12 3942
1399 진님, 그 그게요..... 2000.12.17 3957
1398 부끄럽습니다...저두 잘 모르는데요... 왕초보 2001.01.13 3966
1397 초보중의 왕은 확실히 다르구나! 곰팽이 2000.11.16 3970
1396 야마시타 비디오를 보고.... 야마시타 오버액션에 관한 이야기 기타랑 2000.12.28 3971
1395 제가 올렸는데여..-.-; 형서기 2000.12.13 3972
1394 정말 동감! 갈브레이쓰..... filliads 2000.11.24 3977
1393 안타깝게도... 미니압바 2000.11.25 3978
1392 ^^ 그런거 같아요 망상 2000.12.14 3982
1391 아랑훼즈 또는 아랑후에즈가 맞습니다. 문진성 2000.12.11 3983
1390 ☞ 저두^^ 오모씨 2000.11.28 3989
1389 ☞ 감사합니다. (내용없음) filliads 2000.12.22 3990
1388 ☞ 와~ 역시 실천에 옮기시는군요~ ^^ Clara 2000.12.26 3991
1387 크리스마스라고 나만 한가하군요. 수님 2000.12.24 4006
1386 ☞ 바흐 샤콘느를 다시 포기함..... 광범 2000.11.30 4009
1385 존경하는?....형서기님....보셔.. 예진아빠 2000.12.25 4010
1384 ☞ ☞ 전 실제로 가봤는데여.... 눈물반짝 2001.01.19 4011
1383 메일공개....일랴나님 꼭좀 구해줘여... 2000.11.22 4012
1382 아래 줄줄이 달린 글들을 읽고... 변소반장 2000.12.11 4015
1381 Porro가 음반자료실에....떳어요! 반짱 2001.01.13 4023
1380 ☞ ☞ 부족하지 않은 답변입니다... 광범 2000.11.30 4025
1379 참으로 오래동안.... 미니압바 2001.01.26 4027
1378 좋은정보 너무감사합니다. 그리고.. 파뿌리 2001.02.08 4028
1377 ☞ 부탁드려요.. 안진수 2000.11.26 4028
1376 ☞ 제 잡문 넘 신경쓰지 마세여 셰인 2001.01.15 4033
1375 ☞ ☞ 본인 글에 대한 본인의 대답 차차 2001.02.05 4035
1374 베네주엘라 왈츠에 관한 고수님들의 도움을... 고앙이 2000.11.20 4038
1373 야마시따 연주를 보고.. giny 2000.12.27 4039
1372 그건... 신동훈 2000.12.18 4045
1371 ☞ 빨리요...푸꾸다와 바덴째즈에 대해 좀 알려주세요... 1 망상 2000.12.12 4047
1370 제 경험상... 왕초보 2001.01.19 4049
1369 어... 눈물반짝 2000.12.18 4049
1368 ☞ ☞갈브레이스의 하이든 소나타앨범...글쎄요... 형서기 2000.12.16 4049
1367 왕자는 아닌데요... 형서기 2000.10.25 4050
1366 ☞ 무슨생각으로 편곡하려 하는가....... 오모씨 2001.01.15 4051
1365 ☞ 확실히... 공감 2000.12.03 4051
1364 ☞ 나 또 울었쟈나...... 신동훈 2000.12.17 4055
1363 ☞ 존경하는?....형서기님....보셔.. illiana 2000.12.26 4058
1362 저는요... 미니압바 2001.02.09 4059
1361 대식님은 클래식기타에도 조예가 깊으신분입니다. 일랴나 2000.10.25 4060
1360 아! 갈브레쓰를 깜빡했습니다... 왕초보 2000.11.15 4061
1359 부탁드려요.. 봄날호수 2000.11.25 4062
1358 악보를 찾는데여...부탁해여 redfoot 2000.11.23 4064
1357 ☞ 악보를 찾는데여...부탁해여 mess 2000.11.24 4067
1356 연주회장도 악기랑 똑같네요. 2001.03.09 4068
1355 [펀글] 편곡 연주에 대한 셰인님의 견해 형서기 2001.01.15 4068
1354 초보방장(옆,옆집)입니다. 형서기 2000.10.19 4068
1353 최근 왕야맹 소식... 퍼온글 김동형 2000.10.14 4069
1352 안빨라..글구 그거 아냠. 형서기 2000.11.24 4070
1351 ☞ 혹시 도움이 되시기를... 김웅찬 2000.10.25 4072
1350 알리리오 디아즈랑, 오스카길리아얘긴 왜 없죠? 2000.12.28 4073
1349 어.. 눈물반짝 2000.12.18 4073
1348 ☞ ☞ ^^ 감사..... 오모씨 2000.10.25 4073
1347 어려운 일은 아니져!!!!! 2000.10.20 4077
1346 채소님께 답장아닌 답장을.. 최성우 2001.07.04 4078
1345 컴퓨터스피커 음악감상하는데 어떤거라도 상관없나요? 2001.01.19 4078
1344 기타 음악 중 가장 제목이 아름답다고 생각된 곡명...? 2001.01.10 4080
1343 저는 음반을 고를때 남의 말은 권위자 말이라도 안들어요. 미니압바 2000.11.05 4083
1342 ☞ 위에 님 말씀중 한부분...... 명노창 2001.02.02 4086
1341 ☞ 도서안내...인류와 기타.....정상수님과 토레스회원들의 편집. 21대 토레시안 2001.01.10 4088
1340 빨리요...푸꾸다와 바덴째즈에 대해 좀 알려주세요... 이크 2000.12.11 4088
1339 듣는 것과 연주하는 것. 눈물반짝 2000.11.30 4090
1338 ☞ ☞ 나 또 울었쟈나......그게여.... 2000.12.17 4096
1337 음.. 리얼은여... 변소반장 2000.10.17 4096
1336 데이비드 러쎌에 대하여... 왕초보 2001.01.09 4100
1335 대외적으로는 합법적으로 활동하는것이... 2000.10.26 4102
1334 좋은 소개.......... 화음 2000.10.25 4102
1333 요즘 나온시디...바루에코. 2000.10.21 4102
1332 그건요... 지우압바 2000.10.16 4105
1331 비판하려거든... 7 지얼 2001.05.23 4108
1330 고맙습니다! 잘 듣겠습니다! (냉무) 반짱 2000.12.25 4108
1329 참으로 아름다운 노래..^^; 오모씨 2000.10.24 4109
1328 ☞ 저도 초보입니다. 많이들 도움주시기를...꾸벅... 김웅찬 2000.10.24 4121
1327 웅찬님 환영합니다. illiana 2000.10.24 4121
1326 잘 받아보았습니다. 지우압바 2001.02.27 4123
1325 조만간 정리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미니압바 2000.10.29 4124
1324 ☞ 아! 갈브레쓰를 깜빡했습니다... 갈브레쓰.... 2000.11.25 4125
1323 이빨로 물어 뜯기.. 변소반장 2000.12.15 4126
1322 바흐 샤콘느를 다시 연습중... 형서기 2000.11.30 4126
1321 상단 칭구네집에 가면 대식이네집이 있걸랑요... 2000.12.04 4129
1320 ☞ ☞ 내가 좋아하는 연주자 top5 가난한 유학생 2001.05.23 4130
1319 ☞ 야마시따와 가오리... 명노창 2000.12.21 4133
1318 마자!! 마자!! 신동훈 2001.01.15 4134
1317 sun입니다. 선경진 2000.10.19 4135
1316 ☞ ☞ ☞bwv1000번 푸가에 대해 고정석 2001.03.11 4136
1315 다른 음악에서의 예가 하나 있어서여..... 당근 2001.02.09 4139
1314 ☞ 모짤트냄새나는 바하? 눈물반짝 2000.12.20 4142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