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02.10.24 14:59

플라멩코 이야기6

(*.74.92.92) 조회 수 6438 댓글 0
집시이야기

집시들은 플라멩코에서 가장 핵심적인 몇가지형식을 키워냈으며, 중추적인 역할을 한 것은 사실입니다.

그럼 집시들의 음악성향은 과연 어떤 것이었을까요?

여기서 한세대학교 교수이신 김용환 교수님의 홈페이지에 간략하고 자세하게 집시의 음악에 관한 글이있어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무단으로 인용하게 되어 무리를 일으키지 않을지 걱정이지만...)

             집시음악(영: Music of Gypsies; 독: Zigeunermusik)


  집시들의 기원과 유랑생활의 시작은 8세기에서 10세기로 추정되고 있다. 이 시기에 일련의 무리들이 집시들의 본거지로 알려진 북인도로부터 여러 지역으로 이동을 한 것이다. 10세기에는 근동의 여러 나라에 출현하였고, 14세기와 15세기에는 몇 차례에 걸쳐 서아시아에서 발칸 반도로 그리고 동·서 유럽의 여러 지역으로 유입되었으며, 근년에는 남북 아메리카 대륙에서 오스트레일리아까지 이주하고 있다. 현재 대략 300백만이 넘는 집시들이 유럽에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 집시들의 주요그룹은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 그룹은 발칸반도의 국가들과 헝가리에서 집단생활을 영위하는 로마족(Roma)이다. 이들의 일부는 19세기에 중부 유럽과 미국으로 건너갔다. 두 번째 그룹은 신티족(Sinti)으로 독일에 그리고 세 번째 그룹은 칼레족(Kale)으로 남부 불란서와 이베리아반도(스페인과 포르투갈)에 모여 사는 집시를 일컫는다. 신티, 로마 그리고 칼레족은 찌고이너(=집시)라는 명칭을 모욕적으로 여기고 있다. 하지만 학계에서는 이 이름들을 가치중립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집시들의 음악은 각각의 생활공간과 이 그룹들이 거주하는 지역에의 동화과정에서 비롯되어 각기 상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리스트 1859년에 파리에서 출간된 자신의 저서(Des Bo miens et de leur musique en Hongrie)에서 당시 사회전반에 유포된 의견을 대변하여 주장하였다. 즉 헝가리 집시음악이 본래의 헝가리 민속음악이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 주장은 훗날 -헝가리 태생의 저명 작곡가인- 벨라 바르톡(B la Bart k: 1881-1945)의 종족음악학적 연구에 의해 반박되었다. 20세기의 학계의 연구 역시 리스트의 주장을 근거 없는 것으로 규정하였다.

  헝가리의 집시음악은 여러 악기 연주자들이 모여서 바이올린, 클라리넷, 첼로, 더블베이스 혹은 심벌즈 등을 연주한다. 이들의 리더는 제1바이올린 주자이며 프리마스(Primas)라고 불린다. 19세기에 가장 유명했던 헝가리의 프리마스는 야노스 비하리(J nos Bihari)였으며, 그는 비엔나 궁정에서 높은 명예를 누렸으며 1814년에는 비엔나 의회에서 연주를 하기도 하였다.      

  동유럽의 찌고이너음악 특유의 음향을 만들어내는 화성적 특성은 이른바 "찌고이너 음계"이다. 여기에는 두 종류가 있다. 그중 하나는 '찌고이너 단조'로서 <라-시-도-레#-미-파-솔#-라>이다. 이 음계에서는 처음과 네 번째 음의 증4도 음정 <라-레#>이 특징적이다. 다른 하나는 '찌고이너 장조'로서 <도-레b-미-파-솔-라b-시-도>의 음계이다. 여기에서는 첫 음과 두 번째 음의 간격이 기이하게도 단2도, <도-레b>이다. 서구의 전통적인 장단조 체계에 이러한 찌고이너 음계가 도입되어 채색될 때 종종 낯선 분위기가 연출된다.  

  리스트는 근 40년(1846-1885)에 걸쳐 집시들이 연주하던 멜로디를 차용하여 자신의 "헝가리언 랩소디"를 작곡하였으며 그들의 연주방식을 피아노용으로 편곡하였다. 그리고 작품의 시작에 "고집스럽고 심오한 집시 스타일로 연주할 것"이라는 지시어를 기입하곤 하였다. "헝가리언 랩소디"는 형식적인 면에서 당시 널리 알려진 집시 음악의 2부 형식을 차용하였다. 즉 느린 템포(Lass )의 1부에서는 감상적인 분위기와 즉흥적 요소가 강조되었다. 그리고 빠른 템포(Friss)의 2부에서는 격정적이고 생동감이 있으며 리듬성이 강조되면서 춤곡의 멜로디가 뒤따랐다. 리스트 외에 브람스, 바르톡을 비롯한 많은 작곡가들도 자신들의 "랩소디"에서 찌고이너 음계를 구사함으로써 음악에서의 헝가리적 표현을 만들고자 하였다. 사라사테(찌고이너바이젠), 바르톡(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랩소디, op 1), 라벨(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찌칸느) 등도 집시음악의 특징을 자신들의 작품에 활용한 작곡가이다. 집시음악은 요한 슈트라우스의 '찌고이너바론'(Zigeunerbaron)에서처럼 오페레타나 오페라에서도 그 모습이 보여지고 있다

  동유럽의 집시음악과 차이를 보이면서 독자적인 음악전통을 발전시킨 것은 이베리아 반도 (특히 남부 스페인의 안달루시아)의 집시음악이다. 이들의 음악 역시 화려한 기교와 즉흥성이 그 특징이다. 특히 플라멩코(Flamenco)와 스페인 최남단에 위치한 안달루시아(Andalusia)에서 유행하는 음악형식과 춤곡인 칸테 히타노(cante gitano)는 19세기 초 이래로 자주 집시들에 의해서 연주되어 왔다. 그리고 이 음악은 오랫동안 찌고이너의 민속음악으로 오해되었었다. 이 음악은 노래와 춤 그리고 기타연주가 혼합되어 있는 아주 매혹적인 예술음악이며 노래를 부르는 스타일에 따라 두 종류로 구분된다. 그 하나는 비련의 고통이나 인생의 절망 등 깊은 비탄의 심정을 토로하는 칸테혼도(cante jondo: cante grande라고도 함) 반주를 맡는 기타를 압도하는 열광적인 비가(悲歌)가 그 특징이다. 이 노래는 사회 하층부 사람들에게 특히 애용되기도 하였다. 또 다른 하나는 인생을 구가하는 경쾌한 리듬으로 이루어진 칸테치코(cante chico: cante flamenco라고도 함)인데, 이 종류의 노래는 매우 단순하고 소박하다. 집시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비애와 희열을 표현하고 있는 이 두 종류의 음악은 약간의 변화가 가미되어 여러 가지 지류로 나뉘어진다. 춤곡의 경우에는 혼자서 혹은 몇몇이 쌍을 이루면서 춤을 춘다. 이때, 발을 구르거나 박수를 치기도 하고 캐스터네츠를 사용하기도 한다. 20세기 전반기에 스페인 음악을 부흥시킨 알베니스 (I. Alb niz), 그라나도스 (E. Granados), 드 파야 (M. de Falla), 투리나 (J. Turina)는 플라멩코의 음악적 특징을 자신들의 작품에서 활용한 대표적인 스페인 작곡가들이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13 류트조곡 1번 듣고싶어요! 7 김종표 2001.07.09 4571
812 첼로와 기타 3 셰인 2001.07.12 5205
811 요즘은 코윤바바와 이파네마에 폭 빠져 있답니다.. *^^* 3 아따보이 2001.07.16 4908
810 어느 사형수의 아침...을 듣고. 4 지얼 2001.07.17 4908
809 소르의 환상곡 있자나여..그게 fantasie hongrois 인가여? 6 아따보이 2001.07.19 4402
808 요즘.... 10 file 피망수프 2001.07.23 4881
807 ☞ 푸가의 기법... 1 채소 2001.08.05 6370
806 내가 산 음반 몇장 소개 및 간단한 감상문.. 4 file 으랏차차 2001.07.25 6398
805 푸가의 기법을 기타콰르텟이? 7 으랏차차 2001.07.28 6066
804 ☞기타연주 2 file 민성 2001.08.10 5422
803 zzang!!!!^^[PAT METHENY] 10 피망수프 2001.07.29 4836
802 팽만식님이 쓰는기타..^^! 14 file 민성 2001.08.04 6133
801 쟈클린을 아세요? 9 채소 2001.08.10 4830
800 메트로놈보다는.... 3 untouchable 2001.08.15 5147
799 ☞ 제 생각에는... 3 木香 2001.08.13 4829
798 ☞ 박자기... 써야되나요? 말아야되나요? 문병준 2001.08.12 5532
797 악기의 왕이 있다면? 1 채소 2001.08.11 4950
796 이해되지 않는국수? 5 2001.08.16 4635
795 ☞ 박자기... 써야되나요? 말아야되나요? 지얼 2001.08.22 4620
794 ☞ 가장 연주하기 어려운곡은? 지얼 2001.08.16 4562
793 박자기... 써야되나요? 말아야되나요? 6 채소 2001.08.12 6037
792 제 생각은... 3 행인 2001.08.20 4767
791 ☞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1 서정실 2001.08.17 4321
790 ☞ 곡 난이도의 몇가지 평가기준.. 으랏차차 2001.08.17 5418
789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1 채소 2001.08.17 4967
788 ☞ 기타 연주에 있어서 초견능력.. 6 서정실 2001.08.17 6935
787 ☞ 기타 연주에 있어서 초견능력.. 채소 2001.08.17 5920
786 가장 연주하기 어려운곡은? 1 채소 2001.08.16 6109
785 기타 연주에 있어서 초견능력.. 1 으랏차차 2001.08.17 5542
784 숲 속의 꿈 말이죠 7 인성교육 2001.08.21 4724
783 좀 늦었지만.... 기타랑 2001.09.07 4215
782 ☞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곡들.... 5 서정실 2001.08.22 5069
781 [질문]부에노스 아이레스조곡에 관하여 알고 싶습니다. 장재민 2001.08.22 4676
780 ☞ 음악?? 7 채소 2001.08.23 4970
779 ☞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곡들.... 2 셰인 2001.08.22 4686
778 [re]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곡들.... 1 willie 2001.09.18 5026
777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곡들.... 1 지얼 2001.08.22 4841
776 음악?? 5 강민 2001.08.22 4436
775 영화속 기타이야기 2 지얼 2001.08.26 6005
774 [re] 음악듣기.... 반성... 1 지얼 2001.09.22 4802
773 음악듣기.... 반성... 3 채소 2001.08.26 4254
772 콩쿨에 도전하시려는분만 보셔요... 22 2001.08.31 5183
771 존윌리암스의 진짜 음색은? 7 지얼 2001.09.06 4685
770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13 지얼 2001.09.08 10250
769 지휘자 이야기... 5 채소 2001.10.03 5192
768 노래부르기... 1 채소 2001.10.05 4802
767 바비맥플린 이야기. 2 지얼 2001.10.05 5050
766 바하... 플루우트 소나타여~~~(겁나게 긴글...한번 생각하구 보셔여 ^^;) 5 신동훈 2001.10.17 5666
765 헨델...하프시코드 조곡임당!!!(요건 쬐금 짧아여 ^^) 신동훈 2001.10.17 5977
764 동훈님 질문있슴다. 1 illiana 2001.10.16 4566
763 늦었지만.... 녹음 기재 질문에 대하여 1 셰인 2001.10.18 4732
762 영화 여인의 향기 중에서... 5 木香 2001.10.23 4605
761 궁금한게 있습니다. 양파 2001.10.25 4460
760 독일 바이얼린이스트 ........짐머만(짐메르만?) 1 2001.10.29 5092
759 동훈님이 고민하는 것 같아서 도움을 드리고자.. 1 일랴나 2001.10.31 4642
758 우선 연주자와 음반부터... 3 신동훈 2001.10.31 4511
757 동훈님 바흐 작품중 원전연주로 된 음반 추천바랍니다 1 일랴나 2001.10.31 5326
756 원전연주 이야기(1)원전연주란... 5 신동훈 2001.11.01 4779
755 원전연주 이야기(2)요즘에 있어 원전연주가 필요항가... 13 신동훈 2001.11.01 4733
754 원전연주 이야기(3)바하음악에 있어서 원전연주의 의미... 3 신동훈 2001.11.01 4863
753 원전연주 이야기(4)원전연주에 쓰이는 악기는...하나! 3 신동훈 2001.11.02 4443
752 원전연주 이야기(5)원전연주에 쓰이는 악기는...둘!! 2 신동훈 2001.11.02 5580
751 원전연주 이야기(6)원전연주에 쓰이는 악기는...서이!!! 10 신동훈 2001.11.02 4943
750 기타악보로편곡할때 도움이 돼는 좋은책이 있으면좀 알려주세요. 7 렐리우스 2001.11.03 4805
749 기타녹음시 테크닉에 대하여... 2 햇새벽 2001.11.04 5588
748 [re] 악보가 안 외워질때... 채소 2001.11.13 5257
747 외우는 법. 석재 2001.11.14 5149
746 악보가 안 외워질때... 2 기타초보 2001.11.12 6171
745 원전연주 이야기(7)원전연주 단체-아르농쿠르와 콘첸투스 무지쿠스 빈...원 신동훈 2001.11.15 4980
744 원전연주 이야기(8)원전연주 단체-아르농쿠르와 콘첸투스 무지쿠스 빈...투 신동훈 2001.11.15 5179
743 1/f ???? ! 2 채소 2001.11.15 7571
742 바흐의 샤콘느를 듣고.. 1 채소 2001.11.24 4466
741 바흐 샤콘의 비밀 6 채소 2001.11.19 6049
740 케키가 가장 졸껄여... ^^ 6 신동훈 2001.11.23 4776
739 작곡할때 쓰기 좋은 소프트웨어좀 알려주세요. 2 렐리우스 2001.11.23 4985
738 고음악에 대한 좋은 싸이트를 소개합니다. 신정하 2001.11.29 4897
737 저..바흐의 류트곡에 대해서여.. 히로 2001.11.29 4719
736 원전연주 이야기(9)원전연주 단체-피노크와 잉글리쉬 콘써트...일 신동훈 2001.12.03 4460
735 원전연주 이야기(10)원전연주 단체-피노크와 잉글리쉬 콘써트...이 신동훈 2001.12.03 4512
734 원전연주 이야기(11)원전연주 단체-쉬뢰더와 카펠라 사바리아...Uno 신동훈 2001.12.04 6027
733 원전연주 이야기(12)원전연주 단체-쉬뢰더와 카펠라 사바리아...Dos 신동훈 2001.12.04 6237
732 원전연주 이야기(13)원전연주 단체-사발과 에스페리옹20...一 신동훈 2001.12.06 4445
731 원전연주 이야기(14)원전연주 단체-사발과 에스페리옹20...二 신동훈 2001.12.06 4694
730 미니말리즘 좋아 하세요? 15 채소 2001.12.11 5047
729 플라멩꼬 : 피맺힌 한의 노래, 눈물의 기타 1 고정석 2001.12.17 6331
728 자유로운 영혼: 집시 8 고정석 2001.12.17 5745
727 암기의 이해와 암보력 향상을 위한 제안 1 고정석 2001.12.17 5555
726 아이렌다이즈에 대해서... 3 으랏차차 2001.12.28 5201
725 사라장과 환상적인 카르멘조곡연주 ....플라치도 도밍고 지휘. 2002.01.06 6122
724 차차님~~~ 한번 심호흡하시구... 7 신동훈 2002.01.08 5753
723 바흐의 영국조곡... 3 으랏차차 2002.01.07 4956
722 글렌굴드에디션의 바흐 골드베르그 바리에이션. 5 기타랑 2002.01.12 5288
721 결혼식같은 곳에서 축가로 연주해줄수 있는 곡 어떤게 있을까요? 11 화음 2002.01.13 5320
720 음악사에 있어서 마지막 화가는 바흐다... 4 채소 2002.01.17 5227
719 바하의 건반악기를 연주함에 있어... 2 신동훈 2002.01.17 5399
718 바흐 평균율 곡집과 연주에 대하여... 1 채소 2002.01.17 10755
717 동훈님, 바흐 1027,28,29 설명 좀 5 일랴나 2002.01.22 5180
716 원전연주의 의미 17 으랏차차 2002.01.23 4738
715 [re] 클래식기타는 왜 일렉만 못할까? 이레네오 2002.02.13 4409
714 클래식기타는 왜 일렉만 못할까?(퍼온글) 7 2002.01.23 8007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