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148.24.40) 조회 수 8560 댓글 16
암보란 그 말뜻 그대로 해석하면 '악보'를 외운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암보가 정말 필요한 것일까?

내가 처음 기타를 접할 때, 음악적인 소양이란 초중고 음악시간에 배운 것이 전부였다. 제대로 배우긴 했는지 그런 대로 악보를 볼 줄 알았다. '미파'와 '시도' 사이가 반음이라는 사실도 알았었고...

그러나 음악시험(필기시험) 보는 것과 악기를 다루는 것은 달랐다. 악보를 펼쳐들고 기타를 치면 한 음, 한 음이 한계였다. 오선지 한 마디를 소화하기가 그렇게도 어려웠다. 당연히 암보가 되었다. 암보하지 않고서는 도저히 마디를 연결할 수 없었으니. 그 때 초등학교 다니는 우리 딸내미가 피아노 콩쿨 나간다고 연습이 한창이었다. 바이엘 떼고 나서 그리고 뭐던가? 아무튼 고넘도 초보이긴 마찬가진데 악보를 보면서 피아노를 친다. 눈은 그냥 악보만 본다. 손은 보지도 않는다. 부러웠다.

아! 기타를 칠 때도 마찬가지구나! 악보를 보면서 동시에 연주가 가능해야 하는구나!. 왼손 운지 보랴, 오른손 어떤 줄 치는지 감시하랴, 악보 볼 틈이 어디 있었나. 그래서 그 이후로 눈으로 악보를 보면서 동시에 기타를 칠 수 있도록 노력했다. 그리고는 언젠가부터는 그것이 어느 정도 가능해졌다. 복잡한 화음이나 어려운 운지가 아닌 쉬운 부분은 그냥 악보 보면서 동시에 칠 수 있었다!

그런데, 그런데...
지금 그것이 또 다른 장애로 다가온다. 이제 와서 한 곡 전체를 외워서 칠려고 하니 도저히 안된다. 차라리 어려운 부분은 잘 외워지는데, 악보 보면서 그냥 칠 수 있는 쉬운 부분은 좀처럼 외워지지 않는다. 자꾸 손가락이 꼬인다. 엉뚱한 곳을 누르고 엉뚱한 손가락으로 탄현하고...

그런대로 억지로 '암보'해서 연주를 하면 자꾸 더듬는다. 다음 음이 뭐던가 하는 기억을 되살리기 위해 신경쓰는 통에 음악의 연결은 엉망이 되곤 한다. 기억력의 한계인가? 차라리 암보한 곡이라도 악보를 살짝살짝 보면서 연주하는 편이 훨씬 더 낫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조언하는 말과는 틀리다. 암보를 해야지 진짜 음악이 된다는 말들... 악보 보랴 연주하랴 그렇게 하면 안된다는 말들...

이제 다시 깨달았다.
암보는 악보를 외우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암보'가 아니라 '암악'이라 해야 할 것이다.
그 음악을 외우는 것이지 악보를 외우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

그 음악을 '외우는' 것, 사실 그것도 아니다!
그 음악을 외우는 것이 아니라 그냥 나의 일부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음... 마누라랑 잡담하면서도 손으로는 그 곡을 연주할 수 있는 정도라고 할까...

그런 정도의 '암기'가 된 후에 자신만의 감정과 느낌을 그 음악 위에 얹을 수 있을 때
그 때 비로소 진짜 연주가의 경지에 도달하는 것인가 보다.

아! 나에게는 불가능한 일!


* 수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5-07-29 12:39)
Comment '16'
  • 중짜 2005.07.25 22:09 (*.232.11.126)
    어쩜 저의 경우와 그렇게도 똑 같으세요...ㅠ.ㅠ 악보를 보며 치는 실력이 조금씩 늘고 한곡을 완주하는 시간이 짧아질수록 암보는 더더욱 어려워지네요. 차라리 더듬 더듬 악보보며 한마디씩 외워가며 두달에 한곡 완주할 때는 완벽하게 외웠었는데.. 암보하는 시간까지 더하면 두달에 한곡은 예나 지금이나 똑 같아요..ㅠ.ㅠ
  • 아래신화 2005.07.26 00:35 (*.141.34.233)
    와우 공감가는 글이예요 어려운부분보다 쉬운게 잘안외워진다는것...ㅜ
  • 앙상블 2005.07.26 04:11 (*.169.79.136)
    모든 예술이 다 그렇지 만은 음악도 자기와의 싸움 이라고 봐야죠. 집념과 고독 통증도 따르는것 같아요.ㅎㅎ

    세월은 흘러도 제데로 연주 할 수 있는 곡은 별로 없고 말입니다.


    시행착오 끝에 요즈음 저의 연습 방법

    1.쉬운곡이라도 쉽게 생각 하지 않는다..
    2.너무 빨리 마스터 할려고 하지 않는다.
    3.어러운 부분은 손이 자동이 될떄까지 연습한다 자동이 안되면 넘어가지 않는다.
    4.곡의 성격을 알면서 연주한다.
    5.곡을 나에 것으로 확실히 굳힌다고 생각 하고 연습한다.
    6.눈을 감고 연습을 많이 한다 감정을 살리면서...
    7.음반을 들으면서 연구 하면서 연습한다.
    8.자기만의 연주 스타일을 찿는다. 등등...... ^^
  • 암보칭구 2005.07.26 07:14 (*.80.23.136)
    "암보"와 칭구는 "시간"인거 같아요.

    "시간"은 사전에서 뜻을 찾아보면 "성숙"이라고 나올걸여?
  • 정호정 2005.07.26 09:01 (*.219.60.201)
    제 생각엔 암보는 손이 외우는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전 머리가 나빠서 국사책 한쪽 외우라면 며칠이 지나도록 못외우거든요. 근데 악보는 20장짜리라도 한 서너번쳐보면 걍 외워지더라구요. 그래서 내린 결론인데 머리가 외우는게 아니라 손이 걍 외워버리는거 같더라구요.
    머리따로... 손따로...??? ㅋㅋㅋ
  • 캘포냐드림 2005.07.26 09:03 (*.80.25.115)
    악보20페이지를 서너번만에?
    정호정님 천재 확실!!!!!!!!!!!!!!
  • 모카 2005.07.26 11:11 (*.187.224.103)
    저는 오히려 악보보고 연주가 더 안되던뎅... 암보가 더쉽고.. 이번에 기타앙상벌에 참여해 연주하는데
    악보보면서 연주하는게 더 힘들더군요 .. 그런데 자꾸 습관드니 악보보고 하는게 점점 편해지더라구요.
    세기의 명 피아니스트였던 " 리히터" 는 늘 악보를 보면서 연주했는데
    그가 말하길.. "암보는 쓸데없는 두뇌의 소비 " 라고 했다더군요 . ㅎㅎ
    결국 다 평소의 연습습관 문제인것 같에요.
  • Jade 2005.07.26 13:15 (*.228.173.65)

    저는 개인적으로 암보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최소한 혼자서 즐기는 경우까지는 예외로 하더라도, 나 이외의 청중이 있다면 더더욱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왜냐면, 혼자서 즐기는 경우에도 사실 암보가 된다면 낳겠지만, 그렇지 않아도 무방합니다만,
    나 이외의 청중이 있을 경우, 나의 만족과 더불어 보다 청중은 감동적인 음악을 원하는 것은 당연하겠지요.
    (물론 암보가 않된다고 해서 덜 감동적이거나 음악적이지 않다는 말은 아니구요......)

    음악적 이해를 더 풍부히 하고, 이해를 바탕으로 기교를 조금이라도 더 가미하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암보가 끝나고, 오직 기타와 나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무런 간섭을 받지 않는 완전한 일체가 될 수 있을 거라는 생각 때문입니다.

    위의 정호정님의 대단한 실력(20장짜리를 서너번만에 @.@a)이신 것 같습니다만,
    저의 경우에는 40-50번 정도 연습하다보면 자연스레 외워지는 것 같구요,
    방법상의 문제에 있어서는,

    첫째, 흥얼흥얼 노래를 부릅니다. 멜로디를 입으로 완전히 익히는 것을 게을리 하지 않습니다.
    멜로디의 전개가 눈에 그려지면 무대공포증이나 왠만한 문제만 없다면 중간에 마디가 끊기지 않겠지요.

    둘째로는, 어느 정도 연습에 진도가 나가면,
    그 부분에 대해 기술적 문제나 자연스런 운지방법 등에 대해 더 연습합니다.

    이렇게 벽돌 쌓듯이 진도가 나가다 보면 자연스레 음악(멜로디)이 유행가 선율처럼 외워지게 되고,
    눈앞에 악보를 없애더라도 악상의 진행이 연속되게 되고, 지판에서의 손가락의 흐름도 훨 유연하게 되더군요.

    물론 연습때도 악보를 보면서 쳐도 연주에는 하등의 지장은 없읍니다만,
    제가 스스로 생각컨데, 감정몰입이나 연주상 적절한 기교의 가미, 적당한 액션 등 저만의 음악을 만들기 위한
    기타와의 동질감 형성에는 무진장 제약을 받는다는 것이 저의 느낌입니다.

    그래서, 가급적 최대한 멜로디를 익히고, 적절한 운지방법을 터득하고 나면 사실상 암보가 끝나게 되고,
    저의 경우에는 암보가 끝나야만,
    기교의 더함이나 나름대로의 감정 이입 등 보다 구체적이고 음악적인 연습이 가능하게 되더라구요....

    아무래도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악보를 외워서 암보인 것은 아닌 것 같으구요,
    연습과정에서 멜로디의 전개나 악상의 흐름, 좀더 나은 연주를 위한 운지나,
    기술적인 부분의 반복적인 연습의 결과로 얻어지는 것 같습니다.
    결국 제게 있어서 암보란 경험상 자연스런 학습의 반복에서 나오는 수동적 습득이라고 생각됩니다.

    만약, 기타를 연주하지 않거나 운지를 하지 않고서, 참고서 외듯이 백번 악보만 외운다고 해서
    연주용 암보가 되지는 않을 듯 싶습니다.
    솔직히 저는 악기의 연주없이 악보만 달달 외운 다음에 어느날
    "너 이거 끝까지 한 번 쳐 바바바바..." 한다면,
    "못쳐!!!!!!" 라고 과감히 답할 수 밖에 없습니다......^ ^;;

    그러니, 암보가 되지 않는다고 좌절하지 마시고,
    1. 좀더 그 악보를 음악적으로 이해하려고 하고,
    2. 연습시 연주상 기교가미나 올바르고 부드러운 운지가 되도록 정성껏 반복되어야 할 것이고,
    3. 작은 한마디라도 많은 청중앞에서 연주한다, 악보가 없다고 생각하고 연습하시면 좋은 결과가 있을 듯....

  • ES335 2005.07.26 15:39 (*.202.29.21)
    한 10여년 기타에 손을 대지 않다가 다시 시작한 지 몇 년된 그런 사람입니다.
    악보 안 외워져요. 저는 40대중반의 나이 탓에 기억력이 떨어져서 그렇다고만 생각하고 있었지요.
    정말 신기한게 악보를 펼쳐만 놓고 곁눈 질만 슬슬해도 연주가 되는 데 딱 덮으면 완전히 깜깜하거든요.
    쉬운 악보가 더 안외워지는거 저도 마찬가지구요. ㅠ.ㅠ
    그런데 20년 넘게 안치던 옛날 레파토리는 그냥 몇 번만 다시 쳐도 기억이 복구되어
    손이 저절로 가더라는... 허. 이거 정말 신기하거든요.
  • 모카 2005.07.26 16:47 (*.187.224.103)
    정호정님의 말이 맞습니다.
    암보는 머리가 기억한다기 보다는 손의 감각이 기억을 하고있더군요.

    그래서인지 저같은 경우 익숙한곡은 연주하면서 동시에 TV드라마도 보고
    인터넷 채팅방화면에 누가 들어왔나 확인도 하면서 멀티적으로 되더군요 ㅎㅎ
    만약 머리로 하는일이라면 절대 이럴수 없을겁니다. ^^
  • 쏠레아 2005.07.26 18:03 (*.148.24.47)
    손의 감각으로 기억하는 것은 저같은 사람들에게 해당되고,
    정호정님 같은 분들은 차라리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저도 몇 번 치거나 들으면 음의 진행은 외웁니다. 즉 다음에 연결될 음을 기억하기는 합니다.
    그런데 그 음을 연주할 수가 없다는 것이 문제지요. 쉽게 말해서 계명, 즉 그 음의 위치를 모른 다는 것이지요.
    절대적인 위치 뿐만 아니라 이전 음과의 상대적인 위치까지도. ㅠ.ㅠ
    바로 음악성의 차이입니다. 암기력이 아닌.
    저같은 사람은 음악하면 안되나요? ㅠ.ㅠ
  • XXX 2005.07.26 19:45 (*.51.148.133)
    암보해야 하는가? 말아야 하는가? 이거 가지고 많은 의견들이 나오는군요.. 모든 좋은 의견입니다.^^
    그런데, 너무 심각하게들 생각하지 마시고요. 이 기악에는 천재가 없다고 봅니다. 전 장담합니다. 최고의 연주자가 되기 위해서는 많은 것들이 필요하죠. 끝없는 연습과 또 음악성을 풍부하게 하기 위해 책도 봐야하고, 다른 악기의 연주회도 가야하고 오폐라도 봐야 하고..특히 세고비아선생님은 연주회와 오폐라를 많이 다니셨다고 하죠..

    제가 하고 싶은 말은.. ㅡ.ㅡ;;;
    암보해야 합니까 말아합니까~ 고민하시지 말고요. 그냥 연습을 열심히 많이 하세요. 그러다보면 자기도 모르게 암보할려고 하지도 않았는데, 저절로 외워집니다. 또한, 이 기타라는 악기는 악보를 봐도 어떻게 쳐야할지 당황하게 만드는 그런 악기입니다. 이런 악기인데, 암보를 하지 않는다는건, 연주하기 힘들겠죠?
    그러니,, 암보가 목적이 되어서 연습하고 지루하고 외워지기도 어렵습니다. 그냥 많이 연습해야지~~ 하는 취지로 연습하면 저절로 외워집니다...암보의 유무는 자신의 연습을 얼마나 착실히 잘 했는지 않했는지를 뜻하는겁니다.예전에 tv에서 전설적인 재즈기타리스트가 나와서 하는 말을 들은적이 있는데요..."완벽한 연주는 눈 감고 쳐야 한다"고 하더는군요.....
  • np 2005.07.26 20:31 (*.196.220.5)
    저는 담배 끊으니깐 잘 외워지네요.
  • 지고지순 2005.07.27 00:12 (*.110.159.144)
    그냥 참고로.. 손가락 운동을 암기하는 뇌의 영역과, 지식을 암기하는 뇌의 영역이 따로 분리되어 있다는군요
  • ikari 2005.07.27 12:00 (*.144.22.121)
    저같은 경우는 쉽게 외워지는 곡이 있는가하면, 무수히 쳐도 안외워지는 곡이 따로 있더군요...
    어떤 곡은 긴 곡인데도 쉽게 외워지고 어떤 곡은 한 페이지짜리인데도 안외워지고... 같은 한
    페이지라도 어떤 곡은 쉽게 외워지고 어떤 곡은 안외워지고...

    그래서 제 스스로 생각해보니까 제가 정말로 좋아해서 이 곡만은 꼭 외워야겠다~ 고 생각되는
    곡들은 비교적 잘 외워지는 것 같습니다... 모든 곡이 그렇지는 않지만...

    어쨌든 저같은 경우는 악보를 잘 보게되면 될수록 암보는 더욱 어려워지는 느낌입니다..
  • [방랑자] 2006.03.26 01:35 (*.212.187.56)
    저의 경우는...
    1년쯤 기타 놓았다가 다시 잡으니깐... 외웠었던 곡 말고는 모두 허공으로 사라졌더라구요...ㅎㅎㅎ
    머가 좋은지는 잘 모르겠지만... 전 앞으로는 느리게 전진하더라두... 외워치려고 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13 Arcadi Volodos 콩쥐 2007.12.06 12184
1312 [Guitar Trivia] 세고비아와 바리오스 2 file 김상욱 2007.11.20 19311
1311 연주회 후기에 대해... 65 쏠레아 2007.10.03 17025
1310 [모셔온글] 피아노 이야기에서 - 러셀셔먼 4 밀롱가. 2007.09.03 12929
1309 classic 10 희주 2007.05.22 19320
1308 삐에리 연주 & 마스터클래스 후기 17 발자취 2007.05.10 30905
1307 산골strs가 드리는 유용한 정보(안보면 후회함) 26 산골스트링즈 2007.05.03 14051
1306 My mind to me a kingdom is... 2 이브남 2007.02.22 11664
1305 햇빛 쏟아지는 사이렌의 숲속... 2 이브남 2007.02.11 13154
1304 테오르보... 3 이브남 2007.02.09 12563
1303 음악과 이념 - 알베니스의 피아노 협주곡을 중심으로 6 file 1000식 2007.02.06 12668
1302 아베마리아 3 file 이브남 2007.01.10 13064
1301 새로 발견된 소르의 환상곡 d단조 2 file 1000식 2006.12.22 14403
1300 헤레베헤의 연주가 나온김에 한곡더!~ 1 이브남 2006.12.20 10889
1299 그의 날과 눈물의 날인저... 3 이브남 2006.12.18 11660
1298 기타의 외계인들 15 섬소년 2006.12.12 13992
1297 내가 대지에 누웠을때... 3 이브남 2006.12.04 9685
1296 더 이상 날지 못하리... 1 이브남 2006.12.01 13857
1295 사랑의 괴로움을 그대는 아는가... 2 이브남 2006.11.29 11680
1294 15년 만의 재회... 3 이브남 2006.11.27 10309
1293 선율의 즉흥연주(Improvisation) 4 이브남 2006.11.26 9169
1292 류트와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의 트릴연주 5 이브남 2006.11.26 12492
1291 류트와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의 장식음 3 이브남 2006.11.26 44623
1290 깊고 깊은 고악기의 음색... 4 이브남 2006.11.25 11155
1289 클라비코드 10 이브남 2006.11.24 11536
1288 아랑훼즈 협주곡 13 file 진성 2006.11.24 12730
1287 사찌꼬 2 file 항해사 2006.11.18 18095
1286 안개낀 장충당 공원 8 file 항해사 2006.11.18 13297
1285 엔카와 트로트 (펌) 7 두레박 2006.11.17 22329
1284 Adam_Fulara_BWV_848 1 소품 2006.10.31 10774
1283 기타연주와 숨쉬기(호흡)에 관련하여 11 밀롱가. 2006.10.16 11439
1282 타레가 신원조사서 11 file 조국건 2006.10.12 12953
1281 저........질문이 있는데요 2 이임재 2006.10.12 8902
1280 Flamenco 기타음악 5 file 조국건 2006.09.30 12555
1279 Chopin과 John Field의 Nocturnes 14 고정석 2006.09.29 9975
1278 여음을 오래 남기는 방법좀. 16 밀롱가. 2006.09.19 9091
1277 제가 추천하는 Alfonsina y el mar 8 고정석 2006.09.09 21450
1276 음악하는 사람이 공부를 못한다는 의견에 대해 - 음악의 천재들 에피소드 소개 3 으니 2006.09.06 7222
1275 남미음악지도 그리고 porro......조국건 6 file 콩쥐 2006.09.04 15257
1274 기타줄은 왜 E-B-G-D-A-E 으로 튜닝하는건가요??? 16 미스터엠 2006.08.28 12985
1273 기타줄은 왜 E-B-G-D-A-E 으로 튜닝하는건가요??? 18 미스터엠 2006.08.28 14378
1272 장식음(꾸밈음)의 음가에 대해... 22 쏠레아 2006.08.28 10844
1271 올해의 어록....."튜닝은 전주곡이다." 5 콩쥐 2006.08.26 6619
1270 효과적인 연습방법 - 연주의 성공은 연습의 질에 달렸다 4 고정석 2006.08.20 11683
1269 오디오에서의 24 bit 기술 file np 2006.07.24 7209
1268 오디오에서 디지털의 매력 (audioguy) 3 2006.07.23 6529
1267 오디오에서의 아날로그의 매력 ( 레거리즘) 콩쥐 2006.07.21 5732
1266 조이름의 비밀-당신은 아시나요? 46 금모래 2006.07.17 19257
1265 클렌쟝 작품 번호별 리스트 6 희주 2006.07.12 11306
1264 박자에 대해 질문 7 ZiO 2006.07.05 7074
1263 John Williams – Richard Harvey 공연 후기 2 jazzman 2006.06.18 5990
1262 마적 주제에 의한 변주곡 난이도가? 1 후라이곤 2006.06.07 8529
1261 음악과 관계된 영화 추천해 주세요 42 2006.05.23 6696
1260 이번에 기타콩쿨에 나가는 칭구에게 보내는편지. 3 콩쥐 2006.05.21 5899
1259 Carlos Saura 감독의 "Salome" 5 정천식 2006.04.12 8795
1258 Carlos Saura의 "El Amor Brujo" 2 정천식 2006.04.07 8585
1257 Carloe Saura의 "Carmen" 정천식 2006.03.30 7352
1256 ◈ 이 곡 제목 좀 알려주세요 1 file 쭈미 2006.03.27 7491
1255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1 file 정천식 2006.03.22 8360
1254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file 정천식 2006.03.22 7221
1253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file 정천식 2006.03.22 7725
1252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file 정천식 2006.03.22 7739
1251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file 정천식 2006.03.22 8172
1250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file 정천식 2006.03.22 7013
1249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file 정천식 2006.03.22 7576
1248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3 file 정천식 2006.03.22 9871
1247 전사(戰士)들의 땅 바스크, 그 소박한 민요 1 정천식 2006.03.17 8273
1246 스페인 음악의 뿌리를 찾아서 정천식 2006.03.16 8791
1245 정답 - 바흐의 마지막 작품 8 file 1000식 2006.03.01 8967
1244 디지털 악학궤범 1 1000식 2006.02.28 7704
1243 바하의 기타음악이란 18 샤콘느1004 2006.02.27 7662
1242 전지호의 음악백과사전 소개 1 file 1000식 2006.02.23 7867
1241 악보. 1 오리지날 2006.02.22 6615
1240 음악성이란 그 무엇을 좇아서.... 44 그림이 2006.02.22 9490
1239 음악성이란 그 무엇을 좇아서.... 26 그림이 2006.02.22 6420
1238 인터넷악보의 위험성. 10 인터넷악보 2006.02.22 6438
1237 바하의 바디네리악보 쓸만한가요? 6 file 콩쥐 2006.02.20 20620
1236 [re] 3/8박자의 의미는? 6 file 2006.01.23 9083
1235 심리적 악센트? 9 ZiO 2006.01.22 6664
1234 3/8박자의 의미는? 21 ZiO 2006.01.21 11120
1233 [re] 밑의 글들을 일고... 푸하하하하 2006.01.21 4650
1232 진짜(?) 피아노와 디지털 피아노?? 19 jazzman 2006.01.20 9273
1231 신현수님의 "악상해석과 표현의 기초"....넘 좋아요. 15 file 2005.12.31 8735
1230 기타 음악 감상실에여...... 음반구하고 싶은 곡이 있는데여!!! 2 강지예 2005.12.28 6397
1229 피하시온(fijación)이 무엇인가요? 3 궁금해요 2005.12.19 7353
1228 감동을 주는 연주를 하려면 ? 34 np 2005.11.23 8977
1227 음악영화."투게더".....감독(첸카이거) file 콩쥐 2005.11.21 14925
1226 마르찌오네 그의 사진 한 장 2 file 손끝사랑 2005.11.15 7626
1225 카를로 마키오네 연주회 후기 18 file 해피보이 2005.11.15 7750
1224 후쿠다 신이치 공연 후기... 33 jazzman 2005.11.05 7612
1223 사랑의 꿈 - 리스트 클레식기타로 연주한.. 4 박성민 2005.11.04 8045
1222 [기사] 국제 음악콩쿠르 韓-中-日이 휩쓸어 1 고정석 2005.11.01 5355
1221 재즈쪽으로 클래식기타를 가르치시는 스승님 안계신가요? 스승님을 찾습니다ㅠㅠ 10 2005.10.04 6389
1220 암보를 했다는 건 이제야 시작할 준비가 되었다는 뜻.... 12 아이모레스 2005.09.30 6120
1219 까탈이의 세계여행 2 file 1000식 2005.09.24 6224
1218 기타에 대한 명언 알려주세요^-^ 24 콘푸라이트 2005.09.19 8887
1217 빌라로보스 연습곡 전곡 부탁드립니다. 9 file 기타초보 2005.08.08 7516
1216 [질문]고전파시대음악 딸기 2005.08.01 6729
» 암보에 대해... 꼭 외워야 하는가??? 16 쏠레아 2005.07.25 8560
1214 기타음악 작곡자들은 보쇼~ 26 바부팅이 2005.07.25 12942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